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 formation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2초

파종시기가 Chicory의 화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Time on Flower Bud Differentiation in Chicory (Cichorium intybus L.))

  • 배종향;한석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3-288
    • /
    • 2006
  • Chicory(Cichorium intybus L.)의 우량 종근 생산을 위해 파종 시기를 1개월 간격으로 하여 종근 형성 및 화아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화아분화 개시는 4월 파종은 6월 17일, 5월 파종은 7월 2일, 6월 파종은 7월 30일, 7월 파종은 10월 1일에 각각 화아가 분화되었으나 8월과 9월 파종은 전혀 분화되지 않았다. 파종시기별 생육특성에서 $4{\sim}7$월 파종은 종근의 무게가 150g에 도달하기 전에 화아가 분화되어 종근을 이용할 수가 없었으며, 9월 파종은 생육동안 외기온도가 낮아 겨울을 넘기면서 종근이 정상적으로 발육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고, 8월 파종은 파종 후 약 90일이 되는 시기에 Chicon을 생산할 수 있는 종근의 적절한 중량인 200g이상의 이상적인 굴취기에 도달하였으며, 생육기간동안 화아분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후에 따른 우량 Chicory 종근을 생산하기 위한 적정 파종기는 8월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Formation of Sensory Pigment Cells Requires Fibroblast Growth Factor Signaling during Ascidian Embryonic Development

  • Kim, Gil-J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7권3호
    • /
    • pp.221-225
    • /
    • 2003
  • The tadpole larva of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has two sensory pigment cells in its brain vesicle. To elucidate the temporal requirement for FGF signaling in formation of the pigment cells, embryos were treated with an FGF receptor 1 inhibitor, SU5402, or an MEK inhibitor, U0126 during various embryonic stages. In the present study, it is shown that the embryos treated with SU5402 from the 16-cell stage to the early gastrula stage do not form pigment cells, whereas those treated after the early gastrula stage form pigment cells. In pigment cell formation, embryos suddenly exhibited the sensitivity to SU5402 only for 1 h at the neural plate stage(-4 h after the beginning of gastrulation). When U0126 treatment was carried out at various stages between the 8-cell and late neurula stages, the embryos scarcely formed pigment cells. Pigment cell formation occurred when the embryos were placed in U0126 at early tail bud st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GF signaling is involved in pigment cell formation at two separate processes during ascidian embryogenesis, whereas more prolonged period is required for MEK signaling.

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In Vitro Plants from the Nodal Pieces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 Shin, Jong-Hee;Kim, Sang-Kuk;Kwon, Jung-Bae;Lee, Bong-Ho;Sohn, Jae-Ke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97-102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regeneration of healthy seedlings from the nodal segment culture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cv. Danma), cultivated in Korea. Different explants such as leaves, petioles, roots and nodal pieces, excised from the in vitro grown seedlings of Chinese yam, were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growth regulators. All the growth regulators used induced plantlet regeneration from the nodal segments at a high frequency, while there was no induction of shoot or callus from leaf, petiole or root tissues.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0.01mg/L NAA, 0.5mg/L BA, 0.5-1.0mg/L kinetin and without plant growth regulator was effective for shoot development of buds from the nodal segment culture. The concentration of BA and NAA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ud induction of buds from the nodal segments of Chinese yam. Nodal segments cultured on the medium containing 1.0mg/L NAA and 0.5-1.0mg/L BA gave the best response to bud formation. The addition of GA$_3$ to the culture medium suppressed shoot induction and growth, while it increased microtuber formation. The shoot growth and microtuber formation were also affected by medium strength and solidity. The MS basal medium containing 1 g/L gelrite was suitable for microtuber formation from the nodal segment of Chinese yam.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의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생산 (Mass Propagation by In Vitro Culture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 조한직;김이엽;김무열;박학봉;김효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7-374
    • /
    • 2007
  • 엽, 엽병과 화뢰 등의 치상 절편체 부위 모두에서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며 특히 화뢰에서 캘러스 형성률이 71.6%로 가장 높았다. 화뢰배양시 2.0mg ${\cdot}$ $L^{-1}$ 2,4-D와 1.0mg ${\cdot}$ $L^{-1}$ TDZ의 혼용처리구에서 캘러스 형성이 77.8%로 양호했으며 신초 재분화율 역시 42.6%를 보였다. 캘러스 형성과 신초 재분화를 동시에 시킬 때 1/2 MS배지가 효과적이었는데 1/2 MS배지에서 캘러스 형성률은 46.3%, 신초 재분화율은 13.0%,그리고 발근율은 13.0%를 보였다. 캘러스를 통한 신초의 재분화를 위해 1/2 MS배지에 2.0mg ${\cdot}$ $L^{-1}$ 2,4-D와 1.0mg ${\cdot}$ $L^{-1}$ BA를 첨가했을 때 신초 재분화율은 74.1%를 보였고 절편체당 신초수는 2.4개로 좋았다. 발근율은 대조구에서 57.8%로 낮았으나 1.5mg ${\cdot}$ $L^{-1}$ NAA 첨가된 배지에서 97.8%로 높았다. 재분화된 기내 식물체를 원예용 상토에 순화했을 때 생존률이 86.1%로 높았으며 초장, 근장, 생체중 역시 양호하였다.

