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achlor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3초

Utachlor가 귀리 (Avena sativa L.)의 세포분열 및 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tachlor on Cell Division and Cell Enlargement in Oat (Avena sativa L.))

  • 김재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67-173
    • /
    • 1986
  • The effects of varying concentrations and durations of butachlor [N-(bytoxymethyl)-2-chlor-2', 6';-diethylacetanilide] treatment on oat (Avena sativa L.) root cell division were studied. Oats were treated from 0 to 48h with concentration ranging from 1$\times$10-6M to 1$\times$10-3M of butachlor. The highest concentration (1$\times$10-3M) of butachlor caused significant inhibition of cell division after 6h treatment. After 18h treatment, 49% and 66% inhibition of cell division occurred at 1$\times$10-5M and 1$\times$10-4M, respectively, while 16% inhibition of cell division occurred at 1$\times$10-6M concentration at same exposure period. Oat treated with 1$\times$10-5M and 1$\times$10-6M showed 69% and 38% inhibition of cell division after 36h. Increasing herbicide concentration at a specific time increased inhibition of cell division, and increasing the duration of treatment at a specific concentration also increased inhibition of cell division. In most instances the greatest inhibition of cell division occurred between 0 to 18h during 48h treatment. A range of concentration of 1$\times$10-5M to 1$\times$10-3M reduced cell enlargement significantly during 24h incubation period. The 1$\times$10-5M and 1$\times$10-3M caused 34% and 75% inhibition of cell enlargement. It was concluded that butachlor caused the growth inhibition of oats by inhibiting both cell division and cell enlargement.

  • PDF

이앙답(移秧畓)에서 제초제(除草劑)의 혼합(混合), 조합처리(組合處理)가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ture and Systematic Application of Herbicides on Weed Control and Yield in Transplanted Rice)

  • 김제규;구연충;이종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0-30
    • /
    • 1982
  • 본(本) 시험(試驗)은 1981년(年)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답작포장(畓作圃場)에서 Indica${\times}$Japonica 원록교잡종(遠綠交雜種)인 태백(太白)벼(수원(水原) 287호(號))를 기계이앙(機械移秧)하여 제초제(除草劑)의 살초효과((殺草効果) 증대(增大)를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제초제종류(除草劑種類)에 따른 초종(草種)의 다양화(多樣化)와 초종구성(草種構成)의 유사성정도(類似性程度)를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여 제초제(除草劑)를 혼합(混合) 또는 조합처리(組合處理)하거나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를 만들 때 약제선택(藥劑選擇)에 필요(必要)한 정보(情報)를 얻고자 우점초종(優占草種)이 피, 올방개, 올챙고랭이이며 이들의 우점도(優占度)가 각각(各各) 89%, 5%, 3%였던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약해(藥害)는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가 단일제초제(單一除草劑)에 비(比)하여 더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2 단일제초제(單一除草劑)의 사용(使用)보다는 살초(殺草) spectrum이 서로 다른 두가지의 유효성분(有效成分)을 혼합(混合)한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또 벼 이앙(移秧) 전후(前後)에 제초제(除草劑)를 한번 사용(使用)하는 것보다는 이쾌전후(移快前後)와 생육중기(生育中期)에 제초제(除草劑)를 두번 조합처리(組合處理)하는 것이 제초효과면(除草効果面)에서 더 우수(優秀)하였다. 3.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에 의한 초종(草種)의 다양화(多樣化) 정도(程度)는 Simpson 지수(指數)가 높은 Butachlor(3.5G)/SL-49(7G), Butachlor(3.5G)/Pyrazolate(6G) 및 Perfluidone(5G)과 같은 제초제(除草劑)는 잡초군락(雜草群落) 단순화(單純化)시키는 경향(傾向)이며, Simpson 지수(指數)가 낮은 Perfluidone(5G) + Chloromethoxynil(7G), Butachlor(6G) fb Perfluidone(5G), 및 Butachlor(4G)/Naproanilide(6G)와 같은 약제(藥劑)는 초종(草種)을 다양화(多樣化)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4. 초종구성유사성계수(草種構成類似性係數)로 볼 때 제초효과(除草効果)를 가장 높일 수 있는 약제(藥劑)는 초종구성(草種構成)이 크게 달랐던 Perfluidone(5G)과 Chloromethoxynil(7G), Bifenox(7G) 및 Butachlor(6G)의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로 추정(推定)되며, Perfluidone(5G)은 타(他) 약제(藥劑)와의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가 대체(大體)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5. 제초효과(除草效果)가 우수(優秀)하고 벼 수량(收量)(현미중(玄米重))이 손 제초구(除草區)와 비슷하였던 처리(處理)는 Perfluidone(5G), Butachlor (3G)/Chloromethoxynil(6G), Perfluidone(5G) + Chloromethoxynil(7G), Butachlor(6G) fb Bentazon(40 E. C) 및 Butachlor(6G) fb Perfluidone(5G) 처리(處理)였다.

