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blotch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2초

Identification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isolates causing brown blotch on cultivated mushrooms in Korea

  • Chan-Jung Lee;Hye-Sung Park;Seong-Yeon Jo;Gi-Hong An;Ja-Yun Kim;Kang-Hyo Lee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47
    • /
    • 2024
  • Fluorescent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porocarps that browned into various mushrooms during survey at places of the production in Korea. We examined the pathogenicity, biodiversity,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19 strains identified as Pseudomonas tolaasii by sequence analysis of 16S rRNA and White Line Assay.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poB gene system, fatty acid profiles, specific and sensitive PCR assays, and lipopeptide detec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P. tolaasii. As a result of these various analyses, 17 strains (CHM03~CHM19) were identified as P. tolaasii.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16S rRNA gene showed that all strains were clustered closest to P. tolaasii lineage, two strains (CHM01, CHM02) were not identified as P. tolaasii and have completely different genet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fatty acids profile, specific and sensitive PCR, lipopetide detection, rpoB sequence and REP-PCR analysis. Pathogenicity tests showed 17 strains produce severe brown discolouration symptoms to button mushrooms and watersoaking of sporophore tissue within three days after inoculation. But two strains did not produce discolouration symptoms. Therefore, these two strains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for correct species identification by different b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팽이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Pseudomonas tolaasii) 방제약제 선발 (Screening of Chemicals on Bacterial Brown Blotch Caused by Pseudomonas tolaasii on Flammulina velutipes)

  • 이현욱;김태성;박현철;송근우;신원교;문병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64-169
    • /
    • 1999
  • 팽이버섯 재배에 있어 가장 문제되는 병해 중의 하나인 팽이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세균성갈반병)의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해 제오라이트입제, 키토산, 목초액, $Ca(OCl)_2$, NaOCl 등 5종의 약제를 공시하여 기내와 버섯재배사에서 시험을 수행한 결과, 목초액과 $Ca(OCl)_2$는 0.5% 농도에서 F. velutipes의 균사생장 억제력은 낮았으나, 병원세균인 P. tolaasii에 대해서는 현저한 생장억제력을 보여 팽이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의 방제약제로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병율은 무처리구에서 43.8%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Ca(OCl)_2$ 0.5% 처리구의 경우 14.6%로 가장 낮은 발병율을 보였고, 목초액 0.5% 처리구 및 $Ca(OCl)_2$ 1.0% 처리구에서 20% 내외, 그리고 목초액 1.0% 처리구에서 26.1%의 매우 낮은 발병율을 보였다. 또한 약제 처리농도의 경우 1.0% 보다는 오히려 0.5%의 저농도에서 억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품질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수량도 30% 정도 증수되었고, 특히 $Ca(OCl)_2$ 1.0% 처리구의 경우 35.6%로 가장 높은 증수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발병억제율, 품질, 수량 등 전체적인 처리효과를 볼 때, 목초액보다는 $Ca(OCl)_2$가 상대적으로 더 유효하고, 약제별 사용농도는 $Ca(OCl)_2$ $0.5{\sim}1.0%$, 목초액은 0.5%의 농도가 본 병의 억제에 가장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xpress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 Bombus ignitus Apidaecin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 Lee, Kwang-Sik;Je, Yeon-Ho;Jin, Byung-Rae;Sohn, Hung-D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4권1호
    • /
    • pp.37-40
    • /
    • 2012
  • The apidaecins are highly active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Here, we show the express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umblebee, Bombus ignitus, apidaecin. We PCR-amplified 51 bp of the active domain sequence of the B. ignitus apidaecin gene and expressed the recombinant B. ignitus apidaecin active domain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The recombinant B. ignitus apidaecin active domain shows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including Pseudomonas tolaasii, a serious pathogen in cultivated mushrooms, but not Gram-positive bacteria.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ctive domain of the B. ignitus apidaecin is a potential antibacterial agent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brown blotch diseases.

Mechanism of $Zn^{2+}$ Inhibition on Tolaasin Channel Activity

  • Cho, Kwang-Hyun;Kim, Sook-Jin;Kim, Young-Kee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2001년도 학술 발표회 진행표 및 논문초록
    • /
    • pp.40-40
    • /
    • 2001
  • Tolaasin is a 1.9 kDa peptide produced by Pseudomonas tolaasii and causes a brown blotch disease on cultivated oyster mushrooms. These molecules form channels in the plasma membranes of various cells including red blood cells and destroy cellular structure, known as 'colloid osmotic 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tolaasin-mediated channel formation, the effect of Zn$^{2+}$ was investigated on hemolysis and channel formation since Zn$^{2+}$ has been known to block the tolaasin activity.(omitted)ted)

  • PDF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Aspects of Bipolaris sorokiniana Conidia Surviving on Wheat Straw

