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okfield viscometer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물성에 미치는 PPG, MDI, 2-HEMA 및 butyl acrylate량의 영향 (Effect of PPG, MDI, 2-HEMA and butyl acrylate content on the properties of polyurethane adhesive)

  • 박찬영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245-252
    • /
    • 2014
  •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2-HEMA 및 기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FT-IR측정과 물성을 검토하였다.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연화점, 점도, 접착강도 및 기계적 물성들이 각각 링과볼법, Brookfield 점도계 및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검토되었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PPG 함량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화점, 접착강도, 인장강도 및 100% modulus 값 등은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2-HEMA 및 MDI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 및 100% modulus값 등은 증가하였으며 점도와 NCO함량 등도 또한 증가하였다.

A Novel Viscosity Measurement Technique Using a Falling Ball Viscometer with a High-speed Camera

  • Jo, Won-Jin;Pak, Bock-Choon;Lee, Dong-Hwan
    • KSTLE International Journal
    • /
    • 제8권1호
    • /
    • pp.16-20
    • /
    • 2007
  • This study introduces a new approach to a falling ball viscometer by using a high speed motion camera to measure the viscosity of both Newtonian and non-Newtonian fluids from the velocity-time data. This method involves capturing continuous photographs of the entire falling motion of the ball as the ball accelerates from the rest to the terminal velocity state. The velocity of a falling ball was determined from the distance traversed by the ball by examining video tape frame by frame using the marked graduations on the surface of the cylinder. Each frame was pre-set at 0.01. Glycerin 74% was used for Newtonian solution, while aqueous solutions of Polyacrylamide and Carboxymethyl Cellulose were for non-Newtonian solutions. The experimental viscosity data were in good agreements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a rotating Brookfield viscometer.

황산바륨의 합성조건과 유동학적 특성 (Synthetic Conditions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rium Sulfate)

  • 신화우;김준희;최광식;장영수;이광표
    • 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38-547
    • /
    • 1992
  • Optimal synthetic condition of barium sulfate were investigated from the viewpoint of yield and bulkiness according to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proposed by G.E.P. Box and K.B. Wilson. Barium chloride and magnesium sulfate were utilized as reactants in order to prepare barium sulfat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optimum temperature range of reactant solutions was $60{\sim}100^{\circ}C$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 range of the reactant solutions was $10{\sim}17.3%$ and $10{\sim}20%$ respectively, on the viewpoint of yield and bulkiness. The optimum mole ratio of $BaCI_2$ to $BaSO_4$ was in the range of $1.50{\sim}2.0$ and the optimum mole ratio of $BaCI_2$ to $BaSO_4$ was in the range of $1.50{\sim}2.0$ and the optimum reacting time range was $15{\sim}20$ minutes. The optimum drying temperature range was $110{\sim}130^{\circ}C$ from the viewpoint of yield, but it was $90{\sim}110^{\circ}C$ on the basis of bulkiness. Apparent viscosity of barium sulfate suspensions dispersed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Na. CMC was measured by using Brookfield synchrolectric viscometer model LVT, the relative equation, log ${\eta}_{sp}=A+B.{\phi}$ was examined and the equation was found to agree fairly well. 1 w/v% Na. CMC aqueous solution and 0.1 volume fraction of $BaSO_4$ powder were optimum in the preparation of $BaSO_4$ suspension showing highest viscosity at infinite shearing.

  • PDF

Trial to Identify Irradiated Corn Powder by Viscometric and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PSL) Methods

