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 formation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8초

배지조건이 뽕나무 동아엽편의 불정아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um Conditions on Adventious Bud Formation of Mulberry Winter Bud Leaflet)

  • 성규병;정정박명;김호락;구태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9
    • /
    • 1995
  • 형질전환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뽕나무 동아 미숙엽편의 불정아형성에 미치는 배지조건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정아형성률은 BA5 $\mu$M, TDZ 0.5 $\mu$M농도에서 높았으나 BA와 TDZ의 상호작용에 대하여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고농도의 BA 혹은 TDZ를 각각 단독으로 첨가한 배지에서 엽편을 전배양한 결과 BA첨가배지 에서는 배양기간이 6일까지, TDZ첨가배지에서는 10일까지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불정아형성률이 높아졌다. 3. TDZ첨가배지에서 전처리한 경우, 엽편기부에 녹색의 투명한 조직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4. 탄소원으로서 fructose가 불정아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maltose첨가배지에서는 전혀 불정아가 형성되지 않았다.

  • PDF

Characteristics of lateral bud development, necrosis and genesis of flower primordium in 'Kyoho' grapevines

  • Park, Jun Young;Jung, Myung Hee;Kim, Bo Min;Park, Yo Sup;Kim, Jun Hyeok;Park, Hee-Se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4호
    • /
    • pp.987-993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 harvest of 'Kyoho' grapevines by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including bud development, necrosis types and flower primordium formation. The size of the axillary bud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5th node or more, but it was smaller because it was closer to the base in the 4th node or less. In the 1st node, the rates of main bud necrosis (MBN), accessory bud necrosis (ABN), and whole bud necrosis (WBN) were high, and the rate of flower primordium formation was low,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nodes.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using other nodes than the 1st node would be advantageous to secure production. Because the growth progresses after sprouting, the main bud necrosis rate increases, showing a very low flower primordium formation rate in March of the following year. Therefore, a method is needed to increase the storage nutrients in the winter and the rate of flower primordium formation after March. This study found that the thickness of the shoots should be less than 8.5 mm between the 3rd and 4th nodes, and the length should be less than 60 cm for nodes up to the 10th node.

딸기 (Fragaria ananassa Duch.) 잎 절편체 배양으로부터 부정아 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Effect of Medium Component on Plant Regeneration via Adventitious Bud Formation from Leaf Explant Cultures of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 조덕이;소웅영;정원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1-178
    • /
    • 2001
  • 딸기의 기내대량번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딸기 잎절편체로부터 부정아 형성에 미치는 2,4-D, BAP, 한천, 자당 및 미오이노시톨의 영향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부정아 형성은 MS배지에 0.1 mg/L 2,4-D와 3 mg/L BAP, 0.4% 한천 첨가배지에서 가장 촉진적이었으며, 2,4-D 단독배지에서는 부정아 형성이 유도되지 아니하였다. 0.4% 한천을 첨가한 배지에서 부정아 형성은 1%한천 첨가배지에 비하여 약 3배가 촉진되었으나 투명화 현상이 심하였다. 따라서 딸기 잎 절편을 0.05mg/L 2,4-D, 1 mg/L BAP, 0.8% 한천,30 g/L 자당 및 100mg/L의 미오이노시톨에서 배양하였을 때 건전한 유식물체가 형성되었다.

  • PDF

인삼의 신아 및 잠아발생의 조직 형태적 특성 (Hist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w and Latent Bud Formation in Panax ginseng C.A. Meyer)

  • 정찬문;정열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81-286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new- and latent-bud formation, and stem vestige arrangement on the rhizome of Panax ginseng C.A. Meyer. Latent buds emerged from meristematic region between shoot and root of the embryo, and new buds for the next year were distributed both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stem and the rhizome. In the new buds, organs such as leaf, stem, and flower bud were already completely differentiated, while the latent bud had an undifferentiated meristematic tissue arranged linearly in a vertical line, indicating that each year new- and latent-buds are formed successivel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number of stem vestige may b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ginseng age. Key words Rhizome, new-bud, latent-bud, histology, morphology, stem vestige, vestige arrangement.

