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guinea pig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Brown guinea pig에서 백지 열수추출물의 미백효과 (The Whitening Effect of Angelicae dahuricae Radix Water Extract in Brown Guinea Pigs)

  • 김필순;김영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17-42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hitening effect of Angelicae dahuricae Radix water extract (ADWE) by its application on artificial tanning spots which were induced by 1,500 $mJ/cm^2$ of UVB radiation on the backs of brown guinea pigs weighing approximately 450~500 g. Thirty ${\mu}l$ of ADWE, at each application, were applied twice a day, 5 days a week, for 8 weeks to the guinea pigs. The artificial tanning spo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hich were vehicle control group [propylene glycol: ethanol: water (5:3:2)], positive control group (2% hydroquinone) and experimental group (2% ADWE). The visible whitening effect and changes in melanin index were evaluated once a week. On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under anesthetization, and the artificial tanning spots were excised by biopsy punch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H&E) to observe histological change and also stained with Fontana-Masson's silver (F-M) and S-100 to observe melanin pigmentation and melanocytes. In the gross observ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pigmentation than the positive control group but lower pigmentation than the vehicle control group. Histological observation confirmed that ADWE had a positive whitening effect by showing a lower distribution of melanin and melanocytes in the epidermis of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vehicle control group.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의 피부 과다색소침착에 미치는 영향 (Action of Rodgersia podophylla Root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in Skin)

  • 공연희;이평재;최상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34-436
    • /
    • 2007
  • 멜라닌 생합성은 tyrosinase의 작용으로 인한 tyrosine의 산화로부터 시작되어 dopaquinone 및 dopachrome가 생성되고 dopachrome는 다시 dihydroxyindole과 dopachrome tautomerase에 의한 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Alaluf et al.; 2001).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기전을 검정하기 위하여 melan-a 세포에서의 tyrosinase 및 TRP-2 발현량을 western immunoblotting하여 측정한 결과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TRP-2 발현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tyrosinase의 발현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따라서 이전의 연구와 종합하여 볼 때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멜라닌 생합성의 초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발현을 모두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brown guinea pig 피부에서 3% 농도로 도포 시 발적이나 이상 징후를 일으키지 않고 자외선으로 유도된 색소 침착을 감소 시켜 피부 미백 용도의 기능성 원료로써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Whitening Effect of Black Tea Water Extract on Brown Guinea Pig Skin

  • Choi, So-Young;Kim, Young-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53-160
    • /
    • 2011
  • To evaluate the whitening effect of black tea water extract (BT), BT was topically applied to artificially hyperpigmented spots on the back skins of brown guinea-pigs (weight: 450~500 g) induced by 1,500 mJ/$cm^2$ of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The test compounds of 30 ${\mu}l$ were applied twice a day, six days a week, for four weeks. The artificially hyperpigmented spo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control (UVB + saline, C), vehicle control [UVB + propylene glycol: ethanol: water (5 : 3 : 2), VC], positive control (UVB + 2% hydroquinone, PC), experimental 1 (UVB + 1% BT), experimental 2 (UVB + 2% BT). After 4-week application, the spots were removed by biopsy punch under anesthetic condition and used as specimens for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BT were 104 and 91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BT revealed a dose-dependent response, showing the excellent capacities of 86% at 800 ${\mu}g$/ml. The artificially hyperpigmented spots treated with the PC and BT were obviously lightened compared to the C and VC groups. At the fourth week, the melanin indices for the PC and B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001) than those of the C and VC groups. In histological examination, PC and BT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melanin pigmentation, the proliferation of melanocytes and the synthesis of melanosomes compared to the C and VC groups. It is found that BT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melanocytes and synthesis of melanosomes in vivo using brown guinea pigs, thereby showing a definite skin whitening effect.

