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ish callu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벼의 약 부유배양에서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와 항산화제의 영향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 Mixture on the Anther Floating Cultures of Rice)

  • 이승엽;이재길;권태오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3-87
    • /
    • 2000
  • 벼 소포자 유래의 반수성 세포집단을 기내 돌연변이 유기 연구에 이용하기 위하여, 액체배지를 이용한 약 부유배양에서 캘러스 유도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과 유도된 캘러스의 갈변화에 따른 활력저하를 막기 위하여 배지내 항산화제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약 부유배양을 위한 액체배지는 N6배지에 1 mg/L 2,4-D와 1 mg/L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 서 캘러스 형성율 48.5%, 녹색체 분화율 6.8%, 총 식물체 분화율 9.0%로 가장 높았다. 약 부유배양에서 항산화제 (antioxidant mixture, Sigma Chemical Co.)의 첨가는 캘러스 형성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캘러스 갈변방지와 총 식물체 분화율 향상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항산화제의 적정농도는 250mg/L 였으며, 캘러스 유도배지와 식물체 분화배지에 모두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 PDF

Production of Ginkgolides and Bilobalide from Optimized the Ginkgo biloba Cell Culture

  • Park, Young-Goo;Kim, Su-Jung;Kang, Young-Min;Jung, Hee-Young;D. Theertha Prasad;Kim, Sun-Won;Chung, Young-Gwan;Park, Myung-Su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1호
    • /
    • pp.41-46
    • /
    • 2004
  • The influence of various culture conditions on growth and ginkgolides (GKA and GKB), and bilobalide formation in callus and suspension cultures of Ginkgo biloba were investigated. Callus induced from the leaf petioles exhibited distinct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he cell biomass and ginkgolides content varied among the cell lines; brownish callus lines produced high levels of ginkgolides and bilobalide in spite of poor cell growth. Among the culture media used, MS medium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cell growth and ginkgolides production. Low concentration of sucrose (3%) improved cell growth, while higher sucrose levels (5 and 7%) improved ginkgolides production. Cultivation of callus cultures above 28$^{\circ}C$ dramatically reduced their growth rate; however the cell lines grown at 36$^{\circ}C$ showed increased levels of bilobalide content. A 2.5-L balloon type bubble bioreactor (BTBB) was successfully developed for the cell growth and ginkgolides production.

세포배양기술에 의한 김의 내저염성 품종개량 I. 큰방사무늬김의 조직배양 (Genetic Improvement for the Low Salinity-Tolerant Porphyra Sp. by Cell Culture Technique I. Tissue Culture of Porphyra yezoensis foma narawaensis)

  • 홍용기;손철현;장정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
    • /
    • 1989
  • 양식 해조류인 큰방사무늬김에 대한 조직배양을 종자 세포 보존 및 장차 세포수준의 내저 염성 품종개량을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김 엽체의 영양 성장부위를 무균적으로 PES-한천배지 상에 배양함으로서 callus의 형성을 유도하였으며 이 적갈색의 연약한 callus를 $16^{\circ}C$에서 12시간 주기로 2000 lux의 형광등 하에서 1개월마다 이식하면서 배양하였다. 총 탄수화물 및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최적 배양온도는 $14^{\circ}C\~18^{\circ}C$였다. PES-한천배지 상에서 $2.0\%$의 NaCl 농도가 callus의 성장에 가장 우수하였다.

  • PDF

작약의 미세번식에서 배지성분이 배양의 변색과 괴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um Components on Discoloration an Necrosis of Cultures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Micropropagation)

  • 최상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3-176
    • /
    • 1994
  • 작약절편을 접종하면 배지와 절편이 흑갈색으로 변하고 수 이로부터 배양이 죽기 시작하는데 배지성분 중에 이를 조장하는 물질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변색의 주원인은 철분과 염화칼슘(Cacl$_2$)이었고, 절편을 괴사시키는데 가장 큰 영양을 미친 것은 NO$_3$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피해가 비교적 적은 1/4 MS를 번식용 배지로 이용하여 식물체의 모든 부분을 배양하였을 때 조직으로부터 재생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줄기절편에서 이미 형성된 액아가 유식물체로 성장하기도 하였으나 건전한 것으로 계속 성장하지 못하였으며 이것을 다시 번식체로 이용할 때는 초기 배양의 절편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생존하지 못하였다.

  • PDF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 배축절편으로부터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from hypocotyls explants of Astragalus sinicus L.)

  • 박민선;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96-400
    • /
    • 2015
  • 자운영 배양으로부터 신초발생에 대한 최적 배양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축절편을 0.1, 1.0, 2.0 4.0 mg/L 2,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6주 동안 배양하였다. MS배지에 2,4-D가 0.1 또는 1.0 mg/L로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신초발생능 캘러스 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4-D와 BA 를 혼합 첨가한 배지에 옮겨 4주 동안 배양하면서 조사하였다. 먼저 2,4-D 농도에 따라 신초와 뿌리를 형성하는 캘러스, 뿌리를 형성하는 캘러스, 캘러스, 진한 갈색으로 변하는 캘러스 등 여러가지 형태발생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신초와 뿌리를 갖는 캘러스는 2,4-D가 낮은 농도로 첨가 되었을 때 형성되었으며, 반면 신초가 없는 캘러스, 갈변 되는 캘러스는 고농도로 처리되었을 때 형성되었다. 또한 BA와 2,4-D가 조합첨가된 배지에서는 신초발생에 효과적이었으며, 뿌리 발생은 감소하였다. 가장 효과적인 신초발생은 1.0 mg/L 2,4-D 와 0.5 mg/L BA가 조합 첨가되었을 때 얻어졌으며, 이러한 신초들은 1/2 MS기본배지에서 대부분 유식물체로 생육되었으며, 토양에서 정상적으로 적응하여 생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