  • Yi, Sang-Duk;Chang, Kyu-Seob;Yang, Jae-Seu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2-87
    • /
    • 2001
  • 본 연구는 점도 측정법과 광여기발광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된 옥수수분말의 검지를 시도하였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수행되지 않은 다양한 rpm에서의 검지 가능성과 저장기간에 따른 광여기발광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옥수수분말은 polyethylene bag으로 포장하였고, Co-60 감마선 조사시설을 이용하여 1, 2, 3, 5, 7, 10 및 15kGy로 조사하였다. 점도측정 시료는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하고 알카리화 한 후에 RV 3 spindle이 장착된 Brookfield DV-III rotation viscometer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30초 동안 30, 60, 90, 120, 150, 180 및 210 rpm 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광여기발광 측정은 시료(5 g)의 전처리 없이 직접 광여기발광기에 넣은 후에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의 점도는 조사선량과 stirring speeds (rpm)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선량과 점도간의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방사선 조사된 옥수수 분말의 광여기발광은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개월후에도 암실조건에서의 광여기발광은 조사직후의 시험구에 비하여 감소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점도 측정법과 광여기발광법은 방사선 조사된 옥수수분말의 조사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지법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옥수수 전분의 겔 형성과 특성 (Formation and Properties of Gel from Maize Starch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 문세훈;신말식
    • 한국가정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정과학회 1997년도 가정과학회 총회 및 학술대회
    • /
    • pp.45-49
    • /
    • 1997
  •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옥수수 전분을 $121^{\circ}C$에서 호화시켜 팽윤력과 용해도를 측정했을때, 팽윤력은 찰옥수수 전분인 Amaizo,가 가장 컸고, PFP, Amaizo, Amylomaize Ⅶ 순이었으며 Amaizo의 경우 용출된 겉보기 아밀로오스의 요드 친화력이 가장 높았고, 용해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Brookfield viscometer을 이용하여 0.25N NaOH용액으로 측정한 알칼리 호화양상은 Amylomaize Ⅶ이 최고점도 $10{\pm}10^3cp$를 나타낸 반면 Amaizo는 $70{\pm}10^3cp$로 Amylomaize Ⅶ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냈고, PFP는 70$\times$$10^3$까지 증가했다가 감소하였다. 전분과 물을 1 : 9로 하여 $121^{\circ}C$에서 가열-냉각 횟수를 4회 반복하며, 각 단계에서 형성된 겔의 성질을 비교하면 Amaizo로 만든 겔의 견고성, 부착성, 탄성과 옹집성이 가장 컸으며, 견고성은 가열-냉각처리를 2회 반복한 경우 가장 컸고 그 후 감소하였다. 옥수수전분 겔의 성질은 아밀로오스 함량보다는 사슬길이나 가열 중 용출되는 부분의 성질에 더 상관성이 높았다.

  • PDF

옥수수, 감자 및 고구마 전분의 pH에 따른 점도 특성 (Viscosity Properties of Corn, Potato and Sweet Potato Starch according to pH.)

  • 최옥자;신말식;조성효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8-99
    • /
    • 2000
  • 옥수수, 감자, 고구마 전분현탁액에 가열 전 $.$후 산을 첨가하여 pH를 4.0∼5.0으로 하였을 때 마밀로그라프에 의한 호화특성과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한 전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산 첨가에 따른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의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특성은 가열전에 산을 첨가하였을때 호화개시온도가 대조군보다 상승되었고, 감자전분의 호화개시온도 상승이 가장 컸다. 각 전분의 점도는 pH가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옥수수전분의 경우 가열전 $.$후와는 관계없이 점도변화가 가장 적었다. 가열전 산을 첨가하였을 때 consistency(C-H), setback(C-P)은 증가하였고. breakdown(P-H)은 감소하였다. 가열 후 산을 첨가한 경우는 consistency(C-H), setback(C-P)은 감소하였고, breakdown(P-H)은 증가하여 가열전과 가열후 산첨가의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산에 의한 점도의 변화정도는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옥수수전분 순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가열전 산을 첨가하여 일정온도까지 가열하여 Brookfield 점도계로 점도를 측정한 경우 pH가 낮을수록 점도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가열에 따른 냉각점도는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pH의 영향에 따른 냉각점도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열 후 산을 첨가하여 냉각점도를 측정한 경우 가열전 산첨가에 비하여 옥수수전분 과 고구마전분은 전반적으로 점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 PDF

해상용 경유의 희석량에 따른 선박용 윤활유의 유변학적 거동연구 (Rheological behavior study of Marine Lubricating oil on the amount of MGO (Marine Gas Oil) dilution)

