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achlor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초

무경운 담수표면산파에 의한 잡초성벼 방제 (Weedy Rice Control by No-tillage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Field)

  • 정남진;윤영환;김정곤;강양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95-198
    • /
    • 2000
  • 무경운 담수표면산파재배시 잡초성벼의 발생양상과 비선택성 및 토양처리제를 이용한 잡초성벼 방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무경운에 의해 토양표면에서 월동한 잡초성벼의 생존율은 92.7%였고 재배벼는 4.3%였다. 2.토양내의 잡초성벼 발생심도는 건답에서 6.8cm, 무논에서 3.0cm, 그리고 무경운답에서 1.5cm로, 무경운답의 잡초성벼 발생은 건답과 무논에 비하여 토양 표층부위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3. 4월 하순의 우리나라 중부지역 평균기온인 13$^{\circ}C$에서 잡초성벼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는 14-15일이었다. 4. 무경운상태에서 포장 표면위에 떨어져 있는 잡초성벼의 발아를 유도한 후 비선택성 제초제인 paraquat 처리한 결과 92.2%의 잡초성벼를 방제할 수 있었으며, 토양처리제 중 가장 높은 출아억제를 보인 제초제는 oxadiazon으로 53.3%의 방제 효과가 있었다. 5. Paraquat과 oxadiazon의 체계처리에 의해 96.4%의 잡초성벼를 방제할 수 있었다.

  • PDF

재배양식별(栽培養殖別)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제초제(除草劑)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ifferent Cultural Patterns on the Growth and Herbicidal Responses of Rice and Barnyardgrass)

  • 박태선;박재읍;이인용;임은상;김영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75
    • /
    • 1997
  • 벼 직파(直播) 및 어린모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제초제(除草劑) 약효(藥效) 약해(藥害)에 영향(影響)을 마칠 수 있는 경작지(耕作地)의 토양(土壤) 조건(條件)에 대한 벼와 피의 반응(反應)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乾畓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토양수분함량별(土壤水分含量別) 벼와 피의 생장(生長)은 토양수분(土壤水分)이 40%일 때 가장 컸으며,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벼의 생육억제(生育抑制)는 토양수분(土壤水分) 50% 에서 가장 심하였다. 2. 파종심도별(播種深度別) 벼와 피의 초장(草長) 및 근장(根長)은 3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가장 길었으며,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벼의 생육(生育)은 1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억제(抑制)되었으나 피의 경우에는 전파종심도(全播種深度)에서 심하게 억제(抑制)되었다. 3. 벼의 초엽(coleoptile)장(長) 및 피의 중배축(中胚軸)(mesocotyl)장(長)은 파종(播種)깊이가 깊을수록 길었고, 제초제(除草劑) 처리시(處理時) 1cm 파종(播種)깊이에서 생육억제(生育抑制)가 가장 켰다. 4. 담수(湛水) 표면산파재배(表面散播栽培)에서 제초제처리후(除草劑處理後) 누수(漏水) 시기별(時期別) 벼의 생육억제(生育抑制)는 누수(漏水)가 지연(遲延)될수록 심하였으며, 5. 이앙심도별(移秧深度別) 제초제처리시기(除草劑處理時期)에 따른 벼의 생육(生育)은 이앙심도(移快深度)가 얕고 약제처리시기(藥劑處理時期)가 빠를수록 억제정도(抑制程度)가 컸다.

  • PDF

농약사용 지표설정을 위한 수도용 농약사용량 조사분석 (Survey on Pesticide Usage in Paddy Rice for the Establish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 권오경;홍수명;최달순;성기석;임양빈;강충길;송병훈;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39
    • /
    • 2000
  • 국내 농업환경 중 농약지표 설정을 위해 16개 지대 29지역 100농가를 대상으로 수도 재배용 농약 실제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농약별 실제 사용량에 따른 잔류 경향을 알아보고자, 조사농가에서 재배된 벼의 현미 및 볏짚 중 농약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수도재배시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은 살충제 43%, 제초제 29%, 살균제 27%를 나타냈으며, 살충제 중 주요 사용농약은 carbofuran, BPMC, cartap 등이었다. 제초제는 혼합제인 molinate+pyrazosulfuran-ethyl과 butachlor, 살균제의 경우 IBP와 혼합제 isoprothiolan+tricyclazole이 우선적으로 사용되었다. 제형별 농약사용량은 입제농약 위주의 사용경향을 나타냈으며 GR>DP>WP>EC>FG>SP 순이었다. 수도재배 단위면적당(a.i./ha) 농약사용량은 7.13 kg이었으며, 전국 총 사용량을 추산한 결과 8,387 M/T로 추정되었다.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과 출하량과의 일치도는 살충제 84.3%, 제초제 77.8%, 살균제 94.7%로 나타났고 총 실물량 일치도는 97%이었다. 농약 실제 사용량에 따른 농약잔류성은 살균, 살충제로서 사용 빈도가 높은 농약인 BPMC와 IBP가 $57.7{\sim}94.9%$의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냈으며, 이들 농약의 잔류수준은 허용기준 미만이었다.

