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ch incremen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9초

Sensitivity of Rabbit Cerebral Artery to Serotonin is Increased with the Moderate Increase of Extracellular $K^+$

  • Suh, Suk-Hyo;Park, Sung-Jin;Choi, Jai-Young;Sim, Jae-Hoon;Kim, Young-Chul;Kim, Sung-Joon;So, In-Suk;Kim, Ki-Wh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6호
    • /
    • pp.695-703
    • /
    • 1998
  • $[K^+]_o$ can be increased under a variety of conditions including subarachnoid hemorrhage. The increase of $[K^+]_o$ in the range of $5{\sim}15$ mM may affect tensions of blood vessels and can change their sensitivity to various vasoactive substances. Therefore, it wa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whether the sensitivity of cerebral arteries to vasoactive substances can be changed with the moderate increase of $[K^+]_o$, using Mulvany-type myograph and $[Ca^{2+}]_c$ measurement. The contractions of basilar artery and branch of middle cerebral artery induced by histamine were not increased with the elevation of $[K^+]_o$ from 6 mM to 9 mM or 12 mM. On the contrary, the contractions induced by seroton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elevation of $[K^+]_o$. The contraction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with nitro-L-arginine $(10^{-4}$ M for 20 minutes). In the nitro-L-arginine treated arteries, the contractions induced by seroton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elevation of $[K^+]_o$ from 6 mM to 12 mM. $K^+-induced$ relaxation was evoked with the stepwise increment of extracellular $K^+$ from 0 or 2 mM to 12 mM by 2 mM in basilar arterial rings, which were contracted by histamine. But $[K^+]_o$ elevation from 4 or 6 mM to 12 mM by the stepwise increment evoked no significant relaxation. Basal tension of basilar artery was increased with $[K^+]_o$ elevation from 6 mM to 12 mM by 2 mM steps or by the treatment with ouabain and the increase of basal tension was blocked by verapamil. The cytosolic free $Ca^{2+}$ level was not increased by the single treatment with serotonin or with the elevation of $[K^+]_o$ from 4 mM to 8 or 12 mM. In contrast to the single treatment, the $Ca^{2+}$ level was increased by the combined treatment with serotonin and the elevation of $[K^+]_o$. The increase of free $Ca^{2+}$ concentration was blocked by the treatment with verapamil. These data suggest that the sensitivity of cerebral artery to serotonin is increased with the moderate increase of $[K^+]_o$ and the increased sensitivity to serotonin is due to the increased $[Ca^{2+}]_i$ induced by extracellular $Ca^{2+}$ influx.

  • PDF

자웅이주성(雌雄異株性) 옻나무속(屬) 3수종(樹種)의 자연집단(自然集團)에서 성비(性比)와 성간(性間) 생장량(生長量) 및 공간적(空間的) 분포(分布) (Sex Ratios, Size and Growth Variation, and Spatial and Age Distribution between the Sexes in Natural Populations of Three Species of Dioecious Rhus(Anacardiaceae))