  • 송인철;이영호;여영화;안수현;김대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0-2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해상용 경유의 희석량에 따른 선박용 윤활유의 점도 및 전단응력의 변화 등 유변학적 거동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료희석에 의한 윤활유의 점도감소는 피스톤링 및 라이너의 마모로 인한 엔진내구성을 저하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연구에 사용된 윤활유는 고유황 경유(황함유량 0.05 %)를 3 %, 6 %, 10 %, 15 %, 20 %로 희석하여 magnetic stirrer를 이용,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측정온도는 $-10^{\circ}C{\sim}80^{\circ}C$ 범위로 설정하고, 점도 및 전단응력 변화는 회전점도계인 Brookfield Visc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윤활유에 해상용 경유의 희석량이 증가할수록 점도 및 전단응력이 감소하며, 이것은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의 해상용 경유가 윤활유에 희석됨에 따라 윤활유의 점도 및 전단응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특히, 저온($0{\sim}-10^{\circ}C$)에서는 점도 및 전단응력이 급격이 낮아지다가, $40^{\circ}C$ 이상에서는 점도 및 전단응력 감소가 해상용 경유 희석량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윤활유의 점도 및 전단응력 감소는 윤활유의 뉴턴유체 거동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경유의 혼입에 의한 점도감소로 선박의 엔진마모를 촉진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윤활유의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상동광산 광미를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 Containing Tailings in Sangdong Mine)

  • 최연왕;정문영;정명채;구기정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16권1호
    • /
    • pp.616-619
    • /
    • 2004
  •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ossibility for recycling of tailings from the Sangdong tungsten mine as powder. The experimental tests for entrapped water ratio we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ed method by Okamura. The rheological measurements of cement paste were conducted by using a commerically digital Brookfield viscometer (Model LVDV-II+) equipped with cylindrical spind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case of cement paste mixed with tailings, entrapped water ratio was decreased with increasement of mixing ratio. Thickness of pseudo water film was increased, and mean plastic viscos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replacement.

  • PDF

유산균의 polysaccharide 생성에 의한 우유 배양액의 점도변화

  • 정후길;이재영;강국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2.1-532
    • /
    • 1986
  • 유산균이 생성하는 polysaccharide 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L. casei YIT 9018 SKD-0007, L. bulgaricus SKD-0003, sir. faecalis SKD-1007, str. thermophilus SKD- 1005, str. thermophilus 510 SKD-1006등을 탈지유에 배양하면서 polysaccharide 생성에 의한 배양액의 점도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다당류가 Antitumor로서의 활성과 제암효과를 가지며 인체내의 생리효과를 고양시킨다고 보고되어 있는바 다당류가 최대로 생성되는 조건을 찾는 것을 본 실험의 목적으로 하였다. 다당류의 생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배지로는 10% 환원탈지유와 12% 환원전지유를 선택하였으며 Brookfield Viscometer를 사용하여 배양액의 점도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시험균 중에서 str. thermophilus 510 SKD-1006이 가장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는데 41$^{\circ}C$ 배양 5일째에 5000 cps였고 다른균에 비해서 1000cps이상 높았다. 접종량이 증가할수록 점도도 증가하였으며 14%이상의 탈지유 농도에서는 7000cps를 나타냈다. 탈지유와 전지유 배양액 모두 의가소성 유체의 유동 양식을 나타내었는데 12% 환원전지유 배양액은 최대점도값이 2500 cps에 불과하였으며 배양 2일째에 최대점도 값에 도달하여 그 이후로 급격한 감소현상을 보였다.

  • PDF

The Flocculation of Veegum Suspension by Electrolytes

  • Kwang Pyo Lee;Robert C. Mason;Ree Takiyue
    • 대한화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2
    • /
    • 1972
  • The effect on the apparent viscosity of 2 wt. % Veegum suspens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lytes and of different electrolyte concentrations was studied. Measurements were made with a Brookfield Synchro-Lectric Viscometer, using no.3 spindle at 30 R.P.M. at $24^{\circ}C$. As electriolyt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pparant viscosity was observed to increase to a maximum and then to decrease. Changes in viscosity were in general agreement with predicted results based on the Hofmeister sequence and the Schulze-Hardy rule. The observed electrolyte effect on the apparent viscosity was discussed in terms of the Verwey-Overbeek theo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