  • PDF

벼와 피에 대한 Azimsulfuron의 작용성(作用性)에 미치는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의 영향(影響) (Effect of Mixed Herbicides on Phytotoxicity of Azimsulfuron in Rice and Barnyardgrass)

  • 전재철;마상용;김성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2-237
    • /
    • 1995
  • 일년생(一年生) 방제용(防除用) 제초제(除草劑) 8종과 혼합(混合)된 azimsulfuron의 벼와 피의 지상부(地上部) 및 뿌리 생육(生育)에 끼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벼 지상부는 일년생(一年生) 제초제(除草劑) 혼합처리(混合處理)가 azimsulfuron 단독(單獨) 처리(處理)보다 큰 생육억제(生育抑制) 효과(效果)를 나타내었으나, 어느 경우에도 약해(藥害) 경감(經減) 효과(效果)는 없었다. 벼 뿌리에 대한 약해 경감 효과는 10ppm 이상의 azimsulfuron에 혼합(混合)된 dimepiperate, molinate 및 dymron 에서만 나타났다. 벼 지상부(地上部) 및 뿌리의 생육억제(生育抑制) 효과(效果)는 직쇄상(直鎖狀) 탄화수소(炭化水素) 치환체(置換體)인 esprocarb나 thiobencarb의 혼합(混合)이 환상(環狀) 탄화수소(炭化水素) 치환체(置換體)인 dimepiperate나 molinate의 혼합(混合)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Azimsulfuron에 대한 일년생(一年生) 제초제(除草劑)의 혼합(混合)으로 피의 지상부(地上部) 및 뿌리 생육억제(生育抑制) 는 azimsulfuron 단독(單獨) 처리(處理)에 비하여 크게 증대(增大) 되었다.

  • PDF

2002년 금강, 만경-동진강 하천수 중 잔류농약의 연간 검출 양상 (Temporal Patterns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Keum, Mangyung and Dongjin Rivers in 2002)

  • 김찬섭;이희동;임양빈;손경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30-240
    • /
    • 2017
  • 환경오염 우려 농약의 수계 유출 영향평가를 위한 기본 자료로서 하천수 중 농약의 잔류실태와 유출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금강, 만경강 및 동진강의 하천수 중 농약의 잔류 변화를 일 년간 추적 조사하였다.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 및 8,90년대에 실시한 국내 하천수 대상 농약 잔류조사에서 검출된 바 있는 성분 등 환경 잔류문제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농약성분 및 대사물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금강 만경강 및 동진강 본류 및 지천 개소를 대상으로 2-11월까지 월 평균 1회, 농약 사용 성수기인 5-8월 사이에는 월2회씩 채취하였다. 분석결과 살균제 성분으로는 carbendazim과 hexaconazole 등 6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3-50.9% 범위이었고 검출농도는 $0.1-4.7{\mu}g/L$ 수준이었다. 특히 도열병 약제인 isoprothiolane과 iprobenfos의 검출양상은 장소와 시기 면에서 매우 광범위하였으나 잔류 수준은 그리 높지 않았다. 살충제 성분으로는 endosulfan 등 16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3-32.5% 범위이었고 검출농도는 $0.01-2.8{\mu}g/L$ 수준이었다. 그 중 endosulfan은 28개 지점에서 검출되어 매우 광범위한 오염양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isoprothiolane과 iprobenfos, endosulfan의 경우는 사용 시기를 경과하여서도 지속적으로 검출되므로 수계환경으로의 유입경로와 유입 후의 행적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초제 성분으로는 alachlor등 9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8-22.9% 범위이었고 검출농도는 $0.01-9.07{\mu}g/L$ 수준이었다. Molinat는 4개의 지천에서는 일시적으로 WHO의 권고지침 $7{\mu}g/L$을 상회하는 잔류농도를 나타내어 배출수로에서 부터 대하천에 이르기까지의 이동경로 단계별로 정밀한 농도변화 추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부분의 검출 농약이 수도용이었으며 검출시기가 농약의 사용시기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이었고 잔류수준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차이(差異) - V.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제초제(除草劑) Thiobencarb에 대(對)한 벼와 피간(間)의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반응(反應) 차이(差異)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Rice and Barnyardgras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V. Difference i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Response to Thiobencarb)