  • PDF

토양중에 있어서 제초제 Butachlor의 혐기적 대사 (Anaerobic Metabolism of the Herbicide, Butachlor in soil)

  • 이재구;로버트디미나드;쟝마르크볼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2호
    • /
    • pp.83-92
    • /
    • 1982
  • 균일(均一)하게 환표식(環標識)된 $^{14}C-butachlor$를 2종(二種)의 한국토양중에서 3개월간(三個月間) 혐기적으로 배양시 생성된 $^{14}CO_2$와 휘발성 물질의 량(量)은 근소하였다. 토양A에서는 고압살균한 경우와 살균하지 않은 경우 처리된 방사능의 77.52%와 45.36%가 각각 MeOH로 추출되었고 나머지는 토양중에 흡착되었다. 반면 토양B에서는 58.85%와 37.23%가 각각 추출되었고 나머지는 토양중에 잔류하였다. $^{14}C-butachlor$의 흡착은 토양의 특성에 좌우되었다. 또한 GLC-MS에 의하여 2,6-diethyl-N-(butoxymethyl)-acetanilide가 주된 대사산물로 밝혀졌고 2,6-diethyl aniline과 2,6-diethyl acetanilide는 소량 생성되었다.

  • PDF

Butachlor 의 약해정도차이(藥害程度差異)가 벼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收量)에 미친 영향(影響) (Effect of Butachlor Injury to Yield Component and Yield of Rice Cultivar)

  • 이영만;신동영;김창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3-107
    • /
    • 1989
  • 논 제초제(除草劑) butachlor에 대한 유묘(幼苗)의 약해반응정도(藥害反應程度)가 다른 벼 5개 품종(品種)에 3가지 다른 약량(藥量)을 이앙시(移秧時)에 처리(處理)하여 이후(以後)의 생육상태(生育狀態)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하였다. 1. 약해정도(藥害程度)는 Zhy-Lian-Ai-Yun-Nam이 가장 경미하였고 다음으로 한강찰벼, 원풍벼, 청청벼, 삼성벼의 순으로 심하였다. 2. 약해(藥害)는 토장(草長)보다 분얼수(分蘖數)에 더 크게 영향하였다. 전품종(全品種)에서 주당수수(株當穗數)의 감소가 컸으나 그 정도는 품종간(品種間)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3. 수량(收量)은 약해(藥害)가 낮은 Zhy-Lian-Ai-Yun-Nam이 수량감소가 가장 컸고 약해가 심하였던 삼성벼와 청청벼는 약해에 비하여 수량감소가 적었는데 이는 주당수수(株當穗數)의 감소에 상응(相應)하여 주당영화수(株當潁花數)가 증가(增加)하였기 때문이다. 4. 약해(藥害)가 중간정도(中間程度)였던 한강찰벼와 원풍벼는 주당수수감소(株當穗數減少)에 따라 주당영화수(株當潁花數)가 증가하지 않았고 또 원풍벼는 1,000립중(粒重) 감소하여 수량감수가 컸다.

