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b stem diamet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백합의 품종 및 구근크기가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 Circumference and Cultivar on the Cut Flower Quality in Lily.)

  • 김재윤;홍종원;한고운;장유진;박천호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197-201
    • /
    • 2011
  • 본 연구는 고품질 절화백합 생산을 하기 위해 실제 유통 중인 7품종을 구주를 달리 하여 식재하고, 채화 후 구주와 품종이 절화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절화품질을 측정한 결과, 화뢰장은 'Medusa', 품종, 절화장은 'Mother's Choice' 품종에서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줄기휨각도는 'Mother's choice' 품종과 'Ismael' 품종을 제외한 모든 품종이 $30^{\circ}$ 이상으로 나타났다. 화경장, 화서장, 경경, 꽃 수, 중량 모두 구주가 클수록 좋은 결과를 보였다. 절화품질 중 화뢰장, 절화장, 꽃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주의 크기이며, 휨각도는 품종과 구주의 크기 모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절화품질은 품종보다는 구주에 영향을 받으며 크기가 커질수록 좋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콜라비의 생육과 품질에 대한 적정 재식밀도 (Optimal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hlrabi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 운찬일;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4-109
    • /
    • 2019
  • 식물공장에 재배 가능한 작물은 매우 다양할 것으로 본다. 식물공장에서 재식밀도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콜라비의 재배에 적합한 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형태는 형광등을 이용한 완전제어형태로, 박막수경재배를 이용하여 재배하였다. 재식밀도는 $22plants/m^2(15{\times}30cm)$, $27plants/m^2(15{\times}25cm)$, 그리고 $33plants/m^2(15{\times}20cm)$로 처리하였다. 식물체당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또는 식물체당 벌브의 지상부 생체중와 건물중에는 재식밀도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위면적당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또는 단위면적당 벌브의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에는 재식밀도가 높은 처리구($33plants/m^2$)에서 높게 나타났다. 재식밀도와 초장, 엽면적, 광합성, 경도 및 엽록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식밀도와 벌브 높이와 지름 및 당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재식밀도가 낮은 $22plants/m^2$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벌브 높이와 지름을 보였으며, 당도 또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경제성을 고려한 생육적인 측면에서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은 재식밀도 $33plants/m^2(15{\times}20cm)$가 적정하였으나, 당도와 같은 품질적인 측면에서는 재식밀도 $22plants/m^2(15{\times}30cm)$가 적정하였다.

제주지역에서 구경크기에 따른 식용 Canna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 Siz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od Canna in Jeju Island)

  • 조남기;송창길;조익환;강봉균;조영일;고미라;박성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3-128
    • /
    • 2004
  • 본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식용 Canna의 구경크기에 따른(10, 15, 20, 25cm) 생육특성 및 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구경크기 l0cm 파종에서 78.8cm 이었던 것이,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구경 25cm 크기에서는 129.1cm 커졌다($y^*=2.71x+60.7667$). 구경크기에 따른 엽장, 엽폭, 엽수, 분지수, 경직경 및 구경수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초수량, 구경수량 및 총 생체수량(지상부중+구경중)은 구경 10cm 파종구에서 각각 14M7/ha, 15MT/ha, 29MT/ha이었으나,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구경 25cm 크기 파종구에서 생초수량은 31.2MT/ha, 구경수량은 35.6MT/ha, 총 생체수량은 66.8MT/ha로 증수되었다.

마늘 생장점 조직배양 후 포장에서의 년차별 생육 및 수량특성 변화 (Yield change of seed bulb according to annual field culture after induced meristem culture in garlic (Allium sativum L.))

  • 권영석;최인후;김철우;최민선;곽정호;임용표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05-311
    • /
    • 2015
  • In this research, we surveyed the yield change of garlic cultivation with seed bulbs according to annual field culture after induced meristem culture. From 2007 to 2013, yearly produced seed bulbs from $2^{nd}$ to $8^{th}$ generation were cultivated in the Muan field. Over the generations, the general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lant height, leaf number, leaf length and stem diameter were all decreased. When we compared the conventional seed bulbs and TCR ones, the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showed bigger difference. And the TCR seed bulbs showed a week late harvest time against the conventional ones. The yield of $2^{nd}$ generation was 72.3 g and 57.1 g for the $8^{th}$ generation. However every generation showed higher yield than conventional seed garlic's ones as 43.9 g. The yield index showed the same trend as $2^{nd}-8^{th}$ to 63% to 21%. After the tissue culture of garlics, the viral infections (OYDV and GSV) of TCR was far less than that of conventional ones. In case of LYSV, the infection ratio was 6.7% at $2^{nd}$ generation and 26% at $8^{th}$. However, the ratio was far less than that (80%) of the conventional ones.

