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laying hens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초

산란계 사료의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이 산란율과 란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Energy Levels on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of Laying Hens)

  • 이을연;최진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1987
  • 사료의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이 산란계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3회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1에서는 352일령의 마니나 브라운종을, 시험 2에서는 280일령의 갈색 와렌종을, 시험 3에서는 317일령의 갈색 와렌종을 각각 이용하였다. 각 시험에서 공히 총 360수의 공시계를 18수씩 20개구로 나누어 4개처리에 5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시험 설계는 2가지 수준의 에너지(2500과 2800 kcal ME/kg)와 2가지 수준의 단백질 (13% 및 16 %)을 조합한 2$\times$2 요인시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공시계는 산란계용 Cage에 cage 당 2수씩 수용하였으며 시험 1과 2에서는 4주간의 시험기간동안 시험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급여하였고 시험3에서는 2주간의 시험기간동안 사료섭취량을 1일 수당 130g으로 제한하여 급여하였다. 시험 1과 2에서 고에너지 사료를 섭취한 닭이 산란율이 다소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시험 1에서는 단백질 수준이 산란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사료를 제한 급여한 시험3에서는 고에너지 사료에서 산란율이 개선되었으며(P〈0.05) 단백질 수준도 산란율에 영향을 미쳤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시험 1과 2에서 란중은 에너지 수준이나 단백질 수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시험 3에서는 고에너지 수준에서 란중도 약간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3회의 시험 모두에서 사료의 단백질이나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 때 egg mass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의 에너지나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 때 사료섭취량은 감소하고 사료효율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사료의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 때 단백질 효율(egg mass/단백질섭취량)이 개선되었으며 사료의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 때 에너지 효율(egg mass /ME 섭취량) 이 개선되었다.

  • PDF

비타민 C와 비타민나무 부산물 첨가가 산란 성계의 생산성 및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and Sea Buckthorn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Old Laying Hens)

  • 강환구;김지혁;황보종;김찬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1-189
    • /
    • 2015
  • 본 연구는 100주령 이상의 산란성계 사료 내 비타민 C 및 비타민나무 부산물의 첨가 급여가 생산성, 도체수율, 혈액성상 및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공시 동물은 100주령 Hy-Line Brown 2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2수 수용 케이지 10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비타민나무 부산물은 강원도 양구 소재 비타민나무 재배지에서 생산, 건조된 비타민나무 잎과 가지를 이용하였으며, 시험에 이용된 사료는 한국가금사양표준(2012) 요구량에 준하여 배합하였다. 처리구로는 비타민 C와 비타민나무 부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Basal)와 Vit. C 0.1% 첨가구, 비타민나무 부산물 0.1% 첨가구, 비타민나무 부산물 0.5% 첨가구 그리고 비타민나무 부산물 1.0% 첨가구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고,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 + 조명; 16 hr)를 실시하였다. 산란율 및 도체율은 전 시험기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분육 비율은 가슴육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 대조구와 비교 시 차이가 없었으나, 가슴육 비율은 비타민나무 부산물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하지만 산란성계육의 일반성분, 보수력, 가열감량 및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는 비타민 C 및 비타민나무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산란 성계 사료 내 비타민나무 부산물의 첨가는 생산성 및 계육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부분육 중 가슴육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산란성계육 수출 시 부위별 무게로 가격이 결정됨을 감안할 때 경제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산란성계육 수출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가 미흡한 점을 감안할 때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ermented spent mushroom (Hypsizygus marmoreus) substrates on laying hens)

