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leaf blight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Survey on the Occurrence of Apple Diseases in Korea from 1992 to 2000

  • Lee, Dong-Hyuk;Lee, Soon-Won;Choi, Kyung-Hee;Kim, Dong-A;Uhm, Jae-Yo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375-380
    • /
    • 2006
  • In the survey from 1992 to 2000, twenty-eight parasitic diseases were observed in major apple producing areas in Korea. The predominant apple diseases were white rot(Botryosphaeria dothidea), Marssonina blotch(Marssonina mali), Valsa canker(Valsa ceratosperma), Alternaria leaf spot(Alternaria mali), and bitter rot(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Apple scab that reappeared in 1990 after disappearance for 15 years was disappeared again since 1997. A viroid disease(caused by apple scar skin viroid) was newly found in this survey. The five diseases, fire blight(Erwinia amylovora), black rot(Botryosphaeria obtusa), scab(Cladosporium carpophilum), Monochaetia twig blight(Monochaetia sp.), and brown leaf spot(Hendersonia mali), which had once described in 1928 but no further reports on their occurrence, were not found in this survey. However, blossom blight(Monilinia mali), brown rot(Monilinia fructigena), and pink rot(Trichothecium roseum), which did not occur on apple after mid 1970s, were found in this survey.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 검은잎마름병 (Sooty Leaf Blight of Cymbidium spp. Caused by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

  • 한경숙;박종한;이중섭;정승룡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6-129
    • /
    • 2007
  • [ $2005{\sim}2006$ ]년 경기도 안성시와 화성시의 심비디움 재배 농가로부터 잎 뒷면에 검은색 구름덩이 모양의 병반을 형성하고, 잎의 앞면에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황색병반을 나타내는 병징이 관찰되었다. 병징이 진전되어 병반이 합쳐지면서 잎 전체가 황색의 원형 병반을 이루고, 잎 뒷면에서도 검은색 구름덩이가 합쳐져 그을음모양(sooty spot)을 나타낸다. 병징이 오래되면 잎 조직은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은 암갈색 내지 검은색으로 변하며 잎이 마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비디움에 발생한 검은잎마름병의 병징을 관찰하고,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로 동정되었으며 병원성 검정 결과 자연상태와 동일한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 병을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검은잎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Fusarium spp. 균에 의한 뽕나무신소썩음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ulberry Shoot Rot caused by Fusarium spp.)

  • 윤형주;김영택;진경식;박인균;양성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6-91
    • /
    • 1995
  • 축엽세균병으로 알려진 피해뽕나무에서 진균인 Fusarium spp. 균이 분리되어 이를 구명하고 그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1. 신소썩음증상은 세로로 긴 갈색의 병무늬가 시간이 경과할 수록 암갈색으로 변하고 흰곰팡이가 생기며, 축엽세균병증상은 잎이 말리고 신소에 수침상의 병반과 bacterial ooze가 보인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 구분이 어렵다. 2. 신소썩음증상의 피해율은 7.5%, 축엽세균병의 피해율은 4.4%였다. 3. Fusarium spp. 균의 분리는 신소썩음증상에서 높았고, Pseudomonas균의 분리는 축엽세균병 증상에서 많았다. 또한 병원성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4. 수원 등 3지역 모두에서 부위별 병원성 Fusarium spp. 균의 분리율은 병반에서 30cm 부위에서 보다 병진전부위에서 더 높았다. 5. 수원 등 3지역 모두에서 개량뽕의 신소썩음증상 피해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청올뽕의 신소썩음증상 피해는 조사 품종중에 가장 적었다.

