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stop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특성지표 기반 공간개발 패턴 추정에 관한 연구 - 강남지역을 대상으로 - (An Estimation of the Spatial Development Patter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ity Indicators - The Case of Gangnam District -)

  • 장성만;이창효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3-33
    • /
    • 2015
  • 현재 계획단계에서 구득하여 활용할 수 있는 토지이용 관련 정보는 시도, 시군구, 그리고 읍면동과 같은 집계된 단위의 자료가 주를 이루고 있어, 미시적 공간단위에서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존 내 물리적 도시특성지표를 바탕으로 공간 개발패턴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남지역을 육각형 픽셀로 분할하고 각 공간분석단위별로 판매 및 업무의 건축물 개발강도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도시의 공간적 특성이 판매 및 업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도로와 버스정류장과의 거리가 증가하면 밀도 개발 확률이 감소하며, 수계와의 거리가 증가하면 밀도 개발 확률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물은 도시계획분야에서 집계된 자료를 미시적 공간으로 세분하는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의 사고 예측모형 개발 (대도시권 외곽 및 구릉지 특성의 도로구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Model at Rural Multi-Lane Highways)

  • 이동민;김도훈;성낙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07-215
    • /
    • 2009
  • 도로구간에서의 주행조건은 연속적인 도로축 상에서 구간별로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로에서의 교통사고는 도로 기하구조 변수뿐만 아니라 도로주변 환경변수, 교통조건 변수 그리고 기타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다양한 도로기하구조 요소를 고려하여 동질성을 갖춘 구간 분할 후에 도로를 구성하는 도로 기하구조, 교통조건, 도로주변 환경 그리고 기타 다양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로구간의 주행조건을 결정짓는 주요인들에 의해서 주행조건 동질구간을 결정하고, 각 동질구간에서의 도로 및 교통조건 등을 고려하여 사고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 개발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대도시권 외곽과 평지 및 구릉지를 대표할 수 있는 수도권 외곽내에 지방부 도로구간과 전라북도 지방부 도로구간에서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된 도로구간에서 사고건수가 "0"인 구간수가 매우 높게 나타나므로 이에 대한 과대 예측을 방지하기 위해 ZIP(Zero Inflated Poisson) 모형을 이용하였다. 사고예측모형 개발 결과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통량과 도로구간 길이를 포함한 EXPO($365{\times}ADT{\times}Length{\times}Year/10^{-6}$), 곡선반경, 종단구배변화, 가드레일, 지형(산악지), 횡단보도개수, 버스정류장 개수가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의 차대차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도시부 교차로에서의 자전거 사고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cycle Accident Patterns at Urban Intersections)

  • 김도훈;조한선;김응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17-125
    • /
    • 2008
  • 최근 녹색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이용자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차대 자전거사고 감소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 향상에 대한 노력은 미비한 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교차로 설계지침 제공 및 자전거 사고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교차로에서의 자전거사고 안전성 향상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 인천광역시 사지교차로에서 발생한 56건의 자전거사고 자료에 대한 분석과 사고발생 교차로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3가지 경우에 대한 자전거 사고유형 분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분석결과, 사망사고 유무, 부도로 교통섬 유무, 도로위계, 사고당시 날씨, 주도로 버스정류장 유무, 주도로 차로폭, 인적유발요인이 자전거 사고 유형에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 PDF

A Disembarking Notification System in Public City Buses using Smart Device and High Frequency

  • Chung, Myoungb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55-63
    • /
    • 2020
  • 최근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유투브, 넷플릭스, 왓챠 등과 같은 동영상이나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하차해야 할 곳을 지나쳐 내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버스 내부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기반 시내 공공 버스 하차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고주파 신호는 버스의 정류장 안내 방송과 함께 발생하며, 스마트 기기는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하차 역에 도달할 경우 스마트 기기에서 하차 알림을 발생한다. 제안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해 총 1,000 번의 실시간 알림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 시스템은 98.9%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기존 Open API만을 이용한 알림 서비스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제안 시스템은 시내 공공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목적지 도착 시 하차 지점을 정확히 알려줄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은 스피커로 도착지를 안내 방송하는 세계의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기술이 될 것이다.