Oxyresveratrol Derivative Compound DMPB Act as Potent Dipigment agent in Brown Guinea Pig Skin

  • Choi, Sang-Yoon;Kim, Sang-Hee;Hwang, Jae-Sung;Kim, Ho-Cheol;Kim, Sun-Yeou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92.2-93
    • /
    • 2003
  • This study with the object of reported to depigment agent, oxyresveratrol derivative, compound DMPB. Compound DMPB with a two methoxy groups and modified connection chain. It was synthesized in accordance with a simple combination process. Compound DMPB exhibits depigmentaion ability on ultraviolet B-induced hyperpigmention of the brown guinea pig skin. In addition, this Compound exhibited 30% inhibitory effect of melanin generation without cell toxicity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with 100 ppm in melan-a cells. (omitted)

  • PDF

피부에서의 백삼 분획물의 멜라닌 색소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White Ginseng Fraction on Skin Pigmentation)

  • 조연옥;공연희;이영철;김성수;최상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2-194
    • /
    • 2008
  • In our previous study, ethylacetate fraction of white ginseng (root of Panax ginseng C.A. Meyer) extract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melanocytes. This study examined its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melanin biosynthesis-related enzymes to explore the depigmenting pathway. Moreover, depigmenting effect on animal skin was examined using UV-B induced hyperpigmented skin of brown guinea pigs. The ethylacetate fraction of the white ginseng extract exhibited depigmenting activity in the skin of brown guinea pig without visible edema. In addition, this fraction reduced tyrosinase expression in melanocyt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ethylacetate fraction of white ginseng extract might be used as skin depigmenting material by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ion.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효능 연구 (Whitening Effects of Angelica dahurica Radix Ethanol Extract)

  • 김필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038-4045
    • /
    • 2011
  • 본 논문은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melan-a cell, 브라운 기니피그 및 HMB-45 염색을 사용하였다. melan-a 세포에 시료를 6.25, 12.5, 25, 50, ${\mu}g/m{\ell}$ 농도로 처치하여 세포 생장율의 변화 관찰 및 멜라닌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brown guinea pig (450~500 g)등 부위에 1500 mJ/$cm^2$ 광량의 ultraviolet B조사로 유발시킨 인공색소반 (${\Phi}$ 2 mm)에 1일 2회, 주 5일, 매회 30 ${\mu}{\ell}$씩 총 5주간 시료를 도포하여 주 1회 육안적 변화를 관찰 하였고, 실험 5주째 되는 날 실험동물은 염산 케타민으로 마취 후 시료를 도포한 인공색소반 부위를 biopsy punch로 절취하여 HMB-45 염색으로 멜라닌소체 내 glycoprotein(gp100) 단백질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 하였다. 세포생장율 측정에서 시료처치 6.25~50 ${\mu}g/m{\ell}$에서의 세포생장율은 높았고, 멜라닌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에서는 시료처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멜라닌합성 및 수지상 돌기가 적게 관찰 되었다. 동물 실험 육안적 관찰에서 시료 도포군이 용매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색소침착 정도가 확연하게 밝아졌고, gp100 단백질의 조직학적 관찰에서 시료 도포군은 gp100 단백질 발현 정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며, 영상분석에서도 시료 도포군이 용매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p<0.001)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현미경 관찰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백지 에탄올추출물은 우수한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니아 피그 동물모델에서 삼릉 에탄올추출물의 미백 효과 (Effect of Scirpi rhizoma Ethanol Extract on Skin Whitening in an Animal Model of Brown Guinea Pigs)

  • 고주영;최경화;김영철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3호
    • /
    • pp.219-22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kin whitening effect of Scirpi rhizama ethanol extract (SREE) in an animal model. For the experiment of the study, three brown guinea pigs weighing about 450 g to 550 g were exposed to ultraviolet-B rays on the backs at 500 $mJ/cm^2$ once a week, three consecutive weeks and the total quantity of light was 1,500 $mJ/cm^2$. The artificial tanning spots were divided into six different groups including normal (N), control (C), vehicle control (VC), positive control (PC), experimental 1 (E1, 1% SREE), experimental 2 (E2, 2% SREE) groups. Then, 30 ${\mu}L$ of SREE was transdermaly applied on the artificial tanning spots twice a day and 5 days a week for 8 weeks. With the result of a gross observa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pigmentation became apparently thinner in the group applied with E2, compared to the control or the vehicle control group. The melanin index of E2 group was significant lower than the control or the vehicle control group. In the observation with a light microscope,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melanin pigmentation and S-100 protein expression considerably decreased in the groups applied with SREE, compared to the control or the vehicle control group. With the numerical analysis of melanin pigmentation and S-100 protein expression by using image-analysis software,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was coincide with the results of microscopic observation.

