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self-examination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8초

Awareness of Cancer Screening During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nal Failure: A Physician Survey in Turkey

  • Uysal-Sonmez, Ozlem;Tanriverdi, Ozgur;Uyeturk, Ummugul;Budakoglu, Isil Irem;Kazancioglu, Rumeyza;Turker, Ibrahim;Budakoglu, Burcin;Yalcintas-Arslan, Ulku;Oksuzoglu, Ber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165-2168
    • /
    • 2014
  • Background: Today,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hemodialysis has increased so that chronic illnesses are more likely to occur. Cancer is the main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such patients. Aim: In this study, physician attitudes were examined about cancer screening in patients with renal fail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done by face to face questionnaire in the $27^{th}$ National Nephrology Congress to determine if the physicians dealing with chronic renal failure, hemodialysis or renal transplanted patients, recommend cancer screening or not and the methods of screening for cervix, prostate, breast and colon cancer. Results: One hundred and fifty six physicians were included in the survey. A total of 105 (67%) participants were male and the age of responders was $48{\pm}9$ years. About 29% were specialists in nephrology, 28% internal medicine, and 5% were other areas of expertise. Some 48% of participants were hemodialysis certified general practitioners. Patients were grouped as compensated chronic renal failure, hemodialysis or renal transplanted. Of the 156 responders, 128 (82%) physicians recommended breast cancer screening and the most recommended subgroup was hemodialysis patients (15%). The most preferred methods of screening were combinations of mammography, self breast examination and physicianbreast examination. 112 (72%) physicians recommended cervix cancer screening, and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screening was pap-smear. Colon cancer screening was recommended by 102 (65%) physicians and prostate screening by 109 (70%) physicians. The most preferred methods of screening were fecal occult blood test and PSA plus rectal digital test, respectively. Conclusions: It is not obvious whether cancer screening in renal failure patients is different from the rest of society. There is a variety of screening methods. An answer can be found to these questions as a result of studies by a common follow-up protocol and cooperation of nephrologists and oncologists.

지연된 유방암 진단을 예측하는 정신사회적 요인 : 부부관계기능의 역할 (Psychosocial Factors Predicting Delayed Diagnosis of Breast Cancer : The Role of Marital Relationship Functioning)

  • 김지영;우정민;이상신;김혜원;강동우;임효덕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14
  • 연구목적 2001년 이후로 유방암은 한국에서 가장 흔한 여성 암이 되었다. 진행 유방암으로 진단받을 고위험군을 확인하는 것은 유방암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을 진단 받은 시점에서 진행 유방암과 연관된 사회인구학적, 건강행위 건강특성, 임상적 그리고 정신사회적 요인을 조사하며, 진행 유방암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방법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처음으로 유방암을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후 '유방암 환자들을 위한 스트레스 클리닉'에 자문 의뢰되어 정신의학적 면담이 시행된 2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 사회인구학적 자료를 비롯하여, 자가진단 및 유방촬영술의 규칙적 시행여부, 진단 당시의 병기, 유방암 발견 경위 등을 조사하였다.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경제적 및 가족적 부담, 부부관계기능, 가족관계기능 정도 등을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파악하였다.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조기 유방암 환자군과 진행 유방암 환자군 간에 변수를 비교하고 진행 유방암 환자군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유방암을 진단받은 시점에서 120명(54.8%)이 진행 유방암으로 확인이 되었다. 단변량분석을 통하여 조기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군과 진행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난 변수는 다음과 같았다. 건강행위 및 특성 변수로는 자가 검진행위(p<0.000), 매년 유방촬영술 시행여부(p<0.000)이었다. 암 관련 임상적 특징으로는 종양 발견경위(p<0.000), 첫 증상의 양상(p<0.000), 첫 증상 발견부터 치료까지 소요된 기간(p<0.000)이었다.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부부관계기능(p<0.000)과 가족관계기능(p=0.000), 과도한 경제적 가족적 부담(p=0.018)이었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하여 매년 비진행 유방암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인자로는 매년 유방암 선별을 위해서 실시하는 유방촬영술을 비정기적으로 시행하거나(OR=7.431 ; 95% CI 2.407-22.944), 전혀 시행하지 않는 경우(OR=25.299 ; 95% CI 7.855-81.482)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기능 부전적 부부관계(OR=4.772 ; 95% CI 2.244-10.145)가 유일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진행 유방암 진단의 위험인자로 널리 알려진 비정기적 검진을 재확인하였으며, 이외에도 정신사회적 요인으로서 '비기능적 부부관계기능'을 밝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을 조기에 진단하는데 전통적으로 인정되어 왔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요인 이외에도 정신사회적 요인이 중요한 영역임을 시사한다.

