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ghtness saturation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2초

설진 기기의 시스템 구성 및 진단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System Configuration and Diagnostic Methods for Tongue Diagnosis Instrument)

  • 김근호;도준형;유현희;김종열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89-95
    • /
    • 2008
  • A tongue shows phys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changes of inner organs. Visual inspection of a tongue is not only convenient but also non-invasive. To develop an automat ic tongue diagnosis system for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diagnosis, the separation of the tongue are a from a facial image and the detection of coatings, spots and cracks are inevitable but difficult since the colors of a tongue, lips, and skin in a mouth as well as those of tongue furs and body are similar. The propose d method includes preprocessing with down-sampling and edge enhancement, over-segmentation, detecting positions with a local minimum over shading from the structure of a tongue, and correcting local minima or detecting edge with color difference. The proposed method produces the region of a segmented tongue, and then decomposes the color components of the region into hue, saturation and brightness, resulting in classifying the regions of tongue furs(coatings) into kinds of coatings and substance and segmenting them. Spots are detected by using local maxima and the variation of saturation, and cracks are searched by using local minima and the directivity of dark areas in brightness. The results illustrate the segmented region with effective information, excluding a non-tongue region and also give us accurate discrimination of coatings and the precise detection of spots and cracks. It can be used to make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diagnosis for an u-Healthcare system as well as a home care system.

  • PDF

도농도시의 효율적 개발을 위한 토지이용변화예측 (Forecast of Land use Change for Efficient Development of Urban-Agricultural city)

  • 김세근;한승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3-79
    • /
    • 2012
  • 본 연구는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도농중심도시인 김제시의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고 미래 변화예측을 시도한 것이다. 감독분류 시 새로운 시도로 훈련영역 선정 시 HSB(Hue, Saturation, Brightness) 변환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약 5% 이상의 분류정확도 향상을 가져왔다. 분류결과와 해당지역의 구역 별 인구, DEM, 도로망, 수계 등 GIS데이터를 고려하여 셀룰라오토마타 알고리즘을 발전시킨 Markov Chain 기법으로 토지이용변화예측을 실시하였다. 토지변화비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형적인 특성이 토지이용의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030년 후의 토지이용변화 예측 결과 김제시 전체에서 산악지의 21.67%가 농경지로 13.11%는 시가지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주된 변화는 도심 중심부에 위치한 규모가 작은 산악지인 것으로 예측 되었다. 연구결과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식량자원의 확보를 위한 도농도시의 토지이용계획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국내.외 놀이치료 시설의 사례분석을 통한 사용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d Colors Characteristic of Case Study for Children Play Therapy Center)

  • 최진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29-36
    • /
    • 2011
  • This study aims to be the useful resources for selecting play therapy facility in the future by analysis of used colors in the play therapy facility as the subsequent studies of the thesis of KIID in 2010, titled 'Study on the planning factors of case study for children's play therapy center'. As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the overall understanding about play therapy facility was impro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it was about the Moon-Spencer's theory of color harmony which will be used for the framework of case study. In Section 3, the field trips at 6 facilities were conducted as the case research and the data research through website was conducted for case study. Moon-Spencer's theory of color harmony used the Munsell's color Order System, so after measuring CMYK value of the picture for the case research through photo shop, the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were measured through Munsell Conversion program. The following three kinds of features were drawn by research of the harmony and disharmony of used colors for the cases after substituting the theory of color harmony through the measured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First. series Y and YR were used mainly for warm image as the concept of play therapy room. Second, the various colors were used for comfortable image like home. But the various patterns were used by mixing for the therapy room F, so it gives confusing impression. Third, series YR and achromatic color as the color of wood were used unavoidably for using materials of manufactured goods.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Detecting Symptom level in patients with Scleroderma

  • Jeong, Jin-Hyeong;Lee, Ki-Young;Kim, Min-yeong;Kim, Nam-Sun;Lee, Sang-Sik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367-3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피부 경화증 환자의 증상정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진단 방법은 피부경화증을 흑백처리 한 후 정상인의 이미지와 비교하였다. 채도, 밝기 및 콘트라스트 조정의 필터를 프로세스를 통해 변환 하였다. 그 결과 화상이 선명한 경화증의 증상을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었다. 건강한 사람의 영상에서 경화증 환자의 이미지를 주고 폐쇄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진폭의 차이로 정상인과 피부 경화증 환자를 결정하였다.