Coenzyme Q10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Coenzyme Q10 on Melanogenesis of cultured Human Melanocytes and in vivo Guinea Pig Model)

  • 황재성;박원만;안수미;강병영;이병곤;심영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9-162
    • /
    • 2000
  • Coenzyme Q10(CoQ10)은 피부를 포함한 모든 생체조직에 존재하는 널리 알려진 조효소이다. 전자전달에 관여하는 퀴논링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CoQ10은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외용제로써 노화억제와 주름개선작용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 이런 보고들은CoQ10이 항산화제로서 산화-환원작용을 통해 피부의 방어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일반적으로 산화-환원작용은 피부에서 흑화과정의 조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CoQ10 이 피부의 색소조절기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CoQ10을 0.05-0.5 mM 처리한 결과 0.5, 0.25mM에서 멜라닌의 생합성을 약 50% 저해하였으며 이는 알려진 미백제인 Kojic acid나 vitamin C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또한, CoQ10은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서 자외선이나 세포내 cAMP 증가 유도물질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tyrosinase inhibitor인 kojic acid와는 달리, in vitro tyrosine hydroxylase의 억제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CoQ10을 자외선으로 tanning을 유도시킨 brown guinea pig에 4주간 도포하고 육안 및 chromameter를 이용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 vehicle처리군에 비해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coenzyme Q10 은 in vitro및 in vivo에서 미백효과를 지닌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제니스테인의 멜라닌 생성 억제 및 In vivo 미백 효과 (The Effect of Genistein on Melanin Synthesis and In vivo Whitening)

  • 양은순;황재성;최현정;홍란희;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2-81
    • /
    • 2008
  • 제니스테인의 미백제로서 응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Melan-a 세포에 제니스테인을 처리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멜라닌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가 tyrosinase의 활성 저해와 관련되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니스테인은 tyrosinase에 직접 작용하여 활성을 저해하지는 않았으나, 세포내의 tyrosinase의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제니스테인이 tyrosinase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세포내 tyrosinase의 활성 저해가 발현과는 다른 기전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니스테인은 ${\alpha}$-glucosidase를 저해하였으며, 이를 통해 N-linked glycoprotein인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저해하여 tyrosinase의 세포내 이동이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니스테인은 brown guinea pig에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흑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하는 미백 효과가 있었다. 인공색소반에 제니스테인을 1%, 2% 도포한 결과 5주차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멜라닌에 대한 F-M 염색 결과를 살펴보면, 제니스테인 2%를 도포한 부위의 멜라닌 함량이 대조군 도포 부위에 비해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제니스테인은 미백제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ngelica dahurica Radix Ethanol Extract)

  • 김필순;이태종;김양희;김정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378-4384
    • /
    • 2011
  • 본 연구는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포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을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여 측정 하였고, brown guinea pig(450~500g)의 등 부위에 1500mJ/$cm^2$ 광량의 자외선 조사로 유발시킨 피부(6areas per group)에 1일 2회, 주 5일, 매회 $30{\mu}{\ell}$씩 총 5주간 시료를 도포한 후 염산 케타민으로 마취, 시료를 도포한 피부 부위를 직경12mm의 biopsy punch로 절취하여 10%의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12시간 실온에서 고정한 후 Hematoxylin and eosin(H&E) 염색으로 표피 및 진 조직을 관찰하였다.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20.7mg/g, 19.5mg/g으로 확인되어 항산화물질 함량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백지 에탄올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500{\mu}g/m{\ell}$$1000{\mu}g/m{\ell}$농도에서 각각 14.8%, 19.8%의 전자공여능을 보여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Dibutylated hydroxytoluene(BHT)보다 공여능이 낮았으나 의미 있는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H&E 염색 결과, 대조군의 표피에서 경미한 비후도가 나타났으나, 백지 에탄올추출물 도포군은 피부조직 배열이 규칙적이며 염증관련 세포 침윤 등의 별다른 이상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백지 에탄올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