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previous knowledg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 브랜드 태도, 지각된 품질이 VMD 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rand Previous Knowledge, Previous Brand Attitude, Perceived Quality on VMD Cognition and Attitude)

  • 박현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519-526
    • /
    • 2005
  • The major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brand previous knowledge, previous brand attitude, perceived quality on VMD cognition and attitude. Eight brand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stimuli brands for this study. A total of 320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egu. Using factor analysis, each of brand previous knowledge, previous brand attitude, perceived quality, VMD attitude were extracted one factor.VMD cognition were divided into 5 factors; Coordination, Attractiveness, Fashionability, Fitness, and Functiona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vious brand attitude and perceived quality affected VMD cognition and VMD attitude, while brand previous knowledge did not affect VMD cognition and VMD attitude. Therefore, when companies related to fashion investigate the effect of VMD, they should consider the previous brand attitude and perceived quality of their brands.

옴니채널 상황에서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카테고리 지식 조절변수 (Effect on Brand Loyalty in Omni-Channel: Focus on Category Knowledge)

  • 한상설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61-72
    • /
    • 2017
  • Purpose - The ICT development is affecting the consumer behaviors in selecting channel or distribution system. This study aims to advance the theory on the influence and interaction with omni-channel behaviors. Specifically, analyzing moderating variable is category knowledge that effect between propensity of brand loyalty and its precedence factor which is perceived difference, perceived value, authenticity and consumer-brand relationship.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consumers who purchase goods in omni-channel situation.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i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of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n brand loyalty, omni-channel and consumer behaviors. This study have constructs that were defined operationally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nd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difference, perceived value, authenticity,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loyalty. From 2016 Sept. 1 to Dec. 31,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customers using omni-channel. 327 questionnaire survey had conducted. 316 survey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data that had missing and wrong value. AMOS(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o confirm the hypothesis which developed by researcher.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uthenticity has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Second, in the omni-channel situation, but perceived differentiation, perceived value, consumer-brand relationship does not affect brand loyalty.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judged that it is easy to search for information in the situation of omni-channel and integrated decision making is don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channels. Third, category knowledge has moderating effect between brand loyalty and precedence factors. When the category knowledge level is low, preceding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when the category knowledge level is high, the preceding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except the authenticity. Conclusions - This study finds out omni-channel's phenomenon is different from other distribution channel phenomenon. In the situation of omni-channel, it is suggested that brand loyalty may be relatively low for a certain brand because it raises the knowledge level of the category. Then this study provides a manageri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ole of the moderate effect on category knowledge, brand loyalty and omni-channel.

의류제품에 대한 상표충성형성 모델 (Model of Clothing Brand Loyalty Formation)

  • 진병호;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02-511
    • /
    • 1996
  • While much research on brand loyalty have been conducted until now, little has been challenged to integrat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how the brand loyalty is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d test the model of clothing brand loyalty formation via consideration of all related variables simultaneously using the LISREL. The subjects were 505 male and female college graduates or higher white collar work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living in Seoul,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 knowledge, product involvement, and perceived risk are positively related to information search. However, the influence of perceived risk on information search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roduct involvement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consumer satisfaction. Information search and consumer satisfac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brand loyalty, respectively. In conclusion, consumer knowledge, product involvement, and perceived risk have positive influences on brand loyalty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of information search and consumer satisfaction.

  • PDF

상표자산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 아시아와 유럽의 의류시장을 중심으로 -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Products: A Cross-Cultural Study in Asia and Europe)

  • 김경훈;고은주;;;이동해;정홍섭;전병주;문학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45-276
    • /
    • 2008
  • 본 연구는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상표자산 구성요소와 상표자산 영향요인간의 관계 그리고 상표자산 구성요소와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한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상표자산관리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탐색은 제품지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상표태도와 상표지식은 상표 충성도와 상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표충성도와 상표가치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천의 경우, 한국에서는 제품지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영국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통업자 브랜드 이미지의 영향요인과 신뢰 및 고객 애호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the Effect Factors of Private Brand Images and Customer Trust and Loyalty)

  • 김유경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7호
    • /
    • pp.73-83
    • /
    • 2015
  • Purpose - Recently, many large retailers have been frequently purchasing commercial brands. Not only the quality of products purchased but also the brand images are of concern in this process. Based on this rising trend, commercial brands have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retail business world, along with increasing general interest as well.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ors affecting commercial brand images and clarifies the impact of the resulting factors as well. First, store images and familiarity, price sensitiveness, and knowledge are presented as the effect factors for commercial brands. Second, the study tries to clarify the effect of commercial brand image on the reliability and loyalty of custom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conduct the study methodology,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etailers who have used large discount stores located in Busan to purchase a commercial brand a total of 23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es, a structure equation formula using Amos 20.0 was calculated. First, prior to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questions were tested, and as a result, the value of Cronbach's alpha was higher than 0.7, thereby showing reliability. Additionall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feasibility of the questions, a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was implemented. Results - First, variances such as store images, familiarity, price sensitivity, and knowledge were presented as the factors of effect on commercial brands. As a result of the hypotheses verification, all the effect factors presented in this study were confirmed as important variables of commercial brand images. The hypotheses were drawn based on the studies relating to existing commercial brands, and thereby, a result similar to previous studies was produced. However, the effect factors of the commercial brand image presented in this study shaped a new study mode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Second, it was found that commercial brand imag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liability and loyalty of customers. This study presented reliability and loyalty as the resulting factors of commercial brand image because the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relation to customer behavior and variables that can suggest marketing points for distribution businesses. Conclusions - This study focused on clarifying the factors that are important effect factors for commercial brand images. As a result, all the hypotheses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indicating a meaningful result, and thereby suggesting many points that can be presented to distribution businesses. First, the proper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a store image, the familiarity of customers with brands, and the price sensitiveness and knowledge level of customers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choice of commercial brands. Additionally, the formation of such favorable images will have positive effects not only in terms of customer trust in the commercial brands but also in terms of their loyalty.

