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st error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1초

연속 및 버스트모드 통신을 위한 길쌈부호기와 비터비복호기 ASIC 설계 (Design of a convolutional encoder and viterbi cecoder ASIC for continuous and burst mode communications)

  • 장대익;김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984-995
    • /
    • 1996
  • Data errors according to the various noises caused in the satellite communication links are corrected by the Viterbi decoding algorithm which has extreme error correcting capability.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convolutional encoder and Viterbi decoder ASIC which is used to encode the input data at the transmit side and correct the errors of the received data at the receive side for use in the VSAT communication system. And this chip may be used in any BPSK, QPSK, or OQPSK transmission system. The ambiguity resolver corrects PSK modem ambiguities by delaying, interting, and/or exchanging code symbol to restore their original sequence and polarity. In case of previous decoding system, ambiguity state(AS) of data is resolved by external control logic and extra redundancy data are needed to resolve AS. But, by adopting decoder proposed in this paper, As of data is resolved automatically by internal logic of decoder in case of continuous mode, and by external As line withoug extra redudancy data in burst mode case. So, decoding parts are simple in continuous mode and transmission efficiency is increased in bust mode. The features of this chip are full duplex operation with independent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and clocks, start/stop inputs for use in burst mode systems, loopback function to verify encoder and decoder, and internal or external control to resolve ambinguity state. For verification of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 fabricated ASIC chip, we equiped this chip in the Central and Remote Earth Station of VSAT system, and did the performance test using the commerical INTELSAT VII under the real satellite link environmens. The results of test were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performance.

  • PDF

홀로그래픽 디지털 정보 저장장치에서의 이차원 인터리빙 구조 (Two-Dimensional Interleaving Structure of Holographic Digital Data Storage)

  • 김민승;한승훈;양병춘;이병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10호
    • /
    • pp.721-727
    • /
    • 2001
  • 본 논문에서 우리는 홀로그래픽 디지털 정보 저장 장치를 위한 2차원 인터리빙 구조를 제안한다. 이 저장장치에서는 다량의 디지털이진 정보를 2차원 정보 영상(1000×1000 bits) 안에 실어서 기록 및 재생,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 장치에서 발생하는 연집 오류(burst error) 또한 2차원의 형태를 띄게 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보 영상 안에서 효율적인 2차원 인터리빙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연집 오류의 형태와 위치가 불규칙적임을 감안하여 각 부호어의 bit들을 2차원 상으로 흩뜨리면, 각 부호어의 bit들은 정삼각 격자 구조를 이루며 분포해야 한다. 이러한 정삼각 격자 형태의 인터리빙을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Approximated Outage Probability for ADF Relay Systems with Burst MPSK and MQAM Symbol Transmission

  • Ko, Kyunbyoung;Lim, Sungm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1호
    • /
    • pp.7-14
    • /
    • 2015
  • In this paper, we derive the outage probability for M-ary phase shifting keying (MPSK) and M-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MQAM) burst transmission (BT) of adaptive decode-and-forward (ADF) cooperative relay systems over quasi-static Rayleigh fading channels. Within a burst, there are pilot symbols and data symbols. Pilot symbols are used for channel estimation schemes and each relay node's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chemes. At first, we focus on ADF relay systems in which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is derived on the basis of error events at relay nodes corresponding to channel estimation errors. Next, the average outage probability is derived as an approximate expression for an arbitrary link signal-to-noise ratio (SNR) for different modulation orders. Its accuracy is demonstrated by comparison with simulation results. Further, it is confirmed that BT-ADF relay systems with pilot symbol based channel estimation schemes enables to select correctly decoded relay nodes without additional signaling between relay nodes and the destination node, and it is verified that the ideal performance is achieved with small SNR loss.

Analysis of Delay Distribution and Rate Control over Burst-Error Wireless Channels

  • 이준구;이형극;이상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5A호
    • /
    • pp.355-362
    • /
    • 2009
  • In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s, delay constraint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QoS (Quality of Service) factor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delay requirement over wireless channels, since they exhibit dynamic time-varying behavior and even severe burst-errors during periods of deep fading. Channel throughput may be increased, but at the cost of the additional delays when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schemes are us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s, it is very essential to predict data deliverability. This paper derives the delay distribution and the successful delivery probability within a given delay budget using a priori channel model and a posteriori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queueing theory. The Gilbert-Elliot burst-noise channel is employed as an a Priori channel model, where a two-state Markov-modulated Bernoulli process $(MMBP_2)$ is used. for a posteriori information, the channel parameters, the queue-length and the initial channel state are assumed to be given. The numerical derivation is verified and analyzed via Monte Carlo simulations. This numerical derivation is then applied to a rate control scheme for real-time video transmission, where an optimal encoding rate is determined based on the future channel capacity and the distortion of the reconstructed pictures.