경정배양에 의한 Zantedeschia spp.의 기내번식 (In Vitro Propagation of Zantedeschia spp. through Shoot Tip Culture)

  • 한봉회;조해룡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59-63
    • /
    • 2003
  • 본 실험은 경정에서 다아체 형성을 통하여 Zantedeschia의 기내 대량번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Z. 'Best Gold'의 경정에서 다아체 형성률은 BA 2.0∼5.0 mg/L 및 TDZ 0.1∼l.0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63% 이상으로 높았으며, BA 2.0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75%로 가장 높았다. BA와 NAA의 혼용첨가는 BA 단용첨가배지와 비교하여 Z. 'Best Gold'의 신초경정에서 다아체의 형성 및 신초분화를 촉진하지 않았다. Z. 'Best Gold'의 형성된 다아체 절편체 (0.7∼1.0 cm)에서 다아체의 증식은 BA 2.0mg/L를 첨가한 배지가 효과적이었다. 형성된 다아체 절편체 (0.7∼l.0 cm)에서 신초의 생육 및 발근은 IBA 1.0∼2.0 mg/L가 첨가된 배지가 적합하였다. Z. 'Childsiana'는 TDZ 0.5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Z. 'Golden Affair'는 BA 3.0 mg/L 첨가배지가, Z. 'Pacific Pink'는 BA 5.0∼10.0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신초증식이 양호하였다.

충주지역에서 '후지' 사과나무의 휴면단계 변화 및 눈 발달 (Changes in Dormant Phase and Bud Development of 'Fuji' Apple Trees in the Chungju Area of Korea)

  • 이별하나;박요섭;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01-510
    • /
    • 2015
  • 본 연구는 수삽을 이용한 'Fuji' 사과나무의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자연상태에서의 내재휴면 개시 및 타파 시점을 찾고, 이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시에 휴면과 발아와의 관계를 좀 더 명확히 하고자 내부적인 눈의 발달 양상을 관찰하여 휴면과 저온 및 눈 발달간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들을 예상하고 대처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Fuji' 사과나무의 내재휴면 기간은 발아 소요 일수 및 발아율 조사를 통해 만개 후 165일부터 255일 사이 즉, 10월말부터 이듬해 1월 초까지 약 70일 정도 지속됨을 알 수 있었으며, 최초 발아까지 20일 이내, 최종 발아율 60% 이상을 기준으로 외재휴면에서 내재휴면으로, 다시 내재휴면에서 환경휴면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렇게 도출된 내재휴면기 동안 요구되는 저온을 산출한 결과, 내재 휴면타파기인 만개 후 255일까지 축적된 저온은 CH 모델의 경우 666h, Utah 모델은 517CU으로 조사되었다. 휴면기 및 휴면타파기 동안 눈의 내부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7월 중순경부터 꽃눈분화가 시작되었으며, 9월에는 중심화의 화원기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이후 꽃눈의 발달은 휴면 기간 동안에도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이듬해 2월에는 각 기관들의 발육 단계가 좀 더 진전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Fuji' 사과의 눈은 휴면 기간 동안 대부분 건전하게 생존해 있었지만 일부에서 화원기의 괴사현상이 발견되었고, 이는 저온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이기보다는 얼음결정 형성으로 인해 일부 조직의 세포가 피해를 입고, 이로부터 괴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꽃눈은 과대지의 액아와 단과지의 정아에서 모두 형성되었으나, 전체 꽃눈 중 약 65%의 비율로 단과지의 정아에서 더 많은 꽃눈이 분화되고 있었으며, 이는 눈의 크기 및 눈이 위치한 가지의 직경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다.