의료서비스산업에서의 고객지식 획득과 활용방안 : 기대 불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The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Customer Knowledge in the Healthcare Service Industry : The Theory of Service Failure)

  • 김상만;이연주
    • 지식경영연구
    • /
    • 제11권3호
    • /
    • pp.59-76
    • /
    • 2010
  • The knowledge of customer in healthcare service industry is widely accepted as one of the key information for the customers' satisfaction. Previous studies on the customer knowledge about service recovery showed that service providers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standardizing interaction with custom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ribution according to the failure in providing medical services and customer's participation as preceding variable of attribution.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an obesity clinic having high participating rate from May 10 to May 28, 2010.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from whom the responsibility of the service failure originated between the patients and the medical institutions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 patients involvement in service process.

  • PDF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자산과 소셜 브랜드 개입을 통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화장품 회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Media Marketing Activities on Purchase Intention with Brand Equity and Social Brand Engagement: Empirical Evidence from Korean Cosmetic Firms)

  • 뗀진최된;이영찬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3호
    • /
    • pp.141-1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대한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소셜미디어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이 소비자와 브랜드를 연결하는 마케팅 방식이 변하고 있다. 따라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이 소비자의 소셜브랜드 참여, 브랜드 자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화장품 회사들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자산과 소셜브랜드 참여를 통해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을 포함한 구성개념들을 정의하고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총 332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이중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를 제외한 219개의 설문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5개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은 브랜드자산, 소셜브랜드 참여 그리고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화장품 회사들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이를 통한 브랜드자산의 축적과 사용자의 소셜브랜드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원산지제품 평가에 관한 실증적 비교연구: 제품구입경로, 제품카테고리, 소비자 특성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Comparative Study on Evaluation of Bi-national Product: Focused on Purchasing Routes, Product Category,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 손제영;강인원
    • 무역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7-91
    • /
    • 2018
  • 복합원산지제품 평가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실무에 적용될 만한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드물게 진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복합원산지제품에 평가를 기존의 연구들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세분시장에서 요구되는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의 복합원산지제품 구입경로, 복합원산지제품의 카테고리,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조절초점성향,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을 반영하여 종합적인 비교를 평균차이검정(two-way AN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제품의 구입경로에 따른 복합원산지제품의 평가에서는 오프라인 매장이 온라인 매장보다 다소 우호적으로 나타났으며, 제품카테고리별로는 필수재가 사치재보다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비교에서는 촉진초점 성향을 가진 소비자는 예방초점성향의 소비자 보다 복합원산지제품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를 우호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전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제품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컬러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The Effect of Color Incongruity on Brand Attitude: Moderating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 이상은;김상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69-93
    • /
    • 2010
  • 본 연구는 통합적 브랜드 관리에 있어 매체 간 컬러의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소비자 자아 일치성이 이 영향에 조절적 효과를 가져 온다는 가정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매체는 컬러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각적 영향이 부각되는 매체로 제한하였으며, 컬러 이외의 시각적 요인은 일관되도록 하였고, 브랜드에 대한 친숙도가 낮은 브랜드, 브랜드에 대한 이전의 지식이 없는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매체 간 컬러의 불일치에 따른 브랜드 태도는 컬러의 일관성에 따른 브랜드 태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소비자의 자아일치가 낮은 경우에 높은 경우보다 태도의 변화가 높게 나타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이 결과는 브랜드의 관리적 요소로서 브랜드 표현, 즉 시각적 요인 중 컬러를 통하여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브랜드 관리자의 직관에 의지하던 브랜드 표현의 일관성과 다양성의 수준이 일반적 의식보다 더 폭넓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하고, 이전의 연구에서 성숙브랜드(mature brand)를 리포지셔닝 repositioning)하는 전략으로만 연구되었던 불일치를 신생 브랜드의 인지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그 범위를 확장시켰다고 할 수 있다.

  • PDF

항공사 승무원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고객 인게이지먼트 및 브랜드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Flight Attendants on Customer Engagement and Brand Intimacy)

  • 최유나;정남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2호
    • /
    • pp.185-209
    • /
    • 2023
  • 위드 코로나와 함께 움츠렸던 항공 여행업계가 다시 날개를 달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항공사를 통해 최근 1년이내 해외여행을 다녀온 승객을 대상으로 항공사 승무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와 브랜드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총 285명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SPSS 28과 AMOS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모델의 적합성,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연구 분석 결과 항공사 승무원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에서 의사언어와 공간언어가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 19 이후 관점의 변화에 따라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다르지만, 승객과의 접점에서 대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항공사 승무원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또한 새로운 고객만족 경영 지표인 고객 인게이지먼트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항공사 승무원의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고객 인게이지먼트가 브랜드 친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가격 인하나 충성도 확보 중심의 마케팅에서 감정과 관계 마케팅의 새로운 고객 관리 지표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항공사 승무원과의 상호작용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항공 운송 산업 종사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