  • PDF

Leptosphaerulina trifolii에 의한 Kentucky Bluegrass의 Leptosphaerulina 잎마름병 발생 (Occurrence of Leptosphaerulina Leaf Blight on Kentucky Bluegrass Caused by Leptosphaerulina trifolii)

  • 김정호;심규열;김영호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94-96
    • /
    • 2010
  • In May of 2004 through 2007, Leptosphaerulina leaf blight caused by Leptosphaerulina trifolii occurred on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at golf courses in Gangwon Province, Korea. Symptoms on the turfgrass caused by L. trifolii were leaf blights, dying from the leaf tip downwards to the crown, which appeared patches in the field because of local pockets of severely infected (blighted) grass. Perithecia were produced on old or weak leaves, including club-shaped asci, each of which contained 8 pale brown muriform ascospores with cross and longitudinal septa. Ascospores of the fungus isolated from the diseased leaf tissue and cultured on potato-dextrose agar (PDA) were muriform multicellular (composed of 3-6 cells) and $23.4-40.5{\times}7.8-15.6{\mu}m$ in size with 3-4 transverse and 0-3 longitudinal septa, which were morphologically identical to L. trifolii reported previously. DNA sequences of ribosomal RNA gen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of the fungus were homologous with similarity of 99% to those of L. trifolii isolates in GenBank database,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causal agent of the disease. Pathogenicity of the fungus was also confirmed on the creeping bentgrass by Koch's postulates. This is first report of Leptosphaerulina leaf blight on turfgrass caused by L. trifolii in Korea.

A New Soybean Cultivar "Gaechuck#1" : Black Soybean Cultivar with Lipoxygenase2,3-free, Kunitz Trypsin Inhibitor-free and Green Cotyledon

  • Chung, Jong Il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603-606
    • /
    • 2009
  • Lipoxygenase and Kunitz trypsin inhibitor protein of mature soybean [Glycine max (L.) Merr.] seed are main anti-nutritional factors in soybean seed. A new soybean cultivar, "Gaechuck#1" with the traits of black seed coat, green cotyledon, lipoxygenase2,3 and Kunitz trypsin inhibitor protein free was developed. It was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derived the cross of "Gyeongsang#1" and C242. Plants of "Gaechuck#1" have a determinate growth habit with purple flowers, brown pubescence, black seed coat, black hilum, oval leaflet shape and brown pods at maturity. Seed protein and oil content on dry weight basis have averaged 39.1% and 16.2%, respectively. It has shown resistant reaction to soybean necrosis, soybean mosaic virus, Cercospora leaf spot and blight, black root rot, pod and stem blight, and soybean pod borer. "Gaechuck#1" matured on 5-10 October with a plant height of 50 cm. The 100-seed weight of "Gaechuck#1" was 23.2g. Yield of "Gaechuck#1" was averaged 2.2 ton/ha from 2005 to 2007.

율무 잎마름병을 일으키는 Bipolaris coicis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ipolaris coicis, Causing Leaf Blight of Job's Tears)

  • 김성기;김기우;홍순성;박은우;양장석;김윤정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91-296
    • /
    • 1997
  • 율무 잎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분리하고 동정하기 위하여 국내 6개 지역에서 병든 잎을 채집하였다. 분생포자는 갈색이었고 방추상이었으며 약간 굽은 모양이었다. 크기는 $25{\sim}46{\times}10{\sim}15\;{\mu}m$이었고 격막은 주로 4개이었으며 위격막 상태가 특징이었다. Hilum은 대부분 관찰되지 않았고 약간 돌출 된 것도 있었다. 포자의 발아관은 대부분 양극단의 세포에서 출현하였고, 발아관은 포자의 장축을 기준으로 하여 약간 비스듬한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유묘 단계의 율무에 분생포자를 접종했을 때, 잎에 긴방추형의 갈색 병반이 나타나면서 15일 후에 잎 전체가 고사하였다. 병원균은 병원성에 따라서 두 group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곰팡이의 균학적 특성과 병원성을 고려하여, 율무 잎마름병 병원균은 Bipolaris coicis (Nisikado) Shoemaker로 결정되었다.