Direct Multipropagation through Organogenesis from Nodal Explants of Anoectochilus formosanus Hayata

  • Rha, Eui-Shik;Kim, Hyun-Soon;Yoo, Nam-Hee
    • Plant Resources
    • /
    • 제1권1호
    • /
    • pp.22-25
    • /
    • 1998
  • To establish direct multipropagation through organogenesis from nodal explants of Anoectochilus formosanus Hayata, the nodes were cultured on LS medium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6-benzyladenine(BA). High plant regeneration and adventitious bud formation were obtained from supplemented with 4.0mg/l of BA. Plant height was promoted by adding 0.3% activated charcoal. Plantlet regeneration capacity from nodes was depended on nodal parts on the stem, upper position was the best comparing with intermediate and lower.

  • PDF

감자절간배양에서 마디위치 및 잎의 부착유무에 따른 소괴경형성의 차이 (Influences by position of node and existence of leaf on microtuberization in node culture of potato)

  • 황혜연;이영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63-68
    • /
    • 2008
  • 감자의 마디배양에서 이식하는 마디의 위치에 따라 기내 소괴경 형성에 미치는 차이와 배양하는 마디조직체에서의 잎의 유무가 기내소괴경의 형성에 미치는 온도, 일장 및 CCC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마디의 위치에 따른 감자의 생육에 있어서는 초장, 생체 중, 직경, 마디수는 물론 괴경형성에 있어서도 정단부위가 하부부위보다 양호하였다. 액아의 부위에서 형성된 소괴경의 직경에 있어서는 정단부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괴경의 생체중은 정단부위의 액아에서 형성된 괴경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고 다른 마디에서는 개체간의 큰 차이가 없었다. 잎의 부착 유무와 온도와 일장에 따른 괴경형성에 있어서는 잎이 부착된 마디를 $20^{\circ}C$의 단일조건에서 배양할 때 양호하였으나, 고온에서는 괴경형성이 일장에 관계없이 저조하였다. 잎이 부착되지 않은 마디에서의 괴경형성은 저온과 고온 모두 단일조건에서 양호하였다. CCC처리에 의한 효과에 따른 감자의 생육에 있어서 초장, 생체중, 직경, 마디수는 CCC를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하였고 특히 일장 처리가 길어질수록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괴경형성을 촉진시키는데 일장이 짧을수록 양호하였고, CCC를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한 효과를 보였다.

Chromatin Interacting Factor OsVIL2 Is Required for Outgrowth of Axillary Buds in Rice

  • Yoon, Jinmi;Cho, Lae-Hyeon;Lee, Sichul;Pasriga, Richa;Tun, Win;Yang, Jungil;Yoon, Hyeryung;Jeong, Hee Joong;Jeon, Jong-Seong;An, Gynhe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12호
    • /
    • pp.858-868
    • /
    • 2019
  • Shoot branching is an essential agronomic trait that impacts on plant architecture and yield. Shoot branching is determined by two independent steps: axillary meristem formation and axillary bud outgrowth. Although several genes and regulatory mechanism have been studied with respect to shoot branching, the roles of chromatin-remodeling factor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have not been reported in rice. We previously identified a chromatin-remodeling factor OsVIL2 that controls the trimethylation of histone H3 lysine 27 (H3K27me3) at target genes. In this study, we report that loss-of-function mutants in OsVIL2 showed a phenotype of reduced tiller number in rice. The reduction was due to a defect in axillary bud (tiller) outgrowth rather than axillary meristem initiation. Analysis of the expression patterns of the tiller-related genes revealed that expression of OsTB1, which is a negative regulator of bud outgrowth, was increased in osvil2 mutants.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assays showed that OsVIL2 binds to the promoter region of OsTB1 chromatin in wild-type rice, but the binding was not observed in osvil2 mutants. Tiller number of double mutant osvil2 ostb1 was similar to that of ostb1, suggesting that osvil2 is epistatic to ostb1.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OsVIL2 suppresses OsTB1 expression by chromatin modification, thereby inducing bud out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