  • PDF

Change in Levels of Endogenous Hormone and Detection of Adventitious Bud-Related Protein during Culture of Hybrid Poplar Explants

  • Song, Jae-Ji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2호
    • /
    • pp.143-151
    • /
    • 1995
  • Addition of plant growth hormones [0.01 mg/L NAA and 0.2mg/L benzyladenine (BA)] to a woody plant medium stimulated the adventitious bud formation of poplar explants during culture. Endogenous IAA content increased rapidly at the initial culture stage and then decreased, being followed by rapid increment again at the late culture. But the content of trans-zeatin riboside (t-ZR)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the culture. Cytoplasmic soluble proteins were analyzed by one- and two-dimensional SDS-PAGE. Increased amount of 40 kD band was detected by one-dimensional electrophoresis using Coomassie Blue staining during the culture and two distinctive proteins whose mol wt is 40,000 were detected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using autoradiography and these proteins were synthesized continuously prior to the adventitious bud formation. When the midvein segments were transferred to the actinomycin D-containing medium, the spots of adventitious bud-related proteins(ABRPs) did not disappeared but weakened in intensity. So, it is concluded that genes coding for the ABRPs are regulated to some degree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Also, they were not observed in BA-free medium, suggesting that these proteins be regulated by cytokinin, which made then possible to form the adventitious bud.

  • PDF

생쥐의 유선발달에 있어서 Elvax 40P Implant를 이용한 서방형 Adenosine의 역할 (Effect of Sustained-Release of Adenosine by Elvax 40P Implant on Mouse Mammary Development)

  • 여인서;박춘근;홍병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7-397
    • /
    • 1993
  • To examine local response of adenosie(purine nucleoside) on the developing mammary gland, Elvax 40P implants containing adenosine were surgically implanted into mammary fat pad of the five week old female ICR mice. Inguinal(the 4th) mammary glands of anesthetized mice were exposed andplaced the implants for 12 days. One gland was treated with an adenosine implant, while the contralateral gland received a blank implant as control. For whole-mount preparations, glands were stained with alum carmine, and for histological observation, micro-selected mammary gland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Y. Implantation with Elvax 40P did not affect on the damage of neighboring mammary tissue. Adenosie 25 or 250$\mu\textrm{g}$ per slow-release implant stimulated local mammary end bud formation of ovariectomized mice such as end bud size and numbers of end bud per gland in a dose dependent manner(P<0.05), and lower concentration of adenosie(2.5 or 25$\mu\textrm{g}$/implant) increased numbers of end bud(P<0.05) and end bud size(P<0.1) of intact mice. Adenosine treatment and intact ovarian function had moderate interation effects on the stimulation of end bud formation at 2.5$\mu\textrm{g}$ adenosine/implant(P<0.1). In histological observation, adenosine implants increased numbers of mammary epithelial type of cells at mammary duct in the presence or absece ofov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enosine should be one of regulators in mouse mammary ductal growth.

  • PDF

The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Strength on the Shoot and Bud Formation from the Shoot Apex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 Shin, Jong-Hee;Kang, Dong-Kyoon;Park, Sang-Zo;Lee, Bong-Ho;Sohn, Jae-Ke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03-106
    • /
    • 2004
  • Plantlet regeneration from the shoot apex was studied in three different genotypes of the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cv. Jnagma and Danma, Dunggunma.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inorganic salts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on bud induction and shoot growth were examined. The combinations of 0.2 mg/L BAP + 0.2mg/L kinetin, 0.01mg/L NAA + 0.2 mg/L kinetin and a single treatment of 0.2mg/L BAP were equally effective for bud and shoot formation from the shoot apices in the three cultivars. Auxin (2,4-D, NAA) treatment enhanced calli formation from the cultured apices. Also, the shoot apices of the cv. Dunggunma produced more callus and buds on the culture medium (MS) containing 0.05mg/L NAA and 0.5-1.0mg/L SAP. Lower salt strength of medium inhibited shoot elongation but did not have much effect on the shoot and bud induction from the shoot apice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to obtain disease-free plants of the Chinese yam.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의 자엽으로부터 체세포배 및 부정아의 발생에 미치는 식물호르몬의 영향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on the Formation of Somatic Embryo and Adventitious Bud from the Cotyledon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양덕춘;윤의수;최광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199-204
    • /
    • 1999
  • 인삼 자엽을 식물호르몬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Murashige와 Skoog배지에 배양할 경우 고빈도로 자엽의 표면으로부터 체세포배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cytokinin을 첨가배지에서는 체세포배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부정아가 발생되었다. BAP처리배지에서 kinetin 처리보다 부정아의 발생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IBA와 사이토카이닌의 혼합 처리시에는 부정아의 발생빈도가 단일처리보다 훨씬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0.05mg/1 IBA와 5mg/l BAP 혼합처리구에서 부정아의 형성이 $40\%$로 매우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다. 체세포배의 발생은 자엽의 기부에서만 발생된 반면 부정아는 자엽의 정부에서 주로 발생되었기 때문에 체세포배의 발생 부위와는 뚜렷이 구분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부정아는 접합자배의 측아와 같이 포로 둘러싼 녹색돌기로 자라다가 포가 열개되면서 유경이 생장하였는데 줄기의 구조가 아닌 단엽의 구조를 지니며 생장되었다.

