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ding of stair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건축에 장식된 태극의 시원과 변천 (The Beginning and Transition for the Emergence of Taegeuk Pattern in Korean Buildings)

  • 구욱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7호
    • /
    • pp.107-118
    • /
    • 2018
  • Taegeuk is Korea's flagship pattern, which has been handed down over centuries. During the Joseon era, it had an influence on all places such as the left side of the building and arrangement. In addition, Taegeuk was a bowl which contains the philosophy of right now. In Neo-Confucianism, it was understood that yin and yang were divided into five elements and created the universe. In buildings, Taegeuk was mostly used as decoration on the stylobate and doors. Taegeuk contains the fundamental thoughts about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In architecture, it plays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spaces. In ancient times, it was used as byeoksa. Entering the Joseon era, it played a role as a bor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important in protecting the country. A Taegeuk pattern varies in diverse shapes to represent its dynamic aspects. After passing through many different stages, it developed into the pattern of today.

피난계단 출입구 유효너비가 수용인원의 피난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ffective width of the Exit of the Evacuation Stairs on the Evacuation Time of the Occupants)

  • 양성훈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73-79
    • /
    • 2022
  • 연구목적: 건축법에 따라 설치되는 피난계단 출입구의 최소 유효 폭(90cm) 기준이 해당 층을 사용하는 전체 재실자의 피난 시간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피난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출입구 폭의 변화에 따라 재실자의 피난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피난 시뮬레이션(Pathfinder)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출입구의 유효 폭이 최소기준 90cm보다 커지면 커질수록 피난계단으로의 피난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더불어 출입구의 너비가 일정 크기 이상 되면 피난 시간은 더는 단축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이는 해당 층 전체 재실자의 수에 따라 피난계단 출입구의 유효 너비를 적정하게 달리 적용할 수 있다는 방증(傍證)이기도 한 것이다. 결론: 앞으로는 재실자의 피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용도별 전체 수용인원을 고려한 피난 계단 출입구 유효 폭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연구 및 실험을 통해 용도별 수용인원에 따른 다양한 출입구 유효 폭 기준이 만들어진다면 재실자의 피난 효율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범어사 보제루의 복원을 위한 건축형식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orm for the Restoration of Boje-roo in Beomeo-sa)

  • 서치상;윤석환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6호
    • /
    • pp.127-144
    • /
    • 2009
  •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form for the restoration of noogak(樓閣), Boje-roo(普濟樓) which was constructed at the central court of Beomeo-sa(梵魚寺). The results are as follow; 1. Boje-roo was established in 1700. By the constructional records and poetic essays of the times, the architectural of the establishment building was consisted fo two stories structure. The passage system for the approach to the court was the nuha-jinip(樓下進入), that is to say, one might walk between the columns of lower story of the building. And one could ascent the upper stairs and approach to the upper level, inner court. 2. By the remodelling in 1812, the building was varied to one story structure. Therefore the passage system for the approach to the inner court transformed from the nuha-jinip to the ugak-jinip(隅角進入), that is to say, one might ascent the atairs of the podium and could approach the inner court through the both sides of the building. 3.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the structure of it's roof and walls of Boje-roo were altered to the Japanese style. In 1965, the wooden columns were shifted to the concreted column, and the wooden wall-panels were shifted to the brick wall attached stone slates. 4. Conclusively speaking, for the restoration of Boje-roo, the establishment form in 1700 is the more proper than the remodelling form in 1812.