기술적인 화질 지표 조절양 최적화를 통한 감성 화질 향상 방안 (Methodologies to Improve Emotional Image Qualities by Optimizing Technological Image Quality Metrics)

  • 유재희
    • 감성과학
    • /
    • 제20권1호
    • /
    • pp.57-66
    • /
    • 2017
  • 다양한 이미지 샘플의 Eye test를 바탕으로 기술적인 화질 지표 조절을 통하여 감성 화질을 최적화 시키는 방법이 소개된다. 여러 가지 이미지 콘텐츠의 다양한 이미지에 대하여, 콘트라스트, 명도, 채도 화질 지표 톤 커브를 사용하여 평가가 수행 되었다. 이미지 화질 향상에 기여하는 우선순위는 명암, 채도 및 밝기 순으로 분석 되었다. 이미지 감성 화질 측정치의 기술적인 화질 지표 변화에 따른 기울기의 공통점을 살펴본 결과, 거의 0, 중간 그리고 최대 기울기의 영역으로 구성된 함수 형태로 모델링을 할 경우, 기존의 역 U 형태의 성질 뿐 아니라 log 또는 포화 형태의 감성 화질 변화까지 분석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단일 및 복수의 화질 지표의 경우에 대하여도 화질 개선 방안이 모색되었으며, 기존 및 본 논문에서 분석된 결과를 위한 새로운 함수가 소개 되었다. 복수의 통합적 이미지 화질 지표를 통하여 향상 시킬 경우 오직 몇몇 한정된 지표 제어의 경우에만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질 향상 방법은 영상 콘텐츠에 따라 크게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 교육용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색채 디자인 분석 (Analysis of User Interface (UI) Color Design of Children's Education Game)

  • 정재주;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77-583
    • /
    • 2020
  • 취학 전 아동에게 시각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모든 것은 배우고 인지하는 것은 사물에 색채로부터 시작된다. 게임의 인터페이스(UI)는 아동들의 게임에 대한 첫인상으로 합리적인 색채 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취학 전 아동을 위한 모바일 교육용 게임을 선정하여 게임 인터페이스와 작동 아이콘에서 주요 색채를 포토샵(Photoshop)에 적용함으로 UI 색채의 세 가지 요소인 색상, 명도, 채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 아동 교육용 게임 UI 색채 디자인에 대해 3가지 개선점을 제시한다. 첫째, 디자인할 때 현실과 비슷한 색채를 선택함이 우월하다. 둘째, 아동들의 취향에 따라 따뜻한 색을 선택함이 우월하다. 셋째, 아동의 시력 보호하기 위해 대비색 적용을 선택할 때 색채의 명도나 순도를 낮춘다. 연구결과가 취학 전 아동(3~6세)을 위해 개발된 교육용 게임 색채 디자인의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영상 이미지 색채 감성트리를 통한 대표감성크기 변화 연구 (Research Representative Color Image Emotion Emotional Image Size Changes through Tree)

  • 이연란;박효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0-17
    • /
    • 2015
  • 감성을 규칙적인 숫자로 변화하려는 감성컴퓨터 연구가 지속적이다. 감성컴퓨팅 방식으로 감성을 숫자화하고, 감성트리를 통해 실행했다. 감성컴퓨팅의 감성 평가는 James A. Russell의 핵심 효과(Core Affect)의 감성좌표를 활용했다. 감성트리 실행 목적은 감성컴퓨팅과 감성트리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감성트리 속성실험은 색상, 명도, 채도로 구성했다. 명도 50% 증가했을 때, 쾌정도(X축)는 10.49점 증가했다. 명도 50%, GREEN 50% 증가는 쾌정도(X축) 10.49점, 긴장도(Y축) 15.85점만큼 증가했다. 쾌정도(X축)에 명도 50%, 긴장도(Y축)에 BLUE 50%일 때, 쾌정도(X축) 10.49점, 긴장도(Y축) 14.65점만큼 감성이 변화했다. 대표감성크기 변화는 명도 50%, 색상 RED 50% 증가했을 때, 흥분 감성이 5.4% 증가했고, 우울한 감성이 -4.2% 감소했다. 명도 50%, 색상 GREEN 50%의 증가는 흥분 감성이 8.6%로 증가했고, 우울한 감성이 -5.5%로 감소했다. 감성속성 증감에 따른 감성변화와 대표감성크기를 숫자 방식으로 분석했다. 향후 영상 이미지 감성컴퓨팅의 실행인 감성트리를 통해 사람의 감성과 더 유사하도록 행복한 감성 숫자 연구가 필요하다.