  • 천상욱;구자옥;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2-222
    • /
    • 1994
  • 다양(多樣)한 재배양식(栽培樣式), 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이앙재배조건하(移秧栽培條件下)에서 제초제(除草劑) butachlor 및 thiobencarb에 대한 벼와 피의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반응차이(反應差異)가 검토되었다. 파종(播種) 및 이앙(移秧)후 5일(日)째에 Thiobencarb를 추천량(推薦量)의 배양(倍量)인 4,200g ai/ha를 토양처리(土壤處理)한 후(後) 10일 및 20일째에 외부형태(外部形態) 및 해부학적(解剖學的)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하였다. 1. 건답(乾畓)에서는 피만 제(第) 1엽(葉) 전개후(展開後) 출엽정지현상(出葉停止現狀)이 있었고 담수(湛水)에서는 표면(表面)벼의 지상부(地上部)가 억제되었고 피의 전반적인 생육억제(生育抑制)가 나타났다. 2. 건답(乾畓)에서의 초장(草長)은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벼가 11~26%, 피는 83%, 담수(湛水)에서는 벼가 46~56%, 피는 82% 억제되었다. 건답(乾畓)에서의 근장(根에長서)은 벼 3%이내, 피는 21%였고 담수(湛水)벼는 78~85%, 피는 83% 억제(抑制)되었고 이앙(移秧)된 8일묘는 10% 내외의 경미한 정도였다. 3. 피, 표면(表面)벼 및 토중(土中)벼의 징상부 생체중(生體重)은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각각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68, 50, 25% 순(順)이었고, 지하부(地下部) 생체중(生體重)은 각각(各各) 54, 27, 50% 억제되었으나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지상부(地上部)가 각각(各各) 62, 60, 38%, 지하부(地下部)가 60, 67, 60% 억제되었으며 이앙(移秧)벼는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가 각각(各各) 10, 30%로 경미(輕微)하게 억제(抑制)되었다. 4.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 토중(土中)벼의 엽령(棄齡)과 제2엽신장(第2葉身長)이 각각(各各)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25, 34% 억제되었고 피는 엽령(葉齡)이 40%, 제(第) 2엽신장(葉身長)이 100% 각각(各各) 억제되었다. 그러나 담수(湛水)에선 침엽시기(針葉時期)에 있어서 생장(生長)이 정지(停止)된 상태(狀態)로 100% 억제(抑制)됨을 보였다. 한편 이앙묘(移秧苗)는 엽초장만이 약(約) 25% 억제(抑制)되었을 뿐이다. 5. 중경장(中莖長)은 20일째 건답(乾畓)에선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64%, 담수(湛水)에선 32% 억제율(抑制率)을 보였다. 6 줄기횡단부(橫斷部)의 조직반응(組織反應)은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 토중(土中)벼의 엽시원체(葉始原體) 위축(萎縮)과 피의 Twist 현상(現狀)과 간엽발생(間葉發生)이 있었으며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표면(表面)벼의 조직(組織)이 심하게 위축(萎縮)되었고 피는 통엽(筒葉)이 발생되었다. 7. 줄기종단부(縱斷部)의 반응(反應)은 건답(乾畓)의 세포(細胞)가 액포화(液胞化)되고 규칙성(規則性)을 잃었고, 담수표면(湛水表面)벼와 분제조직(分製組織)이 위축(萎縮)되고 피의 분제조직(分製組織) 신장(身長)이 억제되고 세포(細胞)의 액포화(液胞化) 현상(現狀)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