• 제목/요약/키워드: butyric acid

검색결과 638건 처리시간 0.028초

피등어꼴뚜기의 자숙취에 관한 연구 (VOLATILE CONSTITUENTS OF COOKED SQUID)

  • 이응호;소천천추;야중순삼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3-188
    • /
    • 1978
  • 피등어꼴뚜기를 가열가공할 때 발생하는 취기를 제거할 목적으로 취기성분을 gas chromatography로 공석한 것을 단보로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등어꼴뚜기 취기성분 추출에는 methanol이 가장 적합하였다. 2. 빙수trap에서 25개 peak, dry ice-acetone trap에서 32개 peak가 검출되었고, 그 중 acet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caproic acid 등 5성분을 동정하였다. 3. 액체질소 trap의 head space vapor에서 11개 peak가 검출되었고, 그 중 mothylamine, trimethylamine, dimethylamine, ethylamine, isopropylamine등 5성분을 동정하였다.

  • PDF

Production of GABA (gamma amino butyric acid) by Lactic Acid Bacteria

  • Kook, Moo-Chang;Cho, Seok-Cheo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77-389
    • /
    • 2013
  •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is a kind of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component and its application is wide and useful in Korea specially, becoming aging society in the near feature. GABA is request special dose for the purposed biological effect but the production of concentrated GABA is very difficult due to low concentration of glutamic acid existed in the fermentation broth. To increase GABA concentrate using fermentation technology, high content of glutamic acid is required. For this reason, various strains which have the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and can convert glutamic acid to GABA, were isolated from various fermented foods. Most of GABA producing strains ar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especially added monosodium glutamate (MSG) as a taste enhancer. Optimizing the formulation of culture media and the culture condition, GABA conversion yield and amounts were increased. Finally GABA concentration of fermentation broth in batch or fed batch fermentation reached 660 mM or 1000 mM, respectively. Furthermore formulation of culture media for GABA production developed commercially. Many studies about GABA-rich product have been continued, so GABA-rich kimchi, cheese, yogurt, black raspberry juice and tomato juices has been also developed. In Korea many biological effects of GABA are evaluated recently and GABA will be expected to be used in multipurpose.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제조한 죽초액의 이화학적 특성: 식품처리제로서의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mboo Smoke Distillates Processed by Mechanical Steel Kiln and Traditional Earth Kiln)

  • 이범수;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1-256
    • /
    • 2002
  • 벌채 직후의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sieb. et zucc.)를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탄화시키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10$0^{\circ}C$ 전후에서 냉각시켜 얻은 각각의 조죽초액을 12개월간 정치하여 타르성분을 분리한 다음 중간부위를 취하여 죽초액의 일반특성과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기계식 죽초액은 비중, 투과도, 굴절을 및 점도가 각각 1.008, 89.05%, 1.357%, 12.48 cp이었고 재래식 죽초액의 경우는 1.012, 98.33%, 1.34%, 9.09 cp이었다. 색깔은 재래식 죽초액이 기계식 죽초액에 비하여 더 맑고 투명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pH와 총유기산, 용해타르 및 작열잔사의 함량은 기계식 죽초액이 각각 3.55, 2.83%, 2.803%, 0.671%이었고 재래식 죽초액이 각각 2.93, 3.47%, 0.051%, 0.004%이었다. 죽초액의 성분조성에 대한 조사에서 두 가지 경우의 죽초액이 모두 페놀성 성분은 주로 phenol, o-cresol, p(m)-cresol, guaiacol(2-methoxy phenol) 등이 검출되었고 유기산 성분은 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n-butyric acid등이 검출되었으며 알코올성분으로 methanol, furfuryl alcohol 및 maltol이 검출되었다. 페놀류와 알코올류의 함량은 기계식 죽초액의 편이 더 많고 유기산은 재래식 죽초액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The Effect of Neuroactive Compounds on Settlement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Pediveliger Larvae)

  • 허영백;조규태;변순규;문태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3-351
    • /
    • 2014
  •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serotonin, ${\gamma}$-amino butyric acid, L-3,4-dihydroxyphenylalan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pm}2.2%$, $29.1{\pm}2.2%$, $19.2{\pm}2.1%$, $11.0{\pm}1.2%$, $15.2{\pm}0.9%$$42.7{\pm}2.7%$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 $1.97{\pm}1.42$$2.37{\pm}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 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The Effect of Neuroactive Compounds on Settlement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Pediveliger Larvae)

  • 허영백;조규태;변순규;전창영;조기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9-146
    • /
    • 2013
  •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 (L-3,4-dihydroxyphenylalanine, serotonin, ${\gamma}$-amino butyric acid,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pm}2.2%$, $35.4{\pm}2.0%$, $19.2{\pm}2.1%$, $11.0{\pm}1.2%$, $15.2{\pm}0.9%$$42.7{\pm}2.7%$ 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 $1.97{\pm}1.42$$2.37{\pm}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 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바나나 껍질과 파인애플 껍질 Ester Synthetase를 이용한 Ethyl Butyrate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Ethyl Butyrate Using Ester Synthetase Derived from Banana Peel and Pineapple Peel)