다층모형을 활용한 양파 구중 추정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onion's bulb weight using multi-level model)

  • 김준기;최성천;김재휘;서홍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33권6호
    • /
    • pp.763-776
    • /
    • 2020
  • 양파는 기상여건에 따른 작황의 변동성이 커 생산량 및 가격 변화가 크다. 정부는 양파를 수급 민감 품목으로 지정하여 다양한 수급 안정대책을 마련하고 시행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선제적이고 신뢰도 높은 양파 생산량 예측 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파의 5월 초 지상부 생육정보와 5월 초부터 수확기까지의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생구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함으로써 생산량 예측의 정확도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위계적 특성을 갖고 있는 자료를 통해 개체별 생육요인인 1-수준 자료와 필지별 기상요인인 2-수준 자료, 그리고 두 수준 간 상호작용을 고려한 다층모형을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월 초에 엽수, 엽초경, 초장의 생육이 좋을수록 최종 생구 무게는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5월 초부터 수확기까지의 기상요인에서는 강수량, 고온일수, 탄소동화저해일수가 생구 무게에 음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일교차와 수확전강수량은 양의 효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1-수준과 2-수준의 교호작용항을 고려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설명력을 향상시켰다.

Lilium elegans 'Connecticut King'의 촉성재배(促成栽培)에 있어서 구근(球根)의 숙도(熟度) 및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이 생육(生育) 및 개화(開花)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degree of maturity and duration of cold treatmen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L. elegans 'Connecticut King' bulb)

  • 이정;신학기;최상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147-155
    • /
    • 1991
  • 노지재배(露地栽培)한 Lilium elegans 'Connecticut king'의 구근(球根) 굴취시기(掘取時期)를 개화기(開花期)인 6월 5일부터 7월 25일까지 10일(日) 간격(間隔)으로 나누고 잔존엽수(殘存葉數)를 달리해서 일정기간(一定期間) 냉장처리(冷藏處理)($3{\pm}1^{\circ}C$, 0~105일간(日間) 8처리(處理))한 후(後) 촉성재배(促成栽培)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맹아율(萌芽率)은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이 길어질수록, 잔존엽수(殘存葉數)가 많을수록 그리고 구근비대기간(球根肥大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개화기(開花期)의 미숙구근(未熟球根)도 짧은 저온처리(低溫處理)로 높은 맹아율(萌芽率)을 나타내었다. 개화율(開花率)을 보면 개화기(開花期)의 미숙구근(未熟球根)과 엽(葉) 10매(枚)를 남기고 50일간(日間) 비대(肥大)시킨 구근(球根) 그리고 엽(葉)20매(枚)를 남기고 30일이상(日以上) 비대(肥大)시킨 구근(球根)을 9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하였을때, 또 전엽(全葉)을 남기고 30일이상(日以上) 비대(肥大)시킨 구근(球根)을 6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했을때 90%이상(以上)의 높은 개화율(開花率)을 나타내었다. 2. 맹아(萌芽) 및 개화(開花)소요일수(日數)는 저온처리일수(低溫處理日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傾向)이었으며 특히 개화(開花)소요일수(日數)에 있에서는 개화기(開花期)의 미숙구근(未熟球根)이 타(他) 처리구(處理區)에 비해 가장 짧았고 정식(定植) 후(後) 100 일 이내에 개화(開花)시킬 수 있었다. 3. 초장(草長), 착화수(着花數), 경경(莖經)등은 공히 개화후(開花後) 구근비대기간(球根肥大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개화기의 미숙구근(未熟球根)이 가장 저조한 생육(生育)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구(大球)를 사용(使用)한다면 구근비대기간(球根肥大期間)없이 개화기(開花期)의 미숙구근(未熟球根)을 사용(使用)하여 연내(年內) 절화재배(切花栽培)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제주지역에서 지렁이분 시비량 차이가 식용 Canna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m Casting level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od Canna in Jeju Island)

  • 송창길;조남기;조익환;강봉균;고미라;박성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3-99
    • /
    • 2004
  •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warm casting rate(0, 100, 200, 300, 400, 500kg/10a) for the yield of food canna in jeju island. The plant height was ranged from 109.4 to 1347cm as organic fertilizer of worm casting increased from 0 to 500kg/10a, but it was no significance between 400 to 500kg/10a.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number of tillers and bulb per plant were shown higher as the amount of worm casting was increased. Stem diameter were the same trend with plant height response. Fresh yield of food canna increased significantly 134 to 22.6MT/ha as fertilizer rate increased from 0 to 500kg/10a. Fresh weight of above-ground pan and blub were shown the same trend with fresh yield of food canna.