  • 김삼식;이정환;정재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201-210
    • /
    • 1998
  • 자웅이주성(雌雄異株性)으로서 우리나라에 자생(自生)하는 옻나무속(屬) 6개 수종(樹種) 중 종자번식(種子繁殖)을 하는 개옻나무와 산검양옻나무, 그리고 종자번식(種子繁殖)보다는 주로 영양번식(營養繁殖)을 하는 붉나무의 자연집단(自然集團)에 있어서 성비(性比)와 암 수그루 개체(個體)의 크기, 생장량(生長量)의 차이(差異), 공간적(空間的) 분포(分布) 및 연령(年齡)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이들 결과(結果)를 토대로 종간(種間) 및 종내(種內) 집단간(集團間) 변이(變異)를 분석하였다. 3개 수종(樹種)에서 성비(性比)는 집단간(集團間)에 다양한 변이(變異)가 있었으나 암그루의 수(數가) 숫그루에 비해 현저하게 많았으며, 붉나무의 성비(性比)는 개옻나무와 산검양옻나무에 비해 보다 낮은 결과(結果)를 보였다. 성간(性間) 개체(個體)의 크기와 생장량(生長量)의 분석(分析) 결과(結果) 개옻나무와 산검양옻나무는 숫그루가 암그루 보다 유의적(有意的)으로 우세하였으나, 붉나무는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3개 수종(樹種)에서 모두 개체(個體)당 꽃피는 가지의 수(數)와 가지당 화서(花序)의 수(數)는 숫그루가 많았으나, 개체(個體)당 가지의 수(數)와 가지당 잎의 수(數), 화서(花序) 1개당 잎의 수(數)는 암그루가 많았다. 이 결과는 숫그루가 화분(花粉)의 공급(供給)을 위해, 암그루는 종자생산(種子生産)을 최대로 하기 위한 생식적(生植的) 노력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개옻나무의 성간(性間) 공간적(空間的) 분포(分布)에 대한 분석(分析) 결과(結果) 암 수그루 모두 임의분포(任意分布)를 하였으며, 치수(稚樹)들은 모수들 주변에서 집중분포(集中分布)의 경향을 보였다. 수종별(樹種別) 연령분포(年齡分布)에 관한 분석(分析) 결과(結果) 종자(種子)로 번식(繁殖)하는 개옻나무와 산검양옻나무는 영양번식(營養繁殖)을 주로 하는 붉나무에 비해 어릴 때 개화(開花)하는 비율(比率)이 낮았으며, 성숙목(成熟木)들은 높은 연령계급(年齡階級)에 분포(分布)하는 비율(比率)이 높았다. 번식방법(繁殖方法)이 다른 두 group들은 선호(選好)하는 생육지(生育地)가 다를 뿐만 아니라 성비(性比)와 성간(性間) 생장량(生長量)에서도 서로 다른 결과(結果)를 보였는데, 이 결과(結果)들을 종합하면 두 group간에 성간(性間) 생식(生殖)과 영양생장(營養生長)에 대한 양분(養分)의 분배(分配)가 다를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에서 자라는 참나무류, 낙엽송(落葉松) 및 잣나무의 수형특성(樹形特性)과 물질분배(物質分配) (Tree Form and Biomass Allocation of Quercus species, Larix leptolepis (Sieb. et Zucc.) Gordon and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in Kwangju-Gun, Kyunggi-Do)

  • 이돈구;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08-213
    • /
    • 1997
  • 산림자원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주요 수종인 참나무류(Quercus spp), 낙엽송(Larix leptolepis) 및 잣나무(Pinus koraiensis)에 대해 경기도 광주지방에서 수형특성, 물질분배량 및 재적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수형특성으로서는 잣나무가 수관비율 및 수관확장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참나무류도 수관비율이 높게 나타나 양수임을 나타냈다. 기관별 물질분배는 줄기의 경우 밑에서 위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율은 낙엽송보다 잣나무 및 참나무류가 높게 나타났다. 가지 및 엽은 세 수종 모두 정규분포 특성을 보였으나 가지보다는 엽이 더 높은 정규분포 특성을 나타내었고 수종별로는 참나무류보다 잣나무, 낙엽송이 높게 나타났다. 세 임분의 물질현존량은 낙엽송림, 잣나무림, 참나무림의 순으로 각각 171.1ton/ha, 75.3ton/ha, 61.6ton/ha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참나무류 및 잣나무림은 초기밀도를 높여줌으로서 biomass 생산 증진뿐만 아니라 수간형질 개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주경 상부엽 제거시기가 콩의 절위별 Sink형질 변이에 미치는 영향 (Variation of Sink Components in Response to Removal Time of Upper Leaf on Main Stem in Soybean)

  • 박춘봉;이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25
    • /
    • 1995
  • 콩에 있어서 source인 상부엽의 제거시기에 따라 sink인 협이나 종실에 얼마 만큼 영향을 미치는가 를 절위별 협 및 종실의 변화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제거에 의해 주경의 협수감소가 시작되는 절위는 엽제거 시기가 늦을수록 낮아졌고, 개화 후 25일 엽재거구가 15일구보다 엽제거 시기가 10일 늦은데도 6∼8절위에서 감소폭이 커 개화후 25일이 결협에 중요한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주경의 상부엽 제거로 주걍하부엽과 분지엽의 수광량이 증가하였는데도 엽무제거구보다 이들 부의의 물질 집적량이 적어 이 부위의 동화물질이 다른 부위로 전류된 양상을 보였다. 3. 협당입수는 개화후 35일 엽제거구가 25일구보다 적어 개화후 35일이 입의 퇴화에 더 큰 영향을 준 시기였다. 4. 가장 주요한 sink인 종실의 종피 구열립은 주경의 정단에서 9절위까지 엽무제거구가 25∼35% 절위였으나 엽제거구는 대부분 10%이하였다.