  • PDF

필로티 구조의 공동주택 화재 위험성 연구 - 의정부 대봉그린 도시형아파트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ire Risk of Apartment House with Pilotis Structure - Focused on the Fire case of Uijeongbu-si Urban Livig Homes -)

  • 최승복;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48-54
    • /
    • 2016
  • 대부분 필로티 구조 건물은 필로티를 통해야만 출입이 가능한 구조이고 주차장으로 사용할 경우 차량이 연쇄적으로 소훼되면서 짧은 시간에 필로티 전체로 확산된다. 연소 하중이 높은 차량과 천장 단열재에서 생성된 뜨거운 열기와 유독가스는 출입문을 파손시키고 건물내부로 유입되어 계단과 승강기 그리고 전선이 지나가는 피트(EPS)와 같은 경로를 통해 건물 상층으로 확대된다. 필로티에서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은 다양하다. 만약 이곳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입주민들은 건물에 갇혀 생존에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필로티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고 139명의 다친 의정부 아파트 화재 사례를 살펴보고 필로티 구조의 건물의 화재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건물 계단 이용에 따른 심폐기능의 변화 (Variation of Cardiopulmonary Function by Use of Building Stairs)

  • 이승주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89-995
    • /
    • 1996
  • 본 연구는 건물 계단을 올라감에 따른 심폐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안동전문대학 물리치료과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학생 총 136명 중 5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1995년 9월 20일에서 10월 3일까지 14일간 조사된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신장은 평균 166.4cm, 체중은 57.7kg이었다. 2. 안정시 수축기혈압은 평균 121.3mmHg, 이완기 혈압은 78.5 mmHg였다. 3. 안정시 맥박수는 평균 71.8회, 호흡수는 20.4회, 체온은 $36.8^{\circ}C$였다. 각 층에서 심폐기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측정 후 2, 3, 4충간의 수축기혈압은 각각 129.0 mmHg, 127.0 mmHg, 132.0 mmHg로 3층에서는 약간 낮았으나 점차 증가하였고 (P=0.1919), 이완기혈압도 80.1mmHg, 76.5mmHg, 82.0 mmHg로 3층에서 약간 낮은 후 점차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4229). 2. 맥박수는 2, 3, 4층에서 각각 74.0회, 73.1 회, 74.0회로 충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 0.8148). 3. 호흡수는 2, 3, 4층에서 21.4회, 23.1회, 24.6회로 층수가 높아짐에 따라 횟수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71). 4. 체온은 2, 3, 4층에서 36.8, 36.6, $36.5^{\circ}C$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짐을 나타내었다(P=0.0040).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건물의 계단을 올라감에 따라 호흡수는 증가하였고, 체온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중추신경계환자 및 노약자들은 이 점을 의식해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측정을 실시하였지만 향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auses of Casualties in Jecheon Sports Center Fire - Focus on Structural Factors of Building and Equipment -)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86-94
    • /
    • 2018
  •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로 29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논문에서는 스포츠센터 화재 사례에 대해 다수 사상자가 발생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저자의 화재조사 결과를 토대로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은 필로티 구조의 주차장, 필로티 주차장과 로비 사이 방화구획 미비, 필로티 주차장에 스프링클러설비 미설치, 1층 주계단에 방화문 미설치, 옥상에 소화수조 미설치, 2층 주출입구에 벽체 매립형 방화문 설치, EPS실 및 배관 피트 층별 방화구획 부실, 배수배관 연결부의 누수, 화물용 승강기의 승강로와 실내에 면하는 벽체에 합판 설치, 폐쇄형 옥상구조로 개조, 주차장 반자 안쪽 천장에 스티로폼 단열재 부착, 2층 여탕 무창층 강화유리 구조, 드라이비트 외벽으로 분석하였다.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 평면구성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with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of Stimson hall, Underwood hall, Appenzeller hall in Yonsei University)