  • PDF

충남 홍성지역에서 자란 비목나무(Lindera erythrocarpa)의 열기건조스케쥴 개발 (Development of a Kiln Dry Schedule for Lindera erythrocarpa Grown in Hongsung, Chungnam Province, Korea)

  • 강춘원;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10-16
    • /
    • 2018
  • 비목나무는 줄기가 곧고 직경이 40 cm까지 자라지만 아직 미사용되고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수종을 이용하려면 먼저 그 수종의 열기건조스케쥴을 찾아야 한다. 비목나무의 열기건조스케쥴을 테라자와의 오븐급속건조법으로 추정하였으며, 열기건조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비목나무의 평균 생재함수율과 평균 생재비중은 각각 72.3%과 0.53이다. 테라자와의 오븐급속건조법을 사용하여 얻은 25 mm 두께 비목나무의 가장 안전한 건조조건은 초기건조온도 $50^{\circ}C$, 초기건습구온도차 $4^{\circ}C$, 말기건조온도 $75^{\circ}C$이다. 이러한 조건에 맞는 미임산물연구소 스케쥴은 T5-D4이다. 추정 열기건조스케쥴 T5-D4와 새로운 개량 열기건조스케쥴 T8-C5로 25 mm 판재를 건조한 결과, 모두 불가피하게 발생한 수심재터짐 이외에는 내부할렬과 틀어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양파 중생계 웅성불임 중간모본 '원예 30001' (Mid-late Maturing Male Sterile Line of Onion (Allium cepa L.) 'Wonye 30001')

  • 김철우;이을태;최인후;장영석;서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4-297
    • /
    • 2010
  • 양파 중간모본 웅성불임 계통 '원예30001'은 2000년 Ginque 자식 집단에서 웅성불임개체를 선발하여 고정종 자식계통 YG-1-1을 교배하여 2002년에 유지계통을 선발하고 2009년까지 4회 여교잡을 하여 계통의 안정성을 확인한 후 MMS17로 명명하여 2009년에 직무육성신품종 심사를 거쳐 2010년에 국립종자원에 '원예30001'로 명명하여 품종보호 출원하였다. '원예30001'은 웅성불임(CMS-S)계통으로 초형은 반개장형이며 도복기는 5월 20일이다. 초장은 57 cm, 엽수 8매, 엽초경은 15.9 cm로 지상부의 생육이 왕성하며 구중은 260 g, 구형지수 89인 원형 황색 양파계통이다. 노균병에 중간 정도의 저항성이 있으나 내한성과 저장성은 강하다. 모구의 채종 특성으로 개화기는 5월 23일이며 구당 화경수는 6개, 화경 장은 135 cm이며 화구 폭은 84 mm이며 100% 웅성불임 이다.

생분해성 멀칭필름이 토양환경과 양파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degradable Film Mulching on Soil Environment and Onion Growth and Yield)

  • 정지식;박도원;최현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207-215
    • /
    • 2023
  • 농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분해성 멀칭필름 2종(BFI, BFII)이 토양환경과 동계작물인 양파(Allium cepa L.)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무처리(NM)와 PE필름(PEF)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 생분해 필름은 150일 차부터 필름 표면의 붕괴가 모두 육안상 관찰되었다. 2. BFII 자재 내 투광률은 150일 차부터 증가하였고, 180일차 이후에는 중량 유지율이 90% 이하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경운 후 분해율도 가장 빨랐다. 3. 토양수분함량은 NM 처리구에서 -14 kP~0 kPa까지 가장 변동 폭이 컸고 토양 최소온도는 BFI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4. 토양 유기물 함량은 멀칭구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고, 토양 내 무기성분 및 용적밀도, 세균 수는 처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양파의 뿌리신장은 생육 초기인 60일 차까지는 PEF와 BFI 처리에서 증가 폭이 컸고 줄기는 150일 차부터 PEF와 BFI에서 가장 많이 신장되었다. 6. 180일 차에 양파의 직경과 길이 및 무게, 그리고 도복율도 PEF와 BFI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7. 230일 차에 양파 구근을 크기별로 분류한 결과, 양파 "특"의 수량은 BFI 처리에서 ha당 55.3톤으로 가장 많아 상품성이 높았고, PE (49.3톤), NM (9.4톤), BFII (2.7톤) 순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