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blet developmen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7초

땅나리 기내 인편 배양시 광환경과 배양 절편체의 조건이 증식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and Scale Explant Conditions on Propagation Efficiency in Lilium callosum Scale Culture)

  • 박지영;유용권;정정학;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58-360
    • /
    • 1998
  • 본 실험은 자생나리인 땅나리의 기내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배양환경중 광환경 및 배양 절편체의 분화 능력 조건을 유도하여 자구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광조건은 24시간 지속적인 일장처리와 2,500~5,000 Lux 정도의 광도가 자구의 발달에 효과적이었다. 계대배양시 번무한 지상부를 자구의 연접부위까지 완전히 절단해 줌으로써 전반적인 식물체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고, 절편체의 크기가 클수록 자구수가 많았으나, 자구의 비대는 모인편의 크기가 작은 처리구에서 약간 우수하였다. 광을 많이 필요로 하는 땅나리는 기내 인편 배양시 치상방법을 배지면 위에 노출시켜 치상하는 것이 자구생산면에 있어서 효율적이었다.

  • PDF

아마릴리스의 미숙배와 인편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Immature Embryo and Bulb Scale Tissue of Hippeastrum hybridum)

  • 최은경;박학봉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1
    • /
    • 1998
  • 아마릴리스 'Picottee', 'White Christmas', 'Eldorado', 'Origin', Red Lion', 'Telstar', 'Crypsy'의 교잡배를 여러 농도의 2,4-D, NAA, BA, TDZ가 첨가된 MS배지에 배양한 결과, 0.5~3.0 ㎎/L 2,4-D에 비하여 0.5~3.0 ㎎/L NAA 처리구에서 줄기와 자구 분화가 양호하였다. 0.5㎎/L NAA 처리는 배양체로부터 높은 자구 형성율을 나타냈고, 줄기 분화율은 NAA 1.0㎎/L과 TDZ 2.0㎎/L 혼용처리구에서는 가장 높았다. 배지에 1.0~2.0㎎/L TDZ 첨가는 치상체당 더 많은 줄기를 분화시켰으나 1.0~2.0㎎/L BA 처리보다 뿌리의 발달은 억제되었다. 'Star Van Holland'의 인편을 배양했을 때 자구 형성은 0.5㎎/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Stimulation of In Vitro Bulblet Growth by the Addition of Liquid Medium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blanca'

  • Han Bong-Hee;Suh Eun-Jung;Choi Sung-Lyeol;Yae Byeoung-Woo;Yu Hee-Ju;Goo Dae-Ho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41-246
    • /
    • 2004
  • The bulb scales and shoot sections ($7\;\cal{mm}\;\times\;15\;\cal{mm}$) of Lilium oriental hybrid 'Casablanca' were cultured to compare bulblet growth in vitro. Shoots were induced from in vitro grown bulbscales on MS medium with $1.0\;\cal{mg/L}\;BA,\;0.5\;\cal{mg/L}$ IAA, and 30 g/L sucrose. The regenerated shoots were cut into shoot sections, and cultured on MS medium with $2.0\;\cal{mg/L}\;BA,\;0.5\;\cal{mg/L}$ IAA and 30 g/L sucrose for shoot proliferation. Culture of shoot sections stimulated bulblet growth significantly than the bulb scales on MS medium with 60 g/L sucrose. However, the bulblets from shoot sections did not reach ideal size to produce stems with several leaves. Therefore, liquid medium was added into the same vessels to stimulate bulblet growth further. After shoot sections were cultured on MS medium with 60 g/L sucrose and 2 g/L activated charcoal for two months in dark, $20\;\cal{ml}$ liquid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sucrose and MS salts were added. Two months later, the added liquid medium stimulated bulblet growth remarkably as compared to bulblets grown without added liquid medium. The added $25\;\cal{ml}$ liquid medium containing 120 g/L sucrose and double strength of MS salts were the most effective for growth of in vitro bulblets. More than $94\%$ bulblets produced by this method sprouted stems with several leaves after cold treatment at $5^{\circ}C$ for three months.