  • 윤기홍;김기혁;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122-1127
    • /
    • 2017
  • 바나나 껍질과 파인애플 껍질에서 식품의 향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ethyl butyrate를 합성할 수 있는 ester synthetase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반응표면분석(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사용하였다. RSM 분석 결과 바나나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의 ethyl butyrate 합성 최적 조건은 ethanol의 농도가 38.7050 mM, butyric acid의 농도가 50.9019 mM, 반응시간이 4.3662시간일 때 최대 예측값은 45.8199 mM이었다. 파인애플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의 ethyl butyrate 합성 최적 조건은 ethanol의 농도가 54.6502 mM, butyric acid의 농도가 58.7638 mM, 반응시간이 4.7436시간일 때 최대 예측 값은 65.1087 mM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ethyl butyrate 합성을 위해서는 바나나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보다는 파인애플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가 더 효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의 연속 대량 생산을 위해서 효소의 고정화 방법과 연속적인 기질 투입을 위한 기술 등의 개발이 더 이루어진다면 천연향 원료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Lactobacillus sakei B2-16에 의한 γ-amino butyric acid(GABA)의 생산에 관한 연구 (Study of γ-Amino Butyric Acid (GABA) Production by Lactobacillus sakei B2-16)

  • 국무창;조석철;최찬익;박훈;김승섭;정명훈;변유량;이현용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183-189
    • /
    • 2009
  • 혈압저하작용, 이뇨기능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gamma$-amino butyric acid(GABA)를 고농도로 생산하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 sakei B2-16을 이용하여 GABA의 산업적 생산 배지를 연구하였다. L. sakei B2-16의 최적 상용 배지는 Lactobacilli MRS 배지였으며, Lactobacilli MRS 배지에 1% mono sodium glutamate(MSG)를 첨가하고, L. sakei B2-16을 배양했을때 MSG의 99.3% 는 GABA로 전환되었다. MRS 배지를 기본으로 최적 배지조성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 4% sucrose와 질소원으로 1% yeast extract를 첨가하였을 때 균체 증식과 GABA 생산량이 가장 우수하였다. 산업적 배지를 확립하기 위하여 미배아를 온수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 배지에 L. sakei B2-16을 배양한 결과, 7%의 MSG를 100% GABA로 전환시켰으며, 미배아 추출액을 이용한 배지는 산업적 생산용 배지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개구리 망막체와 수정체의 Amino 산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 in Retina and Lens Body of the Frogs)

  • 강성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14
    • /
    • 1959
  • The retinae and the lens bodies of the frogs were hydrolyzed with 20% hydrochloric acid, and their amino acids were separated by paper chromatography. As a result of it the following were confirmed : (1) The retinae and the lens bodies were the same incomposition, and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tyrosine, glycine, lysine arginine, threonine, alanine, histidine, proline, methionine, valine , phenylalanine, leucine, and two unknown substances were separated. (2) The free amino acids in the retinae were extracted with 80% ethyl alcohol and then separated by paper chromatography. Though their separation was not so definite , serine, gultaminc acid, and glycine were always separat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the sample. When the amount of the smaple was enough , $\beta$-alanine , ${\gamma}$-amino butyric acid and methionine +valine were also separated. (2) The free amino acids in the retinae were extracted with 80% ethyl alcohol and then separated by paper chromatography. Though their separation was not so definite, serine, glutamic acid, and glycine were always separat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the sample . When the amount of the sample was enough, $\beta$-alanine , ${\gamma}$-amino butyric acid and methionine + valine were also separated.

  • PDF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s on Composition of Odorous Compounds and Bacterial Ecology in Pig Manure

  • Cho, Sungback;Hwang, Okhwa;Park, Sungkw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9호
    • /
    • pp.1362-1370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CP) on composition of odorous compounds and bacterial communities in pig manure. A total of 48 male pigs (average initial body weight 45 kg) fed diets containing three levels of dietary CP (20%, 17.5%, and 15%) and their slurr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its under the floor every week for one month. Changes in composition of odorous compounds and bacterial communiti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454 FLX titanium pyrosequencing systems, respectively. Levels of phenols, indoles, short chain fatty acid and branched chain fatty acid were lowest (p<0.05) in CP 15% group among three CP levels. Relative abundance of Bacteroidetes phylum and bacterial genera including Leuconostoc, Bacillus, Atopostipes, Peptonphilus, Ruminococcaceae_uc, Bacteroides, and Pseudomonas was lower (p<0.05) in CP 15% than in CP 20% group.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p<0.05) between odorous compounds and bacterial genera: phenol, indole, iso-butyric acid, and iso-valeric acid with Atopostipes, p-cresol and skatole with Bacteroides,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with AM982595_g of Porphyromonadaceae family, and propionic acid with Tissierella. Taken together, administration of 15% CP showed less production of odorous compounds than 20% CP group and this resul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bacterial communities especially whose roles in protein metabo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