  • Duveiller, E.;Chand, R.;Singh, H.V.;Joshi, A.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328-332
    • /
    • 2002
  • Wheat samples showing typical spot blotch symptoms on stems and sheaths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after physiological maturity, and were sealed in paper bags and stored in the laboratory at room temperature to study the survival of Bipolaris sorokiniana conidia on wheat straw. The materials were observed at monthly intervals to assess the conidia viability during storage. After 4 months, the frequency of individual conidia already present on wheat straw at the time of sampling was reduced and appeared to be progressively replaced by the formation of round structures consist-ing of conidia aggregates. After 5 months, distinct, individual conidia were no longer detected, and only 'clumps of conidia' were observed. These dark black aggregates or 'clumps of conidia’measured 157-170$\mu\textrm{m}$ in diameter and were grouped into boat-shaped olivacious conidia showing thick wall and measuring 50-82$\times$20-30$\mu\textrm{m}$. The germination was unipolar and below 0.5%, suggesting the occurrence of dormancy, In contrast, individual conidium produced on wheat during the growing season were 96-130$\times$16-20$\mu\textrm{m}$, slightly curved, hyaline to light pale, and euseptate with a bipolar germination reaching 98-100%. Bipolaris sorokiniana conidia produced on PDA were 55-82$\times$20-27$\mu\textrm{m}$, tapered at both ends, dark brown to olivacious, distoseptate, showed up to 1% germination, and were predominantly unipolar.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B. sorokiniana conidia belonged to two different physiological 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pathogen's infection phase and its survival, respectively. The infection phase is characterized by a high germination percentage as opposed to the survival phase harboring apparent dormancy.

환원 조건에서 톨라신 저해 물질 활성의 안정성 증가 (Stability increase in the activity of tolaasin inhibitors under reducing conditions)

  • 윤영배;김민희;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51-355
    • /
    • 2017
  • 톨라신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생성되는 펩티드 독소이며, 인공재배 버섯에 갈반병을 일으킨다. 톨라신 펩티드는 막에 pore를 형성하고, 세포막 구조를 파괴한다. 톨라신의 분자 작용은 톨라신 분자들의 응집, 세포막 결합, 세포막에서의 pore 형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작용의 억제는 갈반병을 억제할 수 있다. 식품첨가물로부터 몇몇의 톨라신 저해제(tolaasin inhibitory factors, TIF)를 얻었다. TIF는 버섯에 감염된 병원균에 의한 갈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IF를 다양한 조건에서 보관하였으며, 톨라신에 의한 세포 독성의 저해에 대해 이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TIF는 불포화탄소 화합물이기 때문에 대기 노출과 빛 조사에 민감하다. 혐기적 조건에서 TIF는 3개월동안 안정하였고, 효과는 10% 정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빛과 공기와 접촉한 조건에서는 2주동안 90% 가까이 TIF 활성이 억제되었다. 5, 25, $45^{\circ}C$의 저장온도에서는 어떠한 차이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온도는 TIF의 안정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따라서, TIF 화합물의 안정적인 저장을 위해서는 용기는 밀폐되고, 빛은 차단되어야 한다.

톨라신의 용혈활성에 대한 Ni2+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Ni2+ on the Tolaasin-induced Hemolysis)

  • 최태근;왕희성;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1호
    • /
    • pp.28-32
    • /
    • 2009
  • 세균독소인 톨라신은 재배버섯에서 버섯균사 및 자실체의 구조를 파괴하여 갈반병을 일으킨다. 톨라신의 세포독성은 톨라신이 적혈구의 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여 세포구조를 파괴하기 때문에 용혈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저자들은 $Zn^{2+}$$Cd^{2+}$에 의한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하는 중에 $Ni^{2+}$이 또 다른 저해제로 톨라신의 독성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Ni^{2+}$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의 저해는 농도의존적이었으며, Ki 값은 대략 10mM이었고, 이것은 $Ni^{2+}$$Cd^{2+}$에 비하여 저해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용혈활성은 50mM 이상의 $Ni^{2+}$농도에서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Ni^{2+}$의 효과는 EDTA 첨가에 의해 가역적임을 확인하였다. 톨라신에 의한 용혈활성이 20mM $Ni^{2+}$에 의해서 완전히 억제된 상태에서 EDTA를 가하면 즉각 용혈활성이 나타났다. $Ni^{2+}$에 의한 톨라신 독성의 저해기작은 알 수 없지만, $Ni^{2+}$은 톨라신의 독성과정인 막결합, 분자중합체 형성, pore 형성, pore를 통한 막대한 양의 이온이동 등에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된 연구의 결과는 $Ni^{2+}$이 독성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pore를 통한 이온이동 과정을 저해함을 보여준다.