  • PDF

평균 유선선량 측정방법의 표준화 및 유방 두께, 실질양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Standardization of the Method of Measuring Average Glandular Dose (AGD) and Evaluation of the Breast Composition and Thickness for AGD)

  • 박혜숙;김희중;이창래;조효민;유아람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0권1호
    • /
    • pp.21-29
    • /
    • 2009
  •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에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따라서 유방자가진단, 임상적 검사, 유방 X선촬영 등과 같은 유방암 초기 검출검사는 중요하다. 이들 중 유방 X선촬영은 무자각증상 시기에 유방암 초기 검출을 위해 40대 이상의 여성들에게 매년마다 시행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유방의 유선조직은 방사선 민감성 조직이다. 이에 유방 X선촬영장치의 평가 중 평균 유선선량 측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평균 유선선량의 직접측정은 어렵기 때문에 incident air kerma 측정, 적절한 변환계수 등을 적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평균 유선선량의 측정 방법의 표준화이다. 두 번째는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균 유선선량과 유방 실질양상 및 두께와 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 IAEA 가이드라인(CoP)에 따라 평균 유선선량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유방촬영 시 받는 평균 유선선량이 식품의약품안전청 및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에서 제시하는 3mGy 이하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평균 유선선량과 시뮬레이션된 평균 유선선량은 각각 1.7과 1.6 mGy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뮬레이션된 평균 유선선량은 주로 유방의 유선조직의 비율에 따라 의존한다. 유방의 glandularity 증가에 따라 낮은 에너지의 광자의 흡수가 증가하여 평균 유선선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유방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평균 유선선량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유방촬영의 진단 참고준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Lifestyle Behaviors and Early Diagnosis Practices of Cancer Patients

  • Yilmaz, Medine;Sanli, Deniz;Ucgun, Mujde;Kaya, Nur Sahin;Tokem, Yase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3269-3274
    • /
    • 2013
  • Background: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lifestyle behaviors and the practices for early diagnosis of cancer of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222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cancer (non-random sample method). Ethical permission was obtained of the Non-interventional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our Institution. Values of p<0.05 were accep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54.4% of the patients had never performed breast self-examination, 60.8% had never had a mammography, and 71.2% had never had a Pap smear. Sixty-six point two percent of patients had never had screening for colon cancer within the past ten years. GIS cancers were higher in smokers and ex-smokers (p=0.005), in drinkers and in ex-drinkers (p=0.000). The breast cancer rate was higher in obese people (p=0.019).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on the healthy lifestyle behavior of cancer patients before their diagnosis, and their use of early diagnosis practices. The important aspect of this study is to extend cancer patients' period of life afte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ss, to make them conscious of risky lifestyle and nutritional behavior so that they can maintain a high quality of life, and to start initiatives in this direction that would ensure changes in behavior.

Comparative study between an intensive small group teaching and a 1-year clinical practice on OSCE

  • Kim, Sinjae;Park, Minhwan;Seo, Ji-Hyun;Woo, Hyang-Ok;Youn, Hee-Shang;Park, Jung Je;Jeon, Sea-Yuoug;Hwa, Jung Seok;Mullan, Patricia;Gruppen, Larry D.
    •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 /
    • 제33권2호
    • /
    • pp.181-190
    • /
    • 2018
  • Objectives: Our school introduced a new curriculum based on faculty-directed, intensive, small-group teaching of clinical skills in the third-year medical students. To examine its effects, we compared the mean scores on an OSC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year medical students. Methods: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did rotations at the same five OSCE stations. They then completed a brief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to examin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new curriculum in the third-year students and clinical practice in the fourth-year students, as well as their perception of confidence and preparedness. We analyzed the OSCE data obtained from 158 students, 133 of whom als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Results: Mean OSCE scores on the breast examination and wet smear st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ird-year group (P < 0.001). But mean OSCE scores of motor-sensory examination and lumbar punct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urth-year group (P < 0.05). The mean OSCE score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elf-ratings of confidence ha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new curriculum (r = 0.673) and clinical practice (r = 0.692). Furthermore, there was a moderat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preparedness in both groups (r = 0.403 and 0.449). Conclusion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n the degree of clinical performance and confidence between an intensive-small group teaching and a 1-year clinical practice. If combined, intensive small group teaching and clinical practice would be useful to improve the degree of ability and confidence in medical students.