  • PDF

SCB액비처리에 따른 밤나무 생장 및 결실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ruiting in Chestnut Trees by SCB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 권용희;이욱;황석인;백을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76-680
    • /
    • 2009
  • 저농도 SCB(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액비 시비가 생장 및 결실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접목 7년생 '축파(Tsukuba)' 품종을 대상으로 SCB액비,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무처리구 등 4처리를 관행 시비량에 준한 시비 처리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생장 및 결실특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수고 및 근부직경의 생장은 전년도에 비해 화학비료와 SCB액비 처리구에서 각각 8.18%와 26.93%, 8.04%와 25.90%의 증가량을 보였으며, 착구부 직경에 대한 기부직경의 비는 화학비료 처리구를 제외하고 전년도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되었다. SCB액비 처리구에서 착과율이 86.25%로 높게 나타남에 따라 SCB액비가 생장과 수세에 기여하는 양료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새로운 비종으로서 대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ublayer assisted by hydrophilic and hydrophobic ZnO nanoparticles toward engineered osmosis process

  • Mansouri, Sina;Khalili, Soodabeh;Peyravi, Majid;Jahanshahi, Mohsen;Darabi, Rezvaneh Ramezani;Ardeshiri, Fatemeh;Rad, Ali Shokuhi
    •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 /
    • 제35권11호
    • /
    • pp.2256-2268
    • /
    • 2018
  •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olyethersulfone (PES)-zinc oxide (ZnO) sublayers were prepared by loading of ZnO nanoparticles into PES matrix. Both porosity and hydrophilicity of the hydrophilic sublayer were increased upon addition of hydrophilic ZnO, while these were decreased for the hydrophobic sublayer. In addi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ydrophilic membrane exhibited smaller structural parameter (S value or S parameter or S), which is beneficial for improving pure water permeability and decreasing mass transfer resistance. In contrast, a higher S parameter was obtained for the hydrophobic membrane. With a 2 M NaCl as DS and DI water as FS, the pure water flux of hydrophilic TFN0.5 membrane was increased from $21.02L/m^2h$ to $30.06L/m^2h$ and decreased for hydrophobic TFN0.5 membrane to $14.98L/m^2h$, while the salt flux of hydrophilic membrane increased from $10.12g/m^2h$ to $17.31g/m^2h$ and decreased for hydrophobic TFN0.5 membrane to $3.12g/m^2h$. The increment in pure water permeability can be ascribed to reduction in S parameter, which resulted in reduced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ICP). The current study provides a feasible and low cost procedure to decrease the ICP in FO processes.

Association of coffee consumption with type 2 diabetes and glycemic traits: a Mendelian randomization study

  • Hyun Jeong Cho;Akinkunmi Paul Okekunle ;Ga-Eun Yie ;Jiyoung Youn ;Moonil Kang;Taiyue Jin;Joohon Sung;Jung Eun L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4호
    • /
    • pp.789-802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Habitual coffee consumption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T2D) and hyperglycemia in observational studies, but the causality of the association remains uncertain. This study tested a causal association of genetically predicted coffee consumption with T2D using the Mendelian randomization (MR) method. SUBJECTS/METHODS: We used five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s instrumental variables (IVs) associated with habitual coffee consumption in a previou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among Koreans. We analyzed the associations between IVs and T2D, fasting blood glucose (FBG), 2h-postprandial glucose (2h-PG), and glycated haemoglobin (HbA1C) levels. The MR results were further evaluated by standard sensitivity tests for possible pleiotropism. RESULTS: MR analysis revealed that increased genetically predicted coffee consumption was associated with a reduced prevalence of T2D; ORs per one-unit increment of log-transformed cup per day of coffee consumption ranged from 0.75 (0.62-0.90) for the weighted mode-based method to 0.79 (0.62-0.99) for Wald ratio estimator. We also used the inverse-variