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uddhism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27초

불자(佛子)들과 교사 및 학생들의 생명 및 생물 분류 개념 비교 (A Study of Conception about Life and Biological Classification of Buddhists,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 구슬애;차희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279-292
    • /
    • 2012
  • 본 연구는 종교를 개념 생태(conceptual ecology)의 한 요소인 형이상학적 신념으로 보고 우리나라에 전파된 지 가장 오래된 종교인 불교에서 통용되는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주 및 분류 체계를 불경 및 불자들을 통해 알아보고, 불교를 종교로 가지고 있지 않는 생물 교사, 기타 과목 교사, 고등학생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불교에서는 생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중생(衆生), 유정(有情)을 사용하며, 생물학적 입장과는 달리 개체적인 생명 개념이 아닌 모두가 하나의 공동 운명체로 연결된 연기(緣起)라는 개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불교에서는 식물을 생명체로 즉, 중생(衆生)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불교에서 생명을 가진 것들 즉, 중생(衆生)을 분류하는 방법은 탄생 방식, 형태의 유무, 지각의 유무로 구분하고 있었는데, 불교의 생명 개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 방법은 지각의 유무였다. 생명과 생물 분류 개념은 생물 개념학습의 근간이 되는 개념으로 개념 생태적으로 사회문화적인 영향으로 형성되는 생물개념들은 생물학습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친다. 생물교사들은 이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불자들이 가지고 있는 생명 및 생물분류개념에 대한 선개념을 파악함으로써 구성주의 교수학습 준비에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7.8세기 동아시아 2탑식가람의 생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Buddhist Temple having two pagodas in 7-8th centuries)

  • 김상태;박언곤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4호
    • /
    • pp.7-26
    • /
    • 2003
  • This article works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Buddhist Temple with two pagodas in the Eastern Asia. in 7-8th centuries. This study was motivated from the observation that why there are many the Buddhist Temple having two pagodas only around the late 7th century, roughly around 670 A.D.. This period corresponds to the Silla Dynasty(in Korean History) and Hakuho Period(in Japan History) among the Eastern Asia while the composition of the temple being changed as Buddhism spreads out from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The appearance of the Buddhist Temple having two pagodas was result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ology in Botabpum(dogma of pagoda security) of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that is to say, two Buddhas sit side by side and iconography of Esoteric Buddhism dogma supports the spirit for defending one's country. Buddhist Temple having two pagodas in China had separate tab-won(areas with pagodas outer temple building block). Buddhist Temple having two pagodas in Korea had begun with sacheunwangsa temple in Unified-Silla. But it had two pagodas with inner temple area instead of outer. This was different from the composition of China. It can be related to the layout of the temple haying two pagodas in East-Jin(in China History) and the sculpture of two pagodas in Ungang-stonecave(in China). Thus the layout of the Buddhist Temple having two pagodas in Silla had been originated from that of China, but was developed to the main temple layout on her own accord. As Japanese Temple having two pagodas had been influenced diplomatically, it had two pagodas inner area as like the layout in Shilla. But later under the influence of Tang it was modified to the layout having them in separate area. And this influence can be seen for example Tangchojaesa temple. For the more, We call see that the diplomatic trends according to the policies in East asia affected to Buddhism and then naturally also to the layout of the Buddhist Temple.

  • PDF

영남지방 비보(裨補)의 기원(起源)과 확산(擴散)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An Origin and Diffusion of the Bibo in Youngnam Region)

  • 최원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8-64
    • /
    • 2001
  • 영남지방 비보의 기원은 가야와 신라의 불교적 비보사탑에서 비롯하며, 고려 및 조선조를 거치면서 국도(國都)에서 풍수적 비보의 성행은 영남지방 비보경관의 조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비보의 확산양상은, 조선 초기까지는 수위(首位)의 공간적 위계(空間的 位階)를 지니는 국도(國都)(개성 한양)를 비보핵심지(裨補核心地)하여 주변지역(周邊地域)의 부 목 대도호부(府 牧 大都護府) 등 대읍(大邑)의 차위중심지(次位中心地)로 확산되고, 대읍(大邑)이 다시 비보중심지(裨補中心地)가 되어 순차적으로 인근 군현(郡縣) 단위의 중소 읍치(中小 邑治)로 비보가 확산되었다. 이윽고 조선 중기 이후 좌지사비(左地士族)들의 촌락 개척과 맞물려 읍치(邑治) 외곽의 주요 士族(사족)의 주거지로 비보가 파급되어 나갔다.

  • PDF

한국 불교와 대순진리회 죽음관 비교연구 - 윤회와 명부·시왕 관념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Death as Understood in Korean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Focusing on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Myeongbu, and the Ten Kings of the Afterworld)

  • 도미닉 루타나
    • 대순사상논총
    • /
    • 제40집
    • /
    • pp.155-185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죽음관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한국 불교와 대순진리회는 죽음관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윤회(輪廻), 명부(冥府), 시왕(十王) 등의 다양한 개념들을 공동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불교와 대순진리회에서 이 개념들은 그 내용과 범주가 다를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교리체계 속에서 작동하는 방식과 중요성에서도 차이가 있다. 즉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윤회 개념은 많은 비슷한 점들이 발견되기도 하지만 윤회의 기간, 또는 윤회 과정에 있어서 타력(他力)의 중요성과 관련된 차이점을 지적할 수 있다. 명부 관념의 경우는 비슷한 점들보다 차이점들이 우세를 차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대순사상에서는 불교의 명부설에서 나타난 시왕에 의해 이루어지는 심판 교설도 있기는 하지만, 대순진리회 교리체계 속에서 훨씬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소위 '명부공사'라는 또 하나의 새로운 교설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 전통에서 나타나는 윤회와 명부·시왕 관념들은 같은 개념과 범주를 갖는 것으로 파악할 수 없으며,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자면 불교의 윤회, 불교의 명부나 시왕과는 구분되도록 하여, '대순진리회 윤회', '대순진리회 명부·시왕'과 같은 새로운 개념으로 독립적인 사상 체계 맥락에서 재정의해야 하며, 더 넓은 종교 이론에 포함시켜야 한다.

한국불교 동발(銅鈸)전래와 바라무 전개 (The Introduction of Dongbal(銅鈸) to Korean Buddhism and the Development of Baramu(cymbals dance))

  • 한정미(해사)
    • 공연문화연구
    • /
    • 제43호
    • /
    • pp.441-483
    • /
    • 2021
  • 동발[바라]의 유입과정은 인도를 거쳐 중국을 통해 전승된 불교와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인도와 중국불교 속의 동발의 기록을 추적하고, 특히 경전에 수록된 동발과 한국불교 의식문에 수록된 동발의 기능과 활용방법, 전개된 바라무의 성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발이 기록된 경전 중 번역시기가 가장 이른 경전은 『묘법연화경』(406년)이며, 경전에 수록된 바라는 대부분 동발(銅鈸)이라 표기되었고, 의식 진행 시 법구(法具)로 사용되었거나, 기악공양물, 장엄물(莊嚴物)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 동발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일본 『서대사자재류기장』(780년)이며, 현재 보존된 유물 중 동발류의 악기가 등장한 최고(最古)시기는 통일신라 초기로, 682년 조성된 감은사 사리함이다. 이 유물로 보아 늦어도 7세기경 사찰에서 동발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청규와 의식문에 수록된 동발(銅鈸)의 기록은 명발(鳴鈸)과 동발(動鈸)로 구분된다. 명발의 '명(鳴)'은 소리를 내는 것으로, 바라를 부딪쳐서 울려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명발은 정립(定立)된 규칙이나 방법이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발(動鈸)은 움직임, 동작을 뜻하므로 바라무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바라를 울려 소리를 내었던 명발의 개념에 동작이 덧붙여져 동발(動鈸)이 되고, 현재 전승되고 있는 바라무로 발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불교의례에서 전승되고 있는 바라무는 7종이 있으며, 그 성격에 따라 정화의식(淨化儀式), 소청의식(召請儀式), 옹호의식(擁護儀式), 권공의식(勸供儀式), 관욕의식(灌浴儀式), 화의의식(化衣儀式), 기경의식(起經儀式), 찬탄의식(讚歎儀式)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ㆍ중ㆍ일 삼국의 불교분야 분류법 비교연구 - KDC, CLC, NDC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Buddhism in Korea, China and Japan - Focusing on the KDC, CLC, NDC -)

  • 백혜경;남태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38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분류법인 KDC, CLC, NDC의 불교분야를 비교 분석하고, 효과적인 문헌 분류를 위한 KDC 불교분야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 PDF

원(元) 간섭기(干涉期) 성리학(性理學)의 고려(高麗) 유입(流入)과 지포(止浦) 김구(金坵)의 역할(1)

  • 김병기
    • 중국학논총
    • /
    • 제53호
    • /
    • pp.37-58
    • /
    • 2017
  • 鑒於性理學傳入韓國的時期, 有學者主張是北宋時期, 也有部分學者對此持否定意見, 指出是南宋時期經由高麗末期的安珦傳入韓國.筆者認爲與其說是某一時期由特定人物將性理學'導入'韓國, 不如說是時代潮流下諸多人士關心與努力的結果, 這一自然而然的'流入'說更爲妥當.本文以此爲前提, 指出止浦金坵正是奠定性理學'流入'礎石的代表性人物, 並對此加以論證. 本文首先考察了止浦金坵初赴大都時中國的儒學即性理學的具體展開情況, 其次對元朝儒臣王鶚這一人物進行了了解, 不管是采取何種方式, 總之王鶚與止浦之間有著交流, 論文對其在學問上直接或間接影響止浦的可能性進行了判斷. 通過以上的考察與辨析.

한국노인의 건강개념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A Study on Health Concepts in Korean Elderly - Q methodological approach -)

  • 심형화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2-150
    • /
    • 2005
  • Purpose: This paper is a basic study aiming the establishment of Health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Especially planned to reveal the types of recognition on concepts of health in korean elderly. Methods: This study is using the Q-method, to collect rightly the concepts of objects in health. Results: This analysis shows us the 4 independent types of recognition about concepts of health in korean elderly as follows. Type Ⅰ: traditional & accommodational type, They positively agree to the concepts of health immanent in Shamanism,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and folk customs. Type Ⅱ: modern & depedent type, They not only interpret concepts of health scientifically and modernly, but also positively accept the concepts of health in oriental medicine. Type Ⅲ: western medical & self-leading type, They interpret concepts of health scientifically and western-medically. Type Ⅳ: naturalistic & self-reliance type. They consider positively searching for well-being as health rather than simply situation devoid of diseases. Conclusions: All 4 types we can see that the fundamental concepts of health in korean elderly are complicated not only with mere western-medical concept of health, but also with concepts of health in oriental medicine,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Shamanism which represent the oriental view of world.

  • PDF

한국 사찰 산신각(山神閣)의 건축적 특성과 성격 연구 (A Study on Sansinkak of Korean Temple)

  • 양상현;김예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982-3987
    • /
    • 2010
  • 산신은 우리나라의 전통적 토착 신앙이 불교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사찰 안에 산신각이 건립된 것은 17세기 이후에 시작된 것으로 본다. 불교 고유의 신격이 아닌 까닭에 산신각의 입지는 불전의 배후에 떨어져 산과 가까운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다수의 사찰에서 산신각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에도 그 크기가 작은 까닭은 산신 신앙의 개인성에서 비롯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간결한 형태를 통하여 산천 정기가 집약, 응축된 장소임을 강하게 표현하려는 상징적 의도가 나타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산신각은 산천의 정기가 사찰 안으로 흘러 모여드는 통로이자 불교의 고유한 신앙체계가 무한한 자연의 영역으로 확장되는 출구이기도 하다.

Walker와 Avant 기법을 활용한 원불교 마음공부집단상담 프로그램에서의 마음공부의 개념 분석 (The Concept Analysis of Won-Buddhism's Maumgongbu in Group Counseling based on Walker and Avant's Strategy)

  • 양경희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9-244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Maumgongbu to meet the needs of people by analysing the concept of Maumgongbu in group counseling.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Walker and Avant's Concept Analysis Strategy. Dictionaries, Wonbuddhism's Kyunjions and literatures, and participants' journals were reviewed after enrolling in Onsarm maumgongbu group counseling. Results : The attributes of the Maumgongbu include emotion, object, self-reflection, attribution, and creativity. The antecedents of "Maumgongbu" are the conditions arising from negative emotions. The Maumgongbu helps people find the emotional causality of their inner self by self-reflecting, getting out of false belief, restoring positive emotions, maintaining healthy and warm relationships with oneself, family, friends and society. Above all, the Maumgongbu makes people experience tranquility and true happiness and activate their positive energy or power. Conclusions : If there is a clear indication of linkage to principles, attributions, precedents and consequences, and empirical referents to any of Maumgongbu programs, there is no doubt that our understanding of the human mind and lives will be greatly enriched. Furthermore, self-discipline and steadfast complements give us calmness, peacefulness and better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