  • 안대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23-431
    • /
    • 2016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의 주요 건물인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 스팀슨관의 평면계획에 대한 특징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이 건물들은 일제강점기에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건립된 대표적인 대학으로서 가치가 있다. 게다가, 이 건물들은 마스터플랜을 먼저 제작하고 각각의 건물들이 건립되었다. 그래서 이 건물들은 많은 공통점을 가지지만 반면에 각 건물들은 개별적인 특성 또한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각 건물들의 계단, 복도, 홀 등의 공용공간을 비교 분석하여 각 건물들의 서로 다른 점을 특징으로서 찾아보고자 하는데 첫 번째 목적이 있다. 각 건물들은 서로 다른 기능을 포함하여야 했기 때문에 평면 계획에서 공용공간과 각 실들의 배치 방식 등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밖에 없었다. 두 번째로는 평면 계획과 마스터 플랜, 입면 계획, 구조계획 등 다른 건축 계획과의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관성은 각 건물들이 가진 평면계획의 개별적인 특징들이 각 건물의 전반적인 건축계획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피나코텍 데 모데르네 설계과정에 나타난 알테스뮤지엄의 영향 (The Influence of Architecture on the Altes Museum in Designing the Pinakothek der Moderne)

  • 조자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3-10
    • /
    • 2011
  • In the phase of an architectural designing, the Pinakothek der Modeme in Munich is considered that it is influenced by the Altes Museum in Berlin. The critical elements were composed of the classification of Tominaka and my points of view. Two buildings were analyzed for comparison by six elements, such as, a spatial construction, an organization of plan, an organization of section, a composition of elevation, a method of construction and a composition of ma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at the design of the Pinakothek der modeme was influenced by the Altes Museum as follows: 1)the use of square and circle in the composition of plan, 2)the use of a curtain of columns and a formation of the transitional space between columns and front wall, 3)the location and function of the main stairs and the inner court, 4)the arrangement of exhibition halls, 5)the covering of dome, 6)the unification of spaces of different floors through the rotunda. This study may be helpful for any architects who make a decision of the method and the range of reference to some other building in the beginning of design.

한국사찰건축의 경계공간에 나타난 위상기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y space in the korean Buddhist temples architecture)

  • 배강원;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26-34
    • /
    • 2005
  • The systematic way of the boundary thought in Buddhism, when applied to the principles of building, determines certain forms to certain temples, and organizes their topological boundary concept structure - the continuous experience of the visitor from his/her entry bridge(connecting), through the main temple gate(neighbourhood), pavilion gate(including), stairs(continuance), to the arrival at the pavilion of the god of a mountain(spiral), which reconstitutes the Buddhist boundary symbolism and philosophy. The topological boundary spaces of temples are an architectural manifestation of Buddhism's Mahayana boundary concept aspects, whose object is to play a productive and active role in the enlightenment of people, serving the very basic end of the religion. The disciplined topological boundary spaces of the temple, as a reification of the boundary symbolisms of Buddhist topological cosmology, corresponds to Buddha-Ksetra, the highest state of existence in the universe. Visitors to the temple a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world of abundant Buddhist boundary concept symbols, and through this process, is enabled to elevate oneself to the transcendent topological boundary world and have a simulated experience of liberation.

아파트 단위주거 내부생활소음의 특성과 실태 (Actual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Indoor Noise Including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Units)

  • 최윤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3-90
    • /
    • 2009
  •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improving the dwelling quality of apartment house as a kind of multi-family hous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state on characteristics of indoor noise including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units. The method was field survey consisted of field measurements on equivalent noise level, observation on noise type, and interview on residents' responses. Field survey were carried out in 20 occupied apartment units from January to March 2007.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verages of indoor noise levels including residents' living noise were measured as $43.9{\sim}62.2\;dB(A)_{Leq5min}$, the average of each house except one was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45 dB(A). 2) The noise types observed were mostly residents' living noise and classified into 'water hammer', 'living equipment noise', 'noise by family', 'hood noise', 'kitchen noise' in own unit, 'walking and talking noise in stairs and corridors', 'noise by neighborhood house', 'noise by the upper story' in building, and outdoor noise. 3) The residents showed slightly non-positive responses at 'noise by the upper story', 'noise by neighborhood house', 'water hammer', and 'noise by famil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lan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dwelling quality by residents' living noise in own unit as well as by neighborhood ho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