펄스형 Jamming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도약 대역확산 통신환경에서 쇄상부호 시스템의 적응 복호화 방식 (Adaptive Decoding Scheme of Concatenated Codes for Frequency-Hopped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with a Pulse-Burst Jamming)

  • 김정곤;김성대;김형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234-1243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pulse burst jammer가 존재하는 주파수 도약 대역확산 통신 환경하에서 쇄상부호 시스템의 적응 복호화 방식을 제안하고, 그것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쇄상부호 시스템의 내부부호로는 이진 BCH 부호를 사용하였고, 외부부호로는 널리 알려진 리드 솔로몬(Reed-Solomon)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고려된 복호화 방식은 통식채널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일반적인 잡음에 의한 비트오류 뿐만 아니라, Jammer에 대한 side information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erasure까지 동시에 정정할 수 있는 복호화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제안된 적응 복호화 방식에서는 가해지는 jamming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복호화 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jamming 신호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복호화 방식의 성능 평가를 위해 전체 블록 오류 확률이 사용되었으며, 컴퓨터 계산 결과, 제안된 적응 복호화 방식의 성능이 기존의 복호화 방식보다 훨씬 우수함을 볼 수 있다.

  • PDF

ATSC 3.0 물리계층 시스템의 주파수 인터리버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Frequency Interleaver for ATSC 3.0)

  • 임보미;박성익;김흥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15-216
    • /
    • 2015
  • 차세대 지상파 방송 규격인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3.0 에서는 OFDM 심볼내의 특정 부반송파 대역에서 발생하는 군집 오류(burst errors)로 인한 성능 열화를 극복하기 위하여 주파수 인터리버 (frequency interleaver) 기법을 채택하였다. 주파수 인터리버는 OFDM 심볼 내의 데이터의 위치를 랜덤하게 배열하여 채널에서 발생하는 군집 오류 (burst error)를 분산시켜 성능 열화를 극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채널 환경에서의 주파수 인터리버의 성능을 펑가하고 효과를 분석한다.

  • PDF

전력선에서의 에러 정정 코드에 의한 데이터 전송 성능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of Data Communications Using Error Control Codes on Electrical Power Lines)

  • 송왕철;정호영;김신령;강창언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28A권5호
    • /
    • pp.339-346
    • /
    • 1991
  •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system in the electrical power line using error correcting codes is analysed. The BCH codes and interleaved code are to be used for correcting burst and random errors in the power line channels. The data rate of 2400 bps and the carrier frequency of 12KHz are assumed. Actual power line noise is recorded and simulated in the BPSK PLC system model.

  • PDF

순환곱셈코드를 이용한 인코딩 및 디코딩 (Encoding and Decoding using Cyclic Product Code)

  • 김신령;강창언
    • 한국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신학회 1984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1-14
    • /
    • 1984
  • When the received sequence is not identical to the transmitted code word due to the channel nose effect, it is necessary to detect and correct errors. In this paper, it is shown how to construct the encoder and the decoder using cyclic product codes. this system combines random and burst error correction and is easily decodable. Performance has been obtained as expected.

  • PDF

길쌈 부호 복원 기법을 이용한 블라인드 블록 디인터리빙 (Blind Block Deinterleaving using Convolutional Code Reconstruction Method)

  • 정진우;윤동원;박철순;윤상범;이상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9호
    • /
    • pp.10-16
    • /
    • 2011
  • 채널 부호화된 심볼은 연집 오류(Burst error)에 취약한 특성으로 인해 송신단에서 인터리빙 과정을 거쳐 송신된다. 수신단에서는 채널을 통하여 발생된 연집 오류를 디인터리빙 과정을 통해 랜덤 오류(Random error)로 변화시키고 채널 복호화를 통하여 오류 정정 효과를 높인다. 그러나 수신단에서 송신단의 인터리버 파라미터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인터리빙은 특정 패턴에 의한 일종의 암호화로 볼 수 있으며 디인터리빙이 어렵게 된다. 최근 선형 블록 부호가 블록 인터리빙 되었을 때 선형 블록 부호의 선형성을 이용하여 인터리버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기법들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길쌈 부호가 인터리빙 되었을 때, 선형 블록 부호와 달리 부호어 길이에 따라 구분되는 선형성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 선형 블록 부호의 선형성을 이용한 방법으로는 인터리버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길쌈부호가 블록 인터리빙이 되었을 때 길쌈 부호 복원(Convolutional code reconstruction) 기법을 이용하여 블록 인터리버의 행과 열을 추정하는 블라인드 블록 디인터리빙 기법을 제안한다.

무선 ATM 가입자망에서 VBR 트래픽의 CLR 성능개선 (A Study on the CLR Performance Improvement for VBR Traffic in the Wireless ATM Access Network)

  • 이하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713-72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접속노드와 무선채널로 구성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기반의 무선 ATM 가입자망에서 VBR(Variable Bit Rate) 트래픽의 CLR(Cell Loss Ratio)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무선 ATM 가입자망의 트래픽 모델을 cell scale과 burst scale로 구분하여 분석한 후, 무선접속노드에서 VBR 트래픽의 CLR과 무선채널에서 랜덤에러 및 버스트 에러환경의 CLR 관계식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접속노드와 무선채널의 CLR이 서로 독립적인 관계임을 고려하여 무선 ATM가입자망의 CLR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무선 ATM 가입자망의 CLR을 바탕으로 기존의 SR(Selective Repeat)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보다 Type I Hybrid ARQ기법을 적용한 경우에 CLR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며 개선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