친환경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현장 공용성 분석 (An Evaluation of Field Performanc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sphalt Pavement)

  • 김낙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2-29
    • /
    • 2013
  • 중온 아스팔트 포장공법은 밀입도 아스팔트 포장공법 대비 생산 및 포설온도를 낮추어 생산 및 시공이 가능한 포장공법으로 연료 소모량과 온실가스 배출량 면에서 효과가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온 개질 아스팔트 포장의 장기 현장 공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포장이 실시 된 구간에 대해 미끄럼 저항성, 소성변형, 평탄성과 같은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실험 결과 미끄럼 저항성은 공용 20개월 후에도 공용초기와 같이 S1 위험도 1기준을 만족시켰으나 소성변형, 평탄성에서는 공용기간에 따라 다소 감소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현장실험이 수행된 구간은 버스정류장으로 중차량 통행량이 많고 중차량인 버스의 출발과 정지가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조건에 노출되어 있음을 고려하였을 때 소성변형, 평탄성의 감소추세는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이다. 균열의 경우 공용 11개월 후에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공용 20개월 후 에는 미세한 균열이 발생한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는데 이는 첨가된 섬유로 인해 혼합물의 균열 저항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개인 통행성향을 고려한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의향 분석: 서울시를 중심으로 (Analyzing Intention to Use Shared E-scooters Considering Individual Travel Attitudes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s)

  • 이윤희;구자헌;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16
    • /
    • 2022
  •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전동킥보드는 도시 내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써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실질적 이용행태 및 이용목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으나, 개인의 통행성향을 반영한 이용의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통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통행성향을 분석하고,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의향에 대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구축하여 개인의 통행행태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모형추정 결과,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주수단(승용차), 버스정류장 접근시간, 통행성향 변수(통행 비효용, 직접 운전, 인터넷/스마트폰 친화, 추가 지불 의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유 전동킥보드의 효율적인 운영과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행행태적 측면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내 초등학생들의 음주에 관한 지식 및 태도 (A Survey on Knowledge and Attitude in Dr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 문정순;양수;송경애;박선남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5-300
    • /
    • 2001
  •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blematic drinking prevention progra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 on drinking of the elementary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covering 630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in 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students under inquiry, $55.4\%$ answered they had the experience of drinking and $1.9\%$ of them enjoy the drinking. 2. The degree of drinking-related knowledge of respondents were 8.41point with the highest score being 13. The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udents with good school record and higher mothers' educational level than those of other group. 3. With respect to the attitude of students toward adults' drinking, $54.8\%$ responded that inebriated adults in the bus or subway cause inconvenience to others. Students who maintain good school grades, are satisfied with school lives, whose fathers have high educational background or who receive great attention from parents showed more negative and strict attitude toward adults' intoxicated appearance. Concerning the drinking at home, $51.6\%$ of respondents said they hope that adults do not drink at hom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of drinking and whose parents drink revealed more generous attitude toward adults' drinking at home than those who do not. With regard to the drinking of friends or senior students, $55.0\%$ of students said they try to stop the drinking. Respondents with no experience of drinking were more generous toward the drinking of friends and colleagues than those who drank before. Students who are in low graded. maintain high school marks, face no problems in school life or receive great attention from parents demonstrated greater disapproval of drinking. Most respondents$(65.3\%)$ said they were not interested in the scene of drinking in mass media. Those having experience of drinking or parents who drink showed more tolerant attitude toward drinking in mass media than those who do not. Students who are in low grades, face many problems in school life or receive small attention from parents showed greater tendency to find the scene of drinking attractive. 4. The more knowledge they get, the more rigid view they had in drinking.