아마릴리스 (Hippeastrum hybridum Hort. 'Dazzler') 소화경 배양에 의한 효율적 기내번식 (Effective In Vitro Propagation from Pedicel Culture of Hippeastrum hybridum Hort. 'Dazzler')

  • 김명준;김영숙;김현순;고정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2-389
    • /
    • 2005
  • 아마릴리스 (Hippeastrum hybridum Hort. 'Dazzler')의 효율적인 기내 급속 대량 증식체계를 확립시키고자 개화15일전 화뢰와 부착된 소화경을 재료로 하여 적합한 치상체의 선별과 캘러스 및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어린 화뢰내 약, 화사, 주두, 화주 및 자방은 배양 중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캘러스 및 소자구를 형성하지 못하여 배양재료로 부적합하였으나 소화경절편에서는 캘러스 및 자구가 형성되어 치상재료로 적합하였다. 배지내 첨가된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치상체에서 직접 자구를 형성하거나 캘러스를 통해 식물체로 분화되는 2가지 경로로 형성되었는데 개화 15일전 소화경 절편을 0.5 mg/L LAA와 1.0 mg/L BA가 혼용처리된 MS 배지에 배양하여 $100\%$ 소자구형성 및 신초가 분화되어 효과적이었으며 소화경에서 직접 형성된 자구 또는 캘러스를 통해 분화된 신초는 성공적으로 식물체로 재분화 되었다.

식물조직배양용 바이오리액터의 농도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Bioreactor using the Plant Tissue Culture)

  • 정석현;노대현;강창호;강석원;한봉희;이기명;나영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307-312
    • /
    • 2004
  • 식물조직배양용 바이오리액터 8개의 배양액 P보, DO 농도를 on-line으로 계측하고 pH 농도 및 주입공기 량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제어용 컴퓨터 프로그램은 나리구근의 성장단계에 맞는 주입공기량을 추종제어방식으로 제어하며, 바이오리액터 내부의 pH 변화를 감지하여 오염을 감시하는 오염경보기능이 포함되어있다. 성장단계에 따라 적절한 주입공기량의 선정을 위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배양초기에는 300 cc/min, 20일 경과 후에는 400 cc/mim, 40일 경과 후에는 500 cc/min, 60일 경과 후에는 600 cc/min, 그리고 80일 경과 후부터는 700 cc/min의 공기를 주입할 경우 바이오리액터내 나리구근의 분포가 고르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를 바이오리액터 배양실험에 이용하였다 배양액의 pH 농도 제어 시스템은 배양 전 기간동안에 제어 목표 값 (5.5$\pm$0.5)로 제어할 수 있었다.

생장점배양에 의한 우량마늘 체계적 증식 II 기내 인경 비대에 미치는 질소 및 Sucrose의 영향 (Systematic Propagation of High Quality Garlic (Allium sativum L.) Through Shoot Apical Meristem Culture II. Effects of Sucrose Concentration and Nitrogen Source on In Vitro formation of Bulblets)

  • Lee, Eun-Mo;Lee, Young-Bok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3-200
    • /
    • 1994
  • 마늘 생장점 배양을 통한 효율적인 우량종구 증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기내배양시 유식물체 분화 및 기내인경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식물체 분화는 sucrose 및 질소 공급형태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유식물체의 생장은 NO$_3$-N 공급시 저조하고, NH$_4$-N 및 NH$_4$+ NO$_3$ 공급형태에서 양호하였으며 특히 2차 계대배양시 질소형태를 바꾸워 공급할 경우 더욱 촉진되었다. 기내인경 비대는 NH$_4$-N를 공급하였을 때와 고농도의 Sucrose을 첨가하였을 때 촉진되었으며, 특히 유식물체에 저온처리를 하면 그 효과가 더 상승되었다. 기내배양에서 마늘의 생장에 이용되는 질소형태는 NH$_4$-N 이며, NO$_3$-N을 공급하면 흡수가 거의 되지 않고, $K^{+}$흡수도 저조하였다. Ethylene의 발생은 질소 공급 형태와 관계없이 8% sucrose 고농도에서 더 많이 발생되었다.