  • PDF

Gray Mold on Carrot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Park, Kyeong-Hun;Ryu, Kyoung-Yul;Yun, Hye-Jeong;Yun, Jeong-Chul;Kim, Byeong-Seok;Jeong, Kyu-Sik;Kwon, Young-Seok;Cha, Byeong-Jin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64-368
    • /
    • 2011
  •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was found on a carrot seedling in a greenhouse and a field at Daegwallryeong, Gangwon Province in 2007-2009. Symptoms included irregular, brown, blight, or chlorotic halo on leaves and petioles of the carrots. Fungal conidia were globose to subglobose or ellipsoid, hyaline or pale brown, nonseptate, one celled, $7.2-18.2{\times}4.5-11\;{\mu}m$ ($12.1{\times}8.3\;{\mu}m$) in size, and were formed on botryose heads. B. cinerea colonies were hyaline on PDA, and then turned gray and later changed dark gray or brown when spores appeared. The fungal growth stopped at $35^{\circ}C$, temperature range for proper growth was $15-25^{\circ}C$ on MEA and PDA. Carrots inoculated with $1{\times}10^5$ ml conidial suspension were incubated in a moist chamber at $25{\pm}1^{\circ}C$ for pathogenicity testing. Symptoms included irregular, brown, water-soaked rot on carrot roots and irregular, pale brown or dark brown, water-soaked rot on leaves. Symptoms were similar to the original symptoms under natural conditions. The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diseased leaves, sliced roots, and whole roots after inoculation. As a result,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arrot gray mold caused by B. cinerea in Korea.

Pseudocercospora dendrobii에 의한 덴드로비움 검은잎마름병 (Sooty Leaf Blight of Dendrobium sp. Caused by Pseudocercospora dendrobii)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3-175
    • /
    • 2002
  • 2001년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덴드로비움 재배포장에서 잎에 검은 잎마름 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아래 잎에 원형 또는 부정형의 점무늬가 생기며 표면은 옅은 갈색의 작은 함몰된 병반이 차차 증가하여 검게 변하면서 썩고 나중에 회색을 띤 검은색으로 말라죽으면서 낙엽이 된다. 조사한 포장에서 발생율은 64.8%이었다. 균사의 색깔은 짙은 올리브색이고, 분생자병은 옅은 회갈색을 띠며 $5{\sim}10$개의 격벽을 가지고 분지하며 끝 부분이 가늘고 둔하다. 크기는 $63{\sim}164{\times}3.2{\sim}4.9{\mu}m$이었다. 분생포자는 옅은 올리브색이며 가늘고 긴 곤봉모양이며 곧거나 약간 굽으며 $1{\sim}5$개 격벽을 가지며, 크기는 $46{\sim}98{\times}3.2{\sim}3.9{\mu}m$이었다. 균사 생육적온은 $20^{\circ}C$이었다. 이 병원균의 병징 및 균학적 특징,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 dendrobii에 의한 덴드로비움 검은잎마름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고추 유묘에 대한 Colletotrichum acutatum의 병원성과 탄저병 발생 (Pathogenicity and Occurrence of Pepper Seedling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 한경숙;박종한;한유경;황정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88-93
    • /
    • 2009
  • 고추 유묘의 신초가 말라죽고 잎에 수침상점무의 증상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여 균총의 색깔과 형태, 포자의 모양과 크기를 관찰한 결과 균총의 색깔은 처음에는 핑크색 띄나 차츰 회색으로 변하였고, 분생포자는 방추형으로 크기가 $8.1-17.0{\times}2.0-3.8{\mu}m$이며 생장최적온도 $25-27^{\circ}C$이다.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고추 유묘에서 분리한 균을 동정한 결과 C. acutatum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인 CaINT에서만 496 bp의 증폭산물을 얻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유묘에서 분리한 균은 Collectotrichum acutatum으로 동정하였다. 고추 유묘에서 분리한 균주를 고추묘 생육단계별로 병원성 검정한 결과 유묘 뿐 아니라 식물체 전 생육기에 잎 탄저병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고추 열매에서도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