중년여성의 전환상태 실태조사 (A Survey of Urban Middle-Aged Women's Transition)

  • 박영숙;조인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86-49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ansition conditions, health behavior and indicators of healthy transitions among middle-aged women based on Schumacher & Meleis(1994) transition model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ir health promotion. A convenience sample of 221 women aged 40-60 was obtained in Jung-Gu, Seoul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modified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HPLP), knowledge of menopause, physical well-being, emotional well-being, modified women's role integration protocol (WRIP),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and indicators of healthy transition with subcategories such as subjective well-being, role mastery and well-being of interrelationshi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omen had a mean age of 47.53 years. More than half(53.39%) of the women had jobs and 88.69 % had their spouses, Of 221 women, 51.13 % were premenopausal, 19.91% were perimenopausal, and 28.96% were postmenopausal. 2. Women scored lower on health responsibility and exercise than on self actualization, nutrition and interpersonal support among subcategories of health behavior measured the modified HPLP. Only 11.98% of respondents had breast-self examination and 42.66% had pap smear for screening cancer. 3. In transition conditions, women had poor knowledge about menopause and median level of physical well-being, emotional well-being and stress. 15.45% of the women had clinical depression. 4. As for the outcome index of the transition model, the mean of indicators of healthy transition was 3.69(possible range 1-5). 5. The levels of education and economic and the menstrual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hys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tress in the categories of transition conditions. The total score of health behavior correlated negatively with depression. The total score of indicators of healthy transition correlated with physical well-being, emotional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categories of transition condition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a profile of fragile middle-aged women and contributed to developing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 PDF

자체 제작된 팬텀을 적용한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검사 프로토콜에 대한 고찰 (The study of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Protocol using Self-development Phantom)

  • 이해정;이주영;임근교;박훈희
    • 핵의학기술
    • /
    • 제18권2호
    • /
    • pp.39-47
    • /
    • 2014
  • 유방암 환자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BSGI 검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검사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BSGI 검사는 각 기관의 상황 및 업체권고에 따라 검사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팬텀을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검사 프로토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Dilon 6800 BSGI 장비를 이용하여 팬텀 내 구의 크기는 5단계로 구분하여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는 $^{99m}TcO_4$를 사용하여 배후방사능과 관심영역의 비율을 2 : 4 : 8로 구분하였으며 5, 7, 10분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영상은 각 구의 크기에 따라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획득된 데이터는 SPSS ver.18.0을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정량적, 정성적 분석 결과, 방사성동위원소의 주입량에 따른 각 구의 계수율은 주입량이 많을수록 계수율이 증가하였고, 구의 크기가 클수록 계수율이 증가하는 성향을 나타냈다(p<0.005). 영상획득시간에 따른 각 구의 계수율은 획득시간이 길수록 계수율이 증가하였고, 구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성향을 나타냈다(p<0.005). 방사성동위원소의 주입량에 따른 각 구의 대조도 잡음비는 주입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성향을 나타냈고, 8배 비율의 획득영상에서 대조도 잡음비가 가장 높았다. 또한 영상획득시간에 따른 각 구의 대조도 잡음비는 획득시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성향을 나타냈고, 7분 획득영상에서 대조도 잡음비가 가장 높았다(p<0.005). 자체적으로 제작한 팬텀을 통한 정량적, 정성적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팬텀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장비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BSGI 검사 프로토콜을 확인하고 활용한다면 보다 임상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국 이민 한국 중년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Frequency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Korean Immigrant Middle-aged Women in the U.S.)

  • 최연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06-61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자가검진(BSE)의 지식정도, 훈련도, 숙련도 및 빈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BSE 빈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미국에 이민 온 40세-60세 사이의 중년 여성 58명으로 와싱톤주의 시애틀과 타코마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연구도구는 미국암협회의 BSE 안내책자를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한국교회 4곳으로부터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대상자들의 연구동의를 얻은 후 우편으로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3월 6일부터 2000년 5월13일이었으며. 질문지 회수율은 77%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Frequency,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주요 변수사이의 관련성에서 그 이전연구 결과와 대개 일치하였다. 대상자의 BSE 빈도는 년간 10회-12회 실행이 21.08%이였고, 전혀 실행하지 않는 정도가 4.80%를 차지했다. BSE 빈도와 관련변수와의 상관관계에서 나이는 BSE 빈도와 역상관 관계(r=-.289, p=.038)를 나타냈고, BSE 훈련에 대한 지도(r=0521, p=.000). BSE 지식에 대한 기술(r=.573, p=.000) 및 BSE 숙련도(R=.694 P=.000)는 BSE 빈도와 정상관 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는 BSE 빈도의 가장 유의한 예측변수로서 BSE 지식에 대한 기술(beta=.5813. p=.003)로 지지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지역사회간호사가 이민 온 한국 중년여성들의 BSE실행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 유방암의 조기발견에 대한 예방적 행위를 증진시키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PDF