  • PDF

Large-scale Culture of Plant Cell and Tissue by Bioreactor System

  • Son, Sung-Ho;Park, Sung-Mee;Park, Seung -Yun;Kwon, Oh-Woung;Lee, Yun-Hee;Paek, Kee-Yoeup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1-7
    • /
    • 1999
  • Large-scale cultures of plant cell, tissue, and organ have been achieved by using BTBB. When different sized BTBBs (5 L, 20 L, 100 L, 300 L, and 500 L) were tested for the culture of yew cells (Taxus cuspidata Sieb. et Zucc.), cell growth increment reached to 94.5% in SCV after 24 days of culture with 30% of inoculation cell density. However, there were some variations in the production of taxol and its derivatives among the BTBBs of different size. Approximate 4 ㎎/l of taxol and 84 ㎎/l of total taxanes were obtained by using a 500L BTBB after 6 weeks of culture. With a 20L BTBB, about 20,000 cuttings of virus-free potatoes (cv. Dejima) could be obtained by inoculating 128 explants and maintaining 8 weeks under 16 hr light illumination. The frequency of ex vitro rooting of the cuttings revealed as more than 99% under 30% shade. By incorporating two-stage culture process consisting of multiple bulblet formation in solid medium and bulblet development in liquid medium, mass propagation of lily through bioreactor seemed to be possible. In the case of 'Marcopolo', the growth of mini-bulblets in BTBB was nearly 10 folds faster than that of the solid medium. Time course study revealed that maximum MAR yield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n a 5 L and 20 L BTBB after 8 weeks of culture was 500 g and 2.2 ㎏, respectively. By cutting the MAR once and/or twice during the culture, the yield of root biomass could be increased more than 50% in fresh weight at the time of harvest. With initial inoculum of 500 g of sliced MAR in a 500 L BTBB, 74.8 ㎏ of adventitious root mass was obtained after 8 weeks of culture. The average content of total ginseng saponin obtained from small-scale and/or pilotscale BTBBs was approximately 1% per gram dry weight. Based on our results, we suggest that large-scale cultures of plant cell, tissue, and organ using BTBB system should be quite a feasible approach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 of tissue culture.

  • PDF

패모조직배양에서 생장조절 물질이 자구형성 및 식물체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Bulblet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Fritillaria thunbergii Miq.)

  • 박철형;류점호;한광수;두홍수;최선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9-125
    • /
    • 1996
  • 패모의 조직배양에 있어서 대량 증식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LS배지에 2, 4-D와 kinetin, NAA와 BA를 단독 또는 혼용처리에 의한 자구(子球)의 수 및 비대(肥大) 정도(程度), 부정아(不定芽)의 수(數) 및 크기, 캘러스 유기율 뿌리의 발생율, 암배양과 명배양의 차이,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배지 지지물이 자구(子球)의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편(鱗片) 조직의 배양에서 자구(子球) 형성을 NAA와 BA의 처리구보다 2, 4-D와 kinetin의 처리구에서 양호하였고, 부정아(不定芽)의 수는 2, 4-D 2 mg/L과 kinetin 1 mg/L 처리구에서 많았으며, 캘러스 형성은 kinetin 처리와는 관계없이 2, 4-D 농도가 $1{\sim}2\;mg/L$인 단독 처리구에서, 뿌리의 발생은 NAA $1{\sim}3\;mg/L$의 단독처리구에서 생장이 양호하였다. 2. 절조직(節組織)에서는 kinetin 5 mg/L를 첨가하였을 때 자구(子球) 형성율이 가장 높았으며, 절(節) 부분의 액아(腋芽)에서 자구(子球)가 출현하였다. 3. 암배양보다 16시간 명배양이 인편(鱗片)의 자구(子球), shoot, 캘러스 및 뿌리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이었다. 4. 식물체 재분화는 2, 4-D 0. 2 mg/L과 kinetin 1 mg/L 처리구에서 양호하였으며, 생장조절 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식물체의 크기 및 뿌리의 형성이 양호하였다. 5. 배지 지지물은 phytagel이 한천(寒天)보다 shoot의 수 및 크기에서 효과적이었다.

  • PDF

Establishment of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system from leaf explants of Pinellia koreana via bulblets formation

  • Oh, Myung-Jin;Park, Jong-Mi;Lee, Bu-Youn;Choi, Pil-Son;Tae, Kyoung-Hwan;Kim, Suk-Weo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193-196
    • /
    • 2009
  • Pinellia koreana K-H Tae & J-H Kim is a recently discovered Korea endemic medicinal plant species whose natural habitat is rapidly destroyed by industrial development. Described in this paper are culture conditions for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via bulblet formation from leaf explant cultures of P. koreana. Leaf explants formed white nodular structures and off-white calluses at a frequency of 91.2% when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 mg/L BA and 0.5 mg/L NAA. However, the frequency of white nodular structures and off-white calluses formation was slightly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concentration of NAA up to 4 mg/L, where the frequency reached 31.7%. Most petiole explants did not form white nodular structures and off-white calluses except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2 mg/L BA and 2 mg/L NAA. Upon transfer onto MS basal medium, over 90% of nodular structures gave rise to numerous bulblets and developed into plantlets. Plantlets regenerated from bulblets were transplanted to potting soil and grown to maturity at a survival rate of over 95% in a growth chamber. Therefore, the in vitro plant regeneration system of P. koreana obtain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mass propagation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of P. kore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