  • 김수철;문여황;김혜수;김홍출;김종옥;정종천;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0-356
    • /
    • 2014
  •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준농산에서 수거한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를 Bacillus subtilis EJ3 배양액과 혼합하여 2주 동안 발효시킨 것을 공시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인 12주령된 Hy-line brown 갈색계 24수는 시판사료 급여구인 대조구(T0)와 5(T1), 10(T2), 15%(T3)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이 첨가된 시판사료 급여구인 시험구로 나누어 12주 동안 공시사료를 급여하였다. 12주동안 평균 산란율은 대조구에 비해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였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 배지 첨가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10% 버섯수확후배지 첨가구부터는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산란량과 산란율은 대조구보다는 5% 버섯수확후배지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12주의 사양시험기간 동안 난중, 난각강도, 난각두께, 난황색 모두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계란의 내부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인 난황색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10% 이상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난황색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계란의 내부 오염 지표인 육반과 혈반에서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외부 품질 기준인 난각색도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계란의 포장과 수송과정에서 계란의 상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난각중과 난각 두께는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급여구에서 산란계의 가스발생량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란계에 Microbial Phytase 첨가시 산란율, 계란 품질, 인 이용율 및 영양소 대사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icrobial Phytase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Phosphorus Utilization and Nutrient Metabolizability in Laying Hens)

  • 장해동;현영;김희성;황일환;유종상;김효진;신승오;황염;주천상;진영걸;조진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5-121
    • /
    • 2008
  • 본 시험은 microbial phytase을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시 산란율, 계란 품질, 인 이용율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32주령 Hy-Line Brown 갈색계 120수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CON(control), LP(low phosphorus diet), NP(low phosphorus diet + 0.03% normal microbial phytase) 및 CP(low phosphorus diet + 0.03% coated microbial phytase)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기간 동안 산란율은 CON과 CP 처리구가 LP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난각 강도와 난각 두께는 LP 처리구에 비해 CON, CP 및 NP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색과 haugh unit에서는 CON, CP 및 NP 처리구가 LP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혈액내 칼슘과 인 농도는 CP 처리구가 LP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건물 소화율과 질소 소화율에서는 CP 처리구가 CON, LP 및 NP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회분소화율은 CON, CP 및 NP 처리구가 LP 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칼슘 소화율과 인 소화율에서는 CP와 NP 처리구가 CON과 LP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칼슘 흡수량은 CON, CP 및 NP 처리구가 LP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인 흡수량은 CP와 NP 처리구가 CON과 LP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질소와 칼슘 배출량은 CON, NP 및 CP 처리구가 LP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냈다(P<0.05). 인 배출량은 LP, NP 및 CP 처리구가 CON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에 있어 코팅된 microbial phytase의 첨가는 산란율, 계란 품질, 혈액 내 칼슘과 무기태 인, 영양소 소화율과 칼슘 및 인 흡수량을 증진시키며, 질소와 칼슘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increasing levels of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on laying hens in barn system

  • Kang, Hwan Ku;Park, Seong Bok;Jeon, Jin Joo;Kim, Hyun Soo;Park, Ki Tae;Kim, Sang Ho;Hong, Eui Chul;Kim, Chan 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766-1772
    • /
    • 2018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reasing levels of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_n$) on the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arameters, blood biochemistry, intestinal morphology,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energy and nutrients in diets fed to laying hens. Methods: A total of three-hundred twenty 33-week-old Hy-Line Brown laying hens (Gallus domesticus) were evenly assigned to four experimental diets of 2,750, 2,850, 2,950, and 3,050 kcal $AME_n/kg$ in pens with floors covered with deep litter of rice hulls. There were four replicates of each treatment, each consisting of 20 birds in a pen. Results: $AME_n$ intake was increased (linear, p<0.05) with inclusion level of $AME_n$ in diets increased.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improved (linear, p<0.01), but hen-day egg production tended to be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level of $AME_n$ in diets. During the experiment, leukocyte concentration and blood biochemistry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total protein, calcium, aspar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transferase were not influenced by increasing level of $AME_n$ in diets. Gross energy and ether extract were increased (linear, p<0.01) as the inclusion level of $AME_n$ in diets increased. Conclusion: Laying hens fed high $AME_n$ diet (i.e., 3,050 kcal/kg in the current experiment) tended to overconsume energy with a positive effect 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but not on egg production and egg mass.