Subjective Imaging Effect Assessment for Intelligent Imaging Terminal Design: a Method for Engineering Site

  • Liu, Haoting;Lv, Ming;Yu, Weiqun;Guo, Zhenhui;Li, X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3호
    • /
    • pp.1043-1064
    • /
    • 2020
  • A kind of Subjective Imaging Effect Assessment (SIEA) method and its applications on intelligent imaging terminal design in engineering site are presented. First, some visual assessment indices are used to characterize the imaging effect: the image brightness, the image brightness uniformity, the color image contrast, the image edge blur, the image color difference, the image saturation, the image noise, and the integrated imaging effect index. A linear weighted function is employed to carry out the SIEA computation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is used to estimate its weights. Second, a SIEA software is developed. It can play images after the settings of assessment index or assessment reaction time, etc. Third, two cases are used to illustrate the application effects of proposed method: the image enhancement system design for surveillance camera and the imaging environment perception system design for intelligent lighting terminal. A Prior Sequential Stimulus (PSS) experiment is proposed to improve the evaluation stability of SIEA method. Many experiment results have shown the proposed method can realize a stable system design or parameters setting for the intelligent imaging terminal in engineering site.

시각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강건한 경로선 추종 주행 (Vision-Based Mobile Robot Navigation by Robust Path Line Tracking)

  • 손민혁;도용태
    • 센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8-186
    • /
    • 2011
  • Line tracking is a well defined method of mobile robot navigation. It is simple in concept, technically easy to implement, and already employed in many industrial sites. Among several different line tracking methods, magnetic sensing is widely used in practice. In comparison, vision-based tracking is less popular due mainly to its sensitivity to surrounding conditions such as brightness and floor characteristics although vision is the most powerful robotic sensing capability. In this paper, a vision-based robust path line detection technique is proposed for the navigation of a mobile robot assuming uncontrollable surrounding conditions. The technique proposed has four processing steps; color space transformation, pixel-level line sensing, block-level line sensing, and robot navigation control. This technique effectively uses hue and saturation color values in the line sensing so to be insensitive to the brightness variation. Line finding in block-level makes not only the technique immune from the error of line pixel detection but also the robot control easy. The proposed technique was tested with a real mobile robot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상업공간에서의 사용자 선호 LED 조명 연색지수와 상관색온도, 조도의 분석 (Analysis of User Preference about the Color Rendering Index,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nce of LED Lighting in Merchandising Spaces)

  • 이수정;윤혜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호
    • /
    • pp.99-106
    • /
    • 2019
  • This study aims to recommend the proper Color rendering index (CRI),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 and illuminance levels of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riteria of the current CRI, the CCT, and illuminance levels in merchandising spaces with LED lighting conditions. It would be a basic material to apply in line with user preference for LED merchandising lighting. To this end, it examines relevant literature review on the experiments designed to test whether lighting characteristics affect brightness perception, color appearance, and pleasantness. Highly saturated colors appear brighter than low saturated colors. Two lighting applications - grocery and clothing shop - were created in elaborating the effect of LED lighting characteristics of CRI on color appearance and the CCT and illuminance on pleasantness. The findings show that the criteria of CIE Ra<80 are appropriate to provide better color appearance of illuminated products in terms of LED lighting that can enhance color saturation, particularly for the red color. Furthermore, 2700 K and less than 500 lux for grocery, 4000 K and more than 500 lux for clothing shop are found to be the proper the CCT and illuminance levels respectively to bring better preference under LED ligh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