  • PDF

농업환경(農業環境)의 오염(汚染)과 그 대책(對策) 제(第) 1 보(報) 몇가지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토양(土壤) 흡착(吸着)의 이론적분석(理論的分析) (Pollu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 Adsorption of Several Herbicide on Soils and Theoretical Evaluation)

  • 한대성;김정제;신영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29
    • /
    • 1984
  • 토양(土壤)에 의한 linuron, bentazon, trifluralin 및 butachlor의 흡착(吸着)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이 사용되었으며, 실험결과(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토양(土壤)에 의한 linuron의 흡착(吸着)은 토양성분중(土壤成分中) 유기물(有機物)의 함량(含量)과 직접적인 관계(關係)가 있으며, 유기물(有機物)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linuron의 흡착(吸着)도 증가(增加)하였다. Bentazon은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이나 점토(粘土)의 함량(含量)에 따라 뚜렷한 상관(相關)이 없었으며, 오히려 유기물함양(有機物含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흡착(吸着)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bentazon이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에서 음하전(陰荷電)을 띠어 bentazon분자(分子)와 음하전(陰荷電)을 띤 토양표면간(土壤表面間)의 반발현상(反撥現象) 때문인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Trifluralin과 butachlor는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및 C.E.C.와 매우 높은 상관성(相關性)을 보였으나, 점토함량(粘土含量)과는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각 공시농약(供試農藥)에 대한 흡착(吸着)은 trifluralin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linuron, butachlor, bentazon순(順) 이었다.

  • PD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 중 용탈과 이동성 예측 (Leaching and mobility prediction o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and procymidone in soils)

  • 김찬섭;박경훈;김진배;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0-308
    • /
    • 2002
  • 토주용탈실험으로 농약별 이동 양상을 파악하고, 흡착계수와 토양관련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대류 이동성 모형(Convective mobility test model)으로 예측한 용탈 속도와 비교 평가하였다. 토양살충제 ethoprophos, 원예용 살균제 procymidone, 도열병약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및 수도용 제초제 butachlor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고 토지이용 형태를 기준으로 논, 밭 및 산림토양으로 구분한 3종의 토양에 대하여 토주용탈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농약을 $50{\mu}g/cm^2$ 수준으로 토주 상단에 처리하였을 때 토심 30 cm 이동 후 용탈되는 농약별 peak 농도는 ethoprophos $0.74{\sim}3.61mg/mL$, iprobenfos $0.35{\sim}1.67mg/L$, procymidone $0.16{\sim}0.84mg/L$, isoprothiolane $0.16{\sim}0.67mg/L$, butachlor 0.15 mg/L이하 수준이었고, peak 농도 출현까지 소요된 용탈수량은 ethoprophos $2{\sim}4$ pore volume (PV), iprobenfos $3{\sim}10PV$, procymidone $5{\sim}13PV$, isoprothiolane $4{\sim}14PV$, butachlor $19{\sim}61PV$ 수준이었다. 대류 이동성 모형에 의한 예측 결과, 이동소요시간은 표준조건에서 ethoprophos $9{\sim}18$일, iprobenfos $17{\sim}35$일, isoprothiolane $24{\sim}54$일, procymidone $21{\sim}65$일 및 butachlor $105{\sim}279$일로 나타나 대류 이동성 모형 분류에 따르면 ethoprophos는 mobile${\sim}$most mobile,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은 moderately mobile${\sim}$mobile 그리고 butachlor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주용탈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대류 이동성 모형에 의하여 이동소요시간을 예측한 결과는 대부분의 토양-농약 조합에서 잘 일치하여 이동소요시간의 예측에 대류 이동성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담수심(湛水深)에 따른 논 잡초발생(雜草發生) 상태(狀態)와 제초제(除草劑) 효과(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 (Emergence and Growth of Weeds and Their Chemical Control in Paddy Field under Different Water Depths)

  • 구연충;오윤진;이종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7-52
    • /
    • 1982
  • 담수심(湛水深)에 따른 논 잡초발생(雜草發生) 상태(狀態) 및 제초제(除草劑)의 약효(藥効)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수심(水深)을 3 수준(水準)(0, 3, 6 cm)으로하고 약제(藥劑)로는 Butachlor 300 33 % 유제(乳劑) Oxadiazon 12 % 유제(乳劑) Bifenox 7 % 입제(粒劑)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심(水深)에 따른 잡초(雜草) 발생본수(發生本數)는 수심(水深)이 깊을수록 피(E. Crusgalli), 물달개비(M.Vaginalis)의 발생수(發生數)는 감소(減少)하나 가래 (P. distinctus)의 발생수(發生數)는 오히려 증가(增加)하였으며 올방개 (E.kuroguwai) 및 너도방동산이(C. serotinus)는 수심(水深)에 따른 차이(差異)가 적었다. 2. 수심별(水深別) 제초효과(除草効果)를 보면 Butachlor 300 및 Oxadiazon 유제(乳劑)는 3 cm 수심(水深)에서, Bifenox 입제(粒劑)는 6cm 수심(水深)에서 제초효과(除草効果)가 양호(良好)하였다. 3. 수심(水深)을 0cm로 낮게할 경우 제초효과(除草効果)는 Bifenox 입제(粒劑)보다는 Butachlor 및 Oxadiazon 유제(乳劑)가 좋았으며 3cm 수심(水深)에서는 제형간(劑型間) 차이(差異)가 없었다. 4 수심별(水深別) 약해(藥害)를 보면 Butachlor 300 유제(乳劑)는 수심(水深)이 얕을 수록 Oxadiazon 유제(乳劑) 및 Bifenox 입제(粒劑)는 수심(水深)이 깊을 수록 심(甚)한 경향(傾向)이나 수도생육(水稻生育)은 3 cm 수심(水深)에서 좋았다.