버섯 세균갈색무늬병균(Pseudomonas tolaasii)에 대한 길항세균 Pseudomonas azotoformans HC5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Optimum cultivation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antagonistic bacterium Pseudomonas azotoformans HC5 effective in antagonistic of brown blotch disease caused by Pseudomonas tolaasii)

  • 이찬중;문지원;유영미;한주연;정종천;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7-102
    • /
    • 2015
  • 버섯 세균갈성색무늬병원균인 Pseudomonas tolaasii에 대한 길항미생물로 보고된 Pseudomonas azotoformans HC5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대량 배양을 위한 최적배양 조건을 설정하였다. HC5 균주의 생육온도는 $10{\sim}20^{\circ}C$, pH는 6.0~9.0의 범위에서 왕성한 생육을 보였다. 대량배양을 위한 효율적인 영양원 선발을 위하여 기본배지에 탄소원 fructose 등 18종, 무기질소원 $NH_4Cl$ 등 6종, 유기질소원 peptone 등 6종 그리고 아미노산 asparagine 등 11종을 각각 1%씩 첨가하였고, 무기염류 13종을 1 mM 농도로 첨가하여 각각에 대한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선발된 각각의 영양성분들에 대한 최적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의 성분을 최소 0.1%에서 최대 4.0%까지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 후 생육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량배양을 위한 생육최적조건은 온도 $15^{\circ}C$, pH 6, 탄소원 0.6% adonitol, 유기질소원 1.5% yeast extract, 무기질소원 0.8% $NH_4H_2PO_4$, 아미노산 0.2% asparagine 그리고 무기염류는 5 mM $MgSO_4$에서 왕성한 생육을 보였다.

$Zn^{+2}$에 의한 Tolaasin의 용혈활성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Zn^{+2}$ on Tolaasin-induced Hemolysis)

  • 조광현;김성태;김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281-286
    • /
    • 2006
  • Tolaasin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생성된 분자량 1,985 Da의 펩티드로서 재배버섯에 갈반병을 유발하는 원인 독소이다. Tolaasin은 곰팡이, 세균, 식물세포 뿐만 아니라 적혈구의 원형질막에 이온통로를 형성하여 세포를 파괴한다. $Zn^{+2}$는 tolaasin의 활성을 저해함이 알려졌으나, 자세한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olaasin의 이온통로 형성에 대한 분자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적혈구 용혈현상에 대한 $Zn^{+2}$의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Zn^{+2}$$Cd^{+2}$은 tolaasin의 용혈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Ki 값은 각각 170 ${\mu}M$과 20 mM 이었다. $Zn^{+2}$의 저해효과는 EDTA의 첨가로 제거되어 $Zn^{+2}$의 효과가 가역적임을 보여준다. 한편, tolaasin과 함께 삼투억제제인 PEG 2000을 가하였을 때, 용혈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적혈구를 원심분리로 회수하고 PEG 2000을 제거한 후, 신선한 반응용액에 현탁하였을 때, 용혈현상은 즉시 관측되었다. 그러나, 이때에도 $Zn^{+2}$가 존재시에는 용혈현상이 억제되었으며, 이것은 삼투억제제의 처리중에 이미 이온통로가 만들어졌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Zn^{+2}$가 tolaasin의 세포막 결합 및 이온통로 형성에는 영향이 적으며, 형성된 이온통로의 활성을 저해함을 보인다.

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원균(Pseudomonas tolaasii)의 독소(tolaasin) 저해균 Pseudomonas sp. HC1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Cultivation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detoxifying bacterium Pseudomonas sp. HC1 of tolaasin produced by Pseudomonas tolaasii)

  • 이찬중;유영미;한주연;전창성;정종천;문지원;공원식;서장선;한혜수;차재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5-40
    • /
    • 2014
  • 버섯 세균갈성색무늬병원균인 Pseudomonas tolaasii에 대한 독소저해균으로 보고된 Pseudomonas sp. HC1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최적 배양을 위한 대량배지를 선발하였다. CH1균주의 생육온도는 $20{\sim}40^{\circ}C$, pH는 5.0~11.0까지 넓은 범위에서 왕성한 생육을 보였다. 대량배양을 위한 효율적인 영양원 선발을 위하여 기본배지에 탄소원 fructose 등 18종, 무기질소원 $NH_4Cl$ 등 6종, 유기질소원 peptone 등 6종 그리고 아미노산 asparagine 등 11종을 각각 1%씩 첨가하였고, 무기염류 13종을 1 mM 농도로 첨가하여 각각에 대한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선발된 각각의 영양성분들에 대한 최적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의 성분을 0.1%에서 4.0%까지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후 생육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량배양을 위한 생육최적조건은 온도 $20^{\circ}C$, pH5, 탄소원 0.9% dextrine, 유기질소원 1.5% yeast extract, 무기질소원 0.5% $(NH_4)_2HPO_4$, 아미노산 3.0% cysteine, 무기염류 4 mM $FeCl_3$에서 왕성한 생육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