  • PDF

'캠벨얼리' 포도의 휴면기 눈 발달 및 수삽을 통한 발아 특성 조사 (Bud Development and Bud Break Characteristics in Water Cuttings of 'Campbell Early' Grapevine during Dormancy)

  • 이별하나;박요섭;권용희;한점화;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02-209
    • /
    • 2015
  • 본 연구는 수삽을 이용한 'Campbell Early' 포도나무의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눈의 내재 휴면 타파를 위한 저온축적과의 관계를 구명하고, 저온에 노출되는 동안 눈의 발달 양상을 관찰하여 발아와 휴면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만개 120일 후(낙엽기 : 10월 7일)부터 시료를 수집하여 수삽하였으며, 만개 후 125일부터 온도가 $7.2^{\circ}C$도 이하로 내려가 CU 축적이 시작되었다. 발아율은 만개 150일 이후부터 100% 발아하였으나 165일 이후 수집된 가지에 비해 최초 발아까지의 기간이 2배 이상 소요되어 발아속도가 현저히 떨어졌다. 즉, 만개 165일 이후에는 100% 발아할 뿐만 아니라 발아 소요일수가 짧아 내재 휴면이 완전히 타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기간 동안 CH 모델과 Utah 모델에 의한 저온 적산 값 계산 시, 각각 321h와 442CU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시기 이후부터 주아의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제 1 부아의 생존율은 시기적인 차이 없이 90% 수준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화아형성이 이루어진 눈을 대상으로 조사된 주아 대비 부아의 비율은 내재 휴면이 타파되기 이전인 만개 후 150일에는 1:0.23으로 주아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으나, 내재 휴면이 타파된 이후 최종적으로 만개후 255일에 이르러서는 1:1.54로 주아에 비해 부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액아의 생존율 및 화아형성율과의 각 조사항목 간 상관분석에서는 주아에서만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주아의 생존율 자체는 시기와 가장 밀접한 관련을 나타내었고, 주아의 생존율과 화아형성률 사이에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패모의 줄기, 마디, 정단 및 자구인편 배양에 의한 기내 증식 (Micropropagation through Stem, Node-bud Shoot Tip and Bulblet Scale Culture in Fritillaria thunbergii Miq.)

  • 백기엽;유광진;성낙술;최인식;조진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4-161
    • /
    • 1994
  • 폐모(Fritillaria thunbergii)의 자구인편, 줄기, 및 마디조직 및 정단을 구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구형성수는 자구인편조직에 비해 마디나 줄기조직에서, BA처리구보다 kinetin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줄기조직은 생장이 3cm이하일 때 채취하여 kinetin이 $1.0{\sim}3.0mg\;/L$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 마디조직은 3cm이상 생장한 조직을 kinet이 5.0mg /L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자구형성수가 증가하였다. 기내에서 생장한 마디의 액아에서 자구가 직접 형성되는 현상도 관찰되었는데 최고 15개의 자구가 마디에서 형성되었다. 2. 신초가 l0cm 이상 생장한 후 줄기조직을 채취하여 배양하였을 때는 어린 줄기조직보다 자구 형성능력이 감소하였으며 생장조절제의 첨가가 자구형성에 필수적이었고 적정농도는 kinetin 1.0 mg /L였다. 3. 지하에서 생장중인 패모에서는 줄기조직이나 정단이나 자구조직에 비해 구형성율이 높았으며 자구 형성에 적합한 당의 농도는 $5{\sim}7%$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패모의 기내 배양재료로는 자구 인편조직에 비해 3cm정도 생장한 줄기나 마디조직을 이용하는 것이 대량중식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줄기나 마디조직은 구형성수가 최고 20배 이상 달하여 중식율이 상당히 높았다. 생장조절제 요구도는 배양재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Kinetin $1.0{\sim}5.0mg\;/L$가 적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