Effect of xylo-oligosaccharides on reproduction, lipid metabolism, and adipokines of hens during the late egg-laying period

  • Wen, Fengyun;Wang, Fengyan;Li, Pei;Shi, Hanyi;Liu, Ni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1호
    • /
    • pp.1744-1751
    • /
    • 2022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xylo-oligosaccharides (XOS) administration on egg production, reproductive hormones, serum lipids and adipokines of hens at the late cycle of reproduction. Methods: Four treatments included control (basal diet) and XOS addition at 2.0 (XOS-2), 4.0 (XOS-4), or 6.0 (XOS-6) g/kg of diet using 288 commercial Hy-Line brown hens from 73 to 84 wk of age. Egg production, body fat deposition, reproductive tract and hormones, lipid metabolism and adipokines were determined. Results: At 84 wk, compared to the control, XOS supplementation at the three doses increased (p<0.001) egg-laying rates by 13.2% averagely, which led to a higher egg mass by 131 g/hen throughout the whole trial period. Abdominal fat and skinfold of XOS treatments were decreased (p<0.001) by 26.1% and 18.6%, respectively; large follicles and ovary weight were increased (p<0.001) by 0.73 follicle/hen and 18.6%, respectively. For serum parameters,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decreased (p<0.001) by 17.5% and 29.2%, respectively; luteinizing hormon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 progesterone were increased (p≤0.001) by 16%, 31%, 29%, respectively; adiponectin and visfatin were increased (p<0.001) by 34% and 44%, respectively; but chemerin and leptin were decreased (p≤0.001) by 22% and 14%, respectively. With the increased XOS doses, linear decreases (p<0.05) were found on abdominal skinfold and serum triglyceride. Conclusion: The obtained data indicate that XOS can be used as an additive to improve fecundity by beneficially modulating fat deposition, lipid metabolism, reproductive hormones, and adipokines of hens at the late cycle of reproduction.

홍삼 부산물이 스트레스에 대한 산란계 생체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Red Ginseng Marc on Vital Reaction in Laying Hens under Stress Task)

  • 홍준기;봉미희;박준철;문홍길;이상철;이준헌;황성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3-70
    • /
    • 2012
  • 본 연구는 홍삼박을 산란계 사료에 첨가하여 고온 환경에서의 적응과 면역 개선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진 ${\beta}$-glucan 첨가 사료를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고온 스트레스 후의 생산성 변화, 혈액생화학 조성, LPS에 대한 면역 반응 및 혈액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52주령 ISA Brown 갈색계를 무첨가구(Negative Control; NC), 시판 면역제제 첨가구(Positive Control; PC, ${\beta}$-glucan 25 ppm), 홍삼 부산물 3% 첨가구(RGM; Red Gingeng Marc)로 구분한 후, 처리당 15수(3수${\times}$5반복)로 배치하여 총 11주간 사양 실험을 2하였다. 8주차에 불쾌지수(THI; temperature humidity index)를 76($27^{\circ}C$, 60%)에서 86($34^{\circ}C$, 60%)으로 상승시키고, 24시간 동안 유지한 후 3주간 회복 시간을 가졌으며, 사양 기간이 종료된 후 LPS(Excherichia coli; SIGMA) 접종을 하였다. 8주간의 일반 사양 실험에서 홍삼박은 산란율을 증대시켰으나(P<0.05), 고온 스트레스 자극 후 혈액 생화학 및 생산성 변화에서 홍삼박의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LPS 접종 시 전체적으로 IgM 농도가 감소되지만 홍삼박 첨가구의 경우 면역제제 첨가구와 동일하게 LPS 주입 후 IgM 농도를 대조구보다 높게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또한 혈액 내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한 결과, 홍삼박 첨가구와 면역제제 첨가구 모두 무첨가구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종합해 보면, 홍삼박은 산란계에서 강한 고온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일반환경에서 산란율을 증대시켜 생산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beta}$-glucan을 함유한 면역제제와 유사 패턴으로 LPS 접종에 대해 IgM 농도를 높게 유지하고, 혈액 내 항산화 활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홍삼박은 산란계 체내 면역 조절 및 항산화 효과를 가져 산란계 건강과 생산성 증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고온 스트레스자극 실험 결과는 앞으로 고온 스트레스 관련 연구에서 고온 환경 설정(불쾌지수, 자극시간)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Effects of Dietary Turmer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ies in Laying Hens

