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nes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7초

도정도를 달리한 쌀이 가속숙성에 의해 약주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nges of yakju prepared from rice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DOM) due to accelerated aging)

  • 최정실;강지은;정석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15-422
    • /
    • 2020
  • 쌀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도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백미의 추가 도정도(0, 10, 20, 및 30%)를 달리한 쌀로 담근 약주를 45℃에서 2주간 가속 숙성한 후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숙성 전의 쌀 약주에서는 갈색도를 제외한 모든 품질특성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그렇지만, 도정도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p for trend>0.05). 숙성 후 쌀 약주에서는 모든 품질특성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1), 특히 갈색도와 아미노산도는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0.05). 숙성 전후의 쌀 약주를 비교할 때 거의 모든 처리구에서 pH, 총산, 알코올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도정도와 상관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명도(L)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값), 아미노산도, 갈색도, 적색도(a), 황색도(b), 색차(ΔE)는 숙성 후의 평균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값). 도정도별 쌀 약주의 숙성 전후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질소 화합물 함량 변화에서는 도정을 많이 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알 수 있었고, 시스테인이나 메티오닌과 같은 함황 아미노산 함량은 숙성 전보다 감소하였다. 이로써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약주의 품질변화는 최소화할 수 있을 거라 사료되며 특히 백미의 추가 도정 20% 이상에서 갈변과 이취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data not shown).

국내 시중 유통 작두콩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Sword Bean Tea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s)

  • 박유진;황엄지;유경단;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0-109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word bean tea available in domestic markets. Each product of sword bean tea had distinct appearance characteristics. The color, pH, brownness, and turbidity of the tea varied significantly across different products, with tea bags showing higher levels of brownness and turbid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ot water extraction ranged from 165.13 to 517.69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100 g sample for pod tea, 999.36 to 2,054.74 mg GAE/100 g sample for tea bag tea, and 74.62 to 275.00 mg GAE/100 g sample for grain tea, respectively. Similar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measured in terms of catechin equivalents (CE), ranged from 39.51 to 65.00 mg CE/100 g sample for pod tea, 86.57 to 253.63 mg CE/100 g sample for tea bag tea, and 32.94 to 38.63 mg CE/100 g sample for grain tea, for hot water extraction.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d tea were 95.68 to 276.19 mg TE/100 g sample and 270.87 to 804.21 mg trolox equivalents/100 g sample, respectively, for hot water ext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quality standards to ensure consistent quality of sword bean tea.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의 침출조건 최적화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of Peach Liqueur Containing Chitosan)

  • 우승미;백창호;장세영;서지형;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93-597
    • /
    • 2008
  •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 제조를 위한 최적 침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알코올함량은 완과를 8주간 침출시킨 구간에서 30%로 가장 높았고 절편과 구간은 6 및8주간 침출시킨 구간에서 약 28%로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약 $11{\sim}13^{\circ}brix$, 총산도는 약 0.2%, pH는 약 4.8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완과 구간에서는 2.8% 전후로 함량변화가 크지 않았고, 절편과 구간에서는 $2.8{\sim}3.1%$로 나타나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였다. 갈색도는 완과 구간에서는 $0.33{\sim}0.54$로 나타났고 절편과 구간에서는 $0.56{\sim}0.73$으로 나타나 절편과 구간이 완과 구간에 비해 흡광도 0.2정도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조금씩 증가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갈색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절편과 구간이 완과 구간에 비해 약 0.2 mg% 높게 나타나 수치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에서 설정된 완과 구간을 대량 침출시킨 복숭아 리큐르의 메탄올 함량은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약 50 ppb로 극미량 검출되었다. 유기산은 oxalic, malic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고,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는 완과 8주간 침출조건이 전반적으로 품질이 우수하였다.

구기자(拘杞子)나무 순과 줄기 추출물(抽出物)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Stem and Shoot of Lycium chinense)

  • 박종상;노재관;서관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5-127
    • /
    • 1995
  • 구기자나무 재배(栽培)시 이른봄에 대양(大量) 생산(生産)되는 구기순 및 구기줄기의 용매(溶媒)별 추출물(抽出物)의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을 조사한바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명도(L), 적도(a), 황색도(b), 갈색도 등 색(色)는 물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 명도(L)는 낮고, 적도(a), 황색도(b)는 높았다. 2. 탁도 또한 물추출의 침우가 높았으며 추출 수율과는 특이성이 없었다. 3.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약산성을 나타내었다.

  • PDF

Microstructure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ed, White and Extruded Ginseng

  • Ryu, Gi-H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61-66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lor and microstructure of powder, redness, brownness,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extruded ginseng,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s. The colors of extruded dry ginseng powder (moisture content 30%, barrel temperature $110^{\circ}C$, and screw speed 200 rpm) were similar to those of red ginseng. Intact cell wall structure was examined in dried root ginseng at $70^{\circ}C$ (A), white ginseng with skin (D), white ginseng without skin (E), and red ginseng (F)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cell wall was not detected in samples B and C (dry ginsengs extruded with 25% and 30% moisture contents, respectively). Intact starch granules were detected in samples A, D, and E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elted starch granules were detected in samples B, C, and F. Colors (L, a, b) of 50% EtOH extracts were similar in samples C and F. Browniness and redness of extracts were high in extruded dry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s. Extruded dry ginseng (B) showed higher electron donation ability and phenolic content than the other samples.