조기성조숙의 관련 인자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precocious puberty)

  • 김미화;이성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123-3131
    • /
    • 2012
  • 본 연구자는 만8세 미만의 초등학교 여아들의 조기성조숙 현황을 조사하고 조기성조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고령군에 소재한 초등학교 G, D 2개의 초등학교 1,2,3학년 여학생을 전수 253명을 대상으로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성 발달정도 및 비만의 정도, 생활습관(운동습관, 식습관, 수면습관 등), 가정환경 등을 조사하여 조기성조숙 발현의 영향인자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25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각 연령에서 성조숙 현상을 보인 여아는 6세 90명중 에서 7명(7.8%), 7세 68명 중에서 9명(13.2%), 8세 95명 중 50명(52.6%)으로 나타났고 전체 253명중 66명(26.1%)이였다. 조기성조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난 것은 비만도, 인스턴트섭취빈도, TV시청시간, 스트레스, 가족형태(결손가정)이었다. 비만도가 높을수록, 인스턴트 섭취 빈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결손가정에서 성 발달이 빨랐다. 본 연구의 결과 만8세 미만의 초등학교 저학년 여아 중 26.1%가 조기성조숙으로 나타났으며, 조기성조숙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비만도, 인스턴트섭취 빈도, 스트레스, 가족형태(결손가정)등으로 조사 되었다.

유방암 환자의 상지 부작용과 관련 요인 (Arm Morbidity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s and Analysis of Related Factors)

  • 전미선;문성미;이혜진;이은현;송영숙;정용식;박희붕;강승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32-42
    • /
    • 200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치료 후 상지의 림프부종,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 주관적 증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본 대학 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고 수술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159 명을 대상으로 림프부종 정도와 어깨관절 운동범위를 측정하였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주관적 증상을 측정하였다. 대상 환자의 $47.2\%$인 75명이 40대였으며 89의 환자가 병기 I 또는 II 이었다. 결과 : 림프부종(건측과 환측의 차이가 2 cm 이상)은 52명($32.7\%$)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이 중 상지 하부 림프부종은 3명, 상지 상부 림프부종은 34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상지 상부와 하부 모두 림프부종이 발생한 경우는 15명이었다. 각 부위별 발생 빈도는 손목으로부터 10 cm 지점에서 $6.3\%$, 20 cm 지점에서 $10.7\%$, 30 cm 지점에서 $22.6\%$, 40 cm 지점에서 $23.3\%$이었다.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건측과 환측의 차이가 $20^{\circ}$ 이상)의 빈도는 굴곡에서 $37.2\%$, 외전에서 $37.7\%$, 내회전에서 $48.4\%$, 외회전에서 $24.5\%$이었다. 이 중 내회전의 경우 정상운동범위의 $50\%$ 이상 감소되는 경우도 흔하였다. 주관적 증상으로 통증 호소가 $63.5\%$, 팔을 움직이기 힘들다고 하는 경우가 $48.4\%$, 팔저림 호소가 $59.8\%$, 뻣뻣함(stiffness) 호소가 $69.2\%$이었다. 특히 림프부종이 없는 108명의 환자 중 65명($61.1\%$)이 통증을 호소하였다. 림프부종의 발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요인으로는 연령, 체질량지수(BMI), 치료방법 및 수술 후 경과 기간이 있었고,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의 경우 치료방법과 수술 후 경과기간이었다. 주관적 증상의 경우는 치료방법과 수술 후 경과기간 그리고 항암화학요법 종류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요인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체질량지수(BMI)와 수술 후 경과기간이 림프부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림프부종은 수술 후 기간이 경과되어도 계속 진행되며 특히 체질량지수가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지속적인 체중관리를 포함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어깨관절 운동범위의 감소도 환자의 약 1/3에서 발생하였으며 특히 굴곡, 외전, 내회전 운동범위의 감소가 빈번하였고 내회전의 경우 그 정도가 심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한 치료 후 재활관리 프로그램이 환자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