  • Park, Sang-Sul;Kim, Jin-Man;Kim, Eun-Jib;Kim, Hee-Sung;An, Byoung-Ki;Kang, Chang-Wo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7-32
    • /
    • 201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s of turmeric powder (TP) on laying performances, egg qualities and its transfer into eggs. A total of two hundred, 60-wk-old, Lohmann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placed in to 5 replicates per group (10 layers each) and fed each one of four diets containing 0% TP (control), 0.10, 0.25 or 0.50% TP, respectively, for 7 wks. Egg production in the all groups fed diets containing T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P<0.05).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s, egg and eggshell qualities were observed among the treatments, but Roche color fan number (yolk color) in group fed diet with 0.5% T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P<0.05). In the groups fed diets containing TP, Haugh units after 2 wk of stor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0.05). The curcumin content of egg yolk in the groups fed diet containing 0.50% T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P<0.05). The cholesterol levels of egg yolk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TP. It was concluded that dietary TP was effective in improving laying performance and internal egg qualities. TP can be also used as a feed additive for the production of value-enhanced eggs with increased yolk color and curcumin content.

Producti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parameters in Hy-line brown laying hen in response to extra feed supplementation

  • Md Mortuza Hossain;Jae Hong Park;In Ho Kim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249-25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roviding laying hens with extra feed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parameters. A total of 480 laying hens (38-weeks old), were divided into five treatment groups (eight replicate cages/treatment and 12 layer/replicate) according to their starting body weight (1.98 ± 0.05 kg) in this four-week feeding trial. Five different feed allowances of the same diet (105, 110, 115, 120, and 125 g·day-1·bird-1) were assigned to layers. Daily inspections of remaining feed (around 0.1g) and layer mortality (0%) showed no harmful impact of supplying extra feed to layers. Providing 120 and 125 g of feed per day to layers resulted in the highest final body weight, large-egg ratio, and improved yolk color among all treatment groups. Layers receiving 125 g of feed daily had the highest egg weight, but the highest egg production ratio was observed in layers receiving 110 g of feed/day. The additional supply of feed did not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roductive performance or egg quality of the layers. The provision of 125 g feed per day led to an improvement of large-egg ratio, egg weight, and yolk color, but likely led to obesity of the layers, which manifested as an increase in body weight and a decline in the egg production ratio. We concluded that 110 grams of feed was the proper quantity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health of the laying hen to the overall production performance.

Discrimination of Astaxanthin Fed Laying Hens and Their Peroxidated Carcasses by Electronic Nose

  • Kwon, Young-An;Lee, Chan-Yong;Lee, Bong-Duk;Choi, Seung-Hyun;An, Gil-Hwa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5-219
    • /
    • 2010
  • The applicability of electronic nose was tested to detect lipid peroxidation in chickens and to measure antioxidant effect of astaxanthin in chicken carcasses. Two sources of astaxanthin were fed to 62-wk-old spent laying hens to improve meat quality: natural astaxanthin (NA) from the red yeast, Phaffia rhodozyma, and synthetic astaxanthin (SA) from chemical synthesis. One hundred forty four ISA Brown laying hens were used in a 6-wk feeding trial. Three treatments consisted of the basal diet (control), SA (100 mg astaxanthin/kg basal diet) and NA (50 mg astaxanthin/kg basal diet). The astaxanthin levels of SA and NA were set to give a similar degree of skin pigmentation. After 6-wk feeding of astaxanthin, the skins from NA and SA were discriminated from the control by electronic nose. However, electronic nose failed to distinguish between SA and NA skins after 6-wk feeding. The astaxanthin level differences between skins of SA and NA were not remarkable during the 6-wk trial. The lipid peroxide formation in sk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A but not by NA. The antioxidation effect of SA was detected by electronic nose because SA skin was discriminated from others. NA was a better pigmentation agent than SA, but the reverse was true in antioxidation. Electronic nose is applicable for detecting astaxanthin in chicken, and meat off-flavor caused by lipid peroxidation during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