  • PDF

벼 수확 전 파종 사료맥류 재배 시 뚝새풀 방제효과 (Control of Water Foxtail in the Cultivating Barley and Wheat before Harvesting Rice)

  •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장준형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62-367
    • /
    • 2013
  • 본 시험은 벼 수확 전에 사료맥류를 파종 재배할 경우 뚝새풀을 방제하고자 수행되었다. Thifensulfuron-methyl(75%) 입상수화제를 벼 수확 직후, 수확 후 5일, 수확 후 10일에 처리한 결과, 보리와 밀 모두 약해는 거의 없었으며, 뚝새풀의 방제 효과는 각 처리 시기 모두 88% 이상이었다. Butachlor (5%) 입제를 맥류 파종 전 5일, 벼 수확 직후, 수확 후 5일, 수확 후 10일에 처리한 결과, 파종 전 처리는 보리, 밀 모두 약해가 심했으나, 수확 후 5일 및 10일 처리에서 약해가 없었다. 뚝새풀의 방제효과는 벼 수확 직후 및 5일 후 처리까지는 보리, 밀 모두 85-89%, 10일 후 처리는 74-80% 이었다. Thifensulfuron-methyl의 처리에서 건물수량은 무처리에 비하여 보리는 96-108%, 밀은 100-108% 높았다. Butachlor의 수확직후 및 5일처리에서 건물수량은 무처리에 비하여 보리는 53-73% 이었으나, 밀은 106% 이상이었다. 따라서 벼 입모중 사료용 보리 및 밀 재배 시 잡초방제는 벼 수확 및 복토 직후, 5-10일에 thifensulfuron-methyl (75%) 입상수화제 처리 또는 벼 수확 및 복토 후 5일 butachlor (5%) 입제의 처리로 효과적인 뚝새풀의 방제로 안전하게 조사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yrazosulfuron - ethyl과 Imazaquin의 살초작용 비교 (Comparison of Herbicidal Action between Pyrazosulfuron - ethyl and Imazaquin)

  • 황인택;최정섭;김진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7-326
    • /
    • 1996
  • Sulfonylurea계 제초제 pyrazoslulfuron-ethyl과 imidazolinone계 제초제 imazaquin을 대상으로 약해발생양상, dymron에 의한 약해경감효과, butachlor와의 상호작용성, ALS에 대한 혼합작용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초제에 의한 벼(동진)의 생장저해증상은 pyrazosulfuron-ehtyl 처리구에서 시간이 경과되면서 회복되었지만 imazaquin 처리구에서는 회복되지 않았다. 2. 높은 농도의 pyrazosulfuron-ehtyl에 의한 벼의 약해는 dymron 혼합처리에 의하여 크게 감소되었지만, IMA에 대해서는 약해경감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혼합처리에 의한 강피의 생장억제효과는 동시 또는 체계처리 모두 동일한 경향으로 pyrazosulfuron-ehtyl과 butachlor은 길항적이었지만 imazaquin과 butachlor은 상가적이었다. 4. Pyrazosulfuron-ehtyl과 imazaquin의 ALS 효소활성 50% 저해농도는 각각 $4{\times}10^{-7}$M, $2.8{\times}10^{-6})$M 이었고 혼합처리할 경우 butachlor은 두 제초제의 ALS 저해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pyrazosulfuron-ethyl과 imazaquin이 공통적으로 ALS를 저해하지만 살초기작은 서로 다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