피자 크러스트의 특성과 소비자 기호 유도 인자 (Sensory Properties and Drivers of Liking for Pizza Crust)

  • 이지선;안성수;정라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24-633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d the sensory properties of samples of pizza dough at three pizza companies and three masonry oven pizzerias from Seoul, Korea and compared consumer acceptability among panels of university students. Six pizza dough samples were prepared (pan pizzas from Pizza Hut, Mr.pizza, and Dominos pizza, masonry oven baked pizzas from Appleteen, Mr.Lee's, and Pizza factory). Consumer tests were employed involving 97 Korean consumers. Consumers evaluated overall liking (OL), liking of appearance (APPL), odor (ODL), flavor (FLL), and texture (TXTL), willing to try (WT), and willing to recommend (WR) for the samples using a nine-point hedonic scale. Analysis of variance (ANOVA) indicated that HutP, MrP, and DomP samples had significantly (p<0.05) high scores for roughness, porosity, crust color, grain size, brownness, dairy food aroma, savory taste, and yeast aroma, which had the highest OL, ODL, and FLL scores. LeeP, ATeenP, and PFacP samples had high elasticity,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Consumers favored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color, dairy product flavor, and savory flavor of the pan pizza and preferred cohesiveness, toughness, and stickiness of masonry oven baked pizza.

서울 시내 커피전문점에서 판매되는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비교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only Consumed Coffees at Coffee Shops in Seoul Downtown)

  • 서한석;김수희;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24-630
    • /
    • 2003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only consumed espresso and regular coffees, at coffee shops in downtown Seoul, were investigated.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between chain type coffee shops and owner shops were compared using t-tests. The serving temperature and volume of espresso were lower than those for regular coffees. Whereas, the pH and total acidity of espresso were higher than those for regular coffees. Coffees from chain shops, in particular, had a significantly higher pH and lower total acidity than those from owner shops. The L, a and b values of the regular coffe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spresso coffees. With the exception of the a value of regular coffees, all the color values of the coffees from owner shop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chain shops. The intensity of the brownness, soluble solid content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espresso coffees were about 7∼8, 8∼9 and 4 times higher, respectively, than those of regular coffees. In additi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spresso coffees, using a chemiluminescence assay,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coffees. Espresso coffees from chain shops, especially, had higher activities of free radical scavenging than those from owner shops.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coffees from chain sho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from owner coffee shops.

밀기울 분말 첨가 떡볶이 떡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teokbokkidduk Supplemented with Wheat Bran Powder)

  • 박소영;심기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33
    • /
    • 2022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teokbokkidduk alone or supplemented with 3%, 6%, 9%, and 12% wheat bran powder were assessed, to increase use of the wheat bran by-product of wheat milling. The moisture content, pH, and starch elution of Tteokbokki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bran powder, while the water absorption rate did not. The L color value decreased an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bran pow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teokbokkidduk prepared with 0% and 3% wheat bran powder revealed uniform pore size distribution. In terms of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hile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ed content of wheat bran powder. Acceptance was highest for samples with 6% wheat bran powder.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revealed increased brownness, roughness, nutty, bitterness, astringency, savory character, and hardness, and decreased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ith increased wheat bran powd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vealed highest overall acceptance of samples prepared with 6% wheat bran powder, reflecting the relatively low values of detrimental sensor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of Tteokbokkidduk increased as wheat bran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addition of 6% wheat bran powder resulted in excellent Tteokbokki in terms of acceptanc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식빵의 관능적 특성 평가를 위한 묘사분석 절차 개발 (Development of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Yeast Leavened Breads)

  • 이소연;서동순;이명구;김광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60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식빵의 표준 묘사분석 절차를 확립하였으며, 그 결과, 식빵에서 23가지의 특성 묘사 용어를 선정하고 개발하였으며 평가 절차를 확립하였다. 개발된 표준 묘사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숙성온도와 배합비가 다른 4종류의 식빵에 대해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4종류의 식빵 간에는 23개의 관능적 특성에서 모두 유의전인 차이(p<0.05)가 있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개발된 식빵의 특성 용어와 그 정의 및 평가 기술이 종류가 다른 식빵의 관능적 특성의 차이를 잘 설명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식빵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원료와 제조 방법에 따른 식빵의 품질평가에 묘사 분석이 적용되고, 이 결과와 소비자 기호도 검사 또는 기계적 측정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도정도를 달리한 쌀누룩이 약주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ce nuruk prepared from rice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on quality changes in yakju)

  • 최정실;여수환;최한석;정석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5-273
    • /
    • 2017
  • 도정도를 달리한 쌀누룩이 약주의 가속 숙성에 따른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도정도를 (0, 10, 30, 50, 및 70%) 달리한 쌀누룩으로 담근 약주를 $45^{\circ}C$에서 2주간 가속 숙성한 후 약주의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이취강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처리구 간의 이화학학적 특성 분석 중 철, 망간의 함량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도정도에 따른 쌀누룩의 영향에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지만, 아미노산의 경우, 대체적으로 도정도가 큰 쌀누룩을 사용할수록 작은 수치를 보였다. 숙성 전후의 약주의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숙성 후 갈색도($A_{430}$),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및 색차(${\Delta}E$)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숙성 후 이취 강도 검사(강함 5점, 약함 1점)에서는 도정을 하지 않은 쌀누룩(도정 0%) 사용 약주가 이취의 강도가 약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