  • PDF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의 보행자 사고율 모형 (Pedestrian Accident Rate Models of Circular Intersection Near Schools)

  • 손슬기;이민영;박병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1-331
    • /
    • 2017
  • 이 연구는 원형교차로의 안전성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에서의 보행자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학교 위치에 따른 보행자 사고를 비교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교통사고자료는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를 이용하여 8개년도(2007-2014년) 자료이다. 보행자 사고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모형이 이용되며, 종속변수는 교통사고율이다. 독립변수에는 교차로의 기하구조 요인과 교통량 등이 포함된 28개 변수가 선정된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개발에 앞서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와 인접하지 않은 원형교차로의 사고가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설검정을 실시한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일수록 사고가 오히려 적게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수정된 $R^2$값이 0.651-0.78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총 5개의 모형이 개발된다. 셋째,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모형 I-III)의 공통변수로는 분리교통섬 유무와 횡단보도 유무, 그리고 특정변수로는 원형교차로 유형, 초등학교 유무 및 정류장 유무가 채택된다. 넷째, 학교와 인접한 원형교차로와 인접하지 않은 원형교차로(모형 III-V)의 공통변수에는 분리교통섬 유무, 그리고 특정변수로는 원형교차로 유형, 초등학교유무, 횡단보도 유무, 감속시설 유무, 제한속도표지판 유무 및 유입차로 수가 선정된다. 따라서 학교 인접 원형교차로 유무에 따라 학생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원형교차로 횡단 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분리교통섬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는 횡단보도의 설치가 권장된다.

단선 일방통행 방식의 지하철과 주택가격의 관계 분석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순환선 구간 주변 연립다세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ingle-track Subway and Housing Price - Focused on Row and Multi-family House around Eungam Loop Line of Seoul Subway Line 6 -)

  • 소성규;오세준;이규태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2호
    • /
    • pp.39-56
    • /
    • 2019
  • 단선 일방통행 방식을 지하철 노선으로 도입한 사례는 국외에도 흔치 않은 사례이다. 국내에서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응암순환선이 대표적인 단선 일방통행 방식의 구간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응암순환선과 연립다세대 매매가격의 관계를 역과의 인접성 및 특징에 따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7년까지의 총 17,938건의 연립다세대 매매가격의 자료를 활용하여 헤도닉가격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암순환선특성으로 지하철역과의 인접성이 매매가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리구간별로는 100-200m 구간의 가격수준이 가장 높았고, 노선의 구조적 특징과 관련해서는 주요 지역으로의 이동성과 연결성이 우수한 불광역을 보행권으로 하는 연립다세대의 매매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입지특성으로 버스정류장, 마트, 학교와 인접할수록 매매가격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립다세대의 토지특성으로 토지면적은 작을수록 매매가격이 높았고, 토지의 세부적 특성인 형상과 방위, 도로접면에 따라서 매매가격에 미치는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넷째, 건물 및 소재층특성과 관련하여 주택유형과 건물규모, 경과연수, 승강기유무, 소재층에 따라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지하철역과의 인접성 및 특징에 따라 연립다세대의 가격에 미치는 효과가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비아파트 수요변화에 대응한 주택가격 분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고객특성별 골목상권 매출액 영향 연구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ustomer Characteristics on Sales of Alley Market Area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 강현모;이상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11-620
    • /
    • 2018
  •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와 함께 주요 사업대상이 되고 있는 골목상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골목상권 재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어떤 고객이 얼마나 많이 매출을 발생시키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특성이 골목상권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OLS 회귀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골목상권 매출액과 독립변수인 고객특성, 입지특성, 구조특성의 관계가 상권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적 이질성이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는 대안으로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수행한다. 모형 적합도를 $R^2$과 AICc를 통해 비교한 결과, 지리가중회귀분석이 OLS 회귀분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OLS 회귀분석을 통해 여성고객 비율과 40-50대 고객비율, 골목상권 내 종사자수, 사업체 창업률, 건축물 밀도, 골목상권 면적이 정의 영향을 주는 반면 20-30대 고객비율, 지하철역과의 거리, 버스정류장과의 거리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가중회귀분석의 국지적 회귀계수 값들을 골목상권별로 비교한 결과, 여성고객 비율은 서북권 골목상권 매출액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서남권과 도심권, 동북권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20-30대 고객비율과 40-50대 고객 비율은 동남권과 동북권 골목상권 매출액에 큰 영향을 주며 서남권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특성 중 성별과 연령에 한정된 분석만 수행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지만 골목상권별로 매출액 영향 요인을 식별함으로써 상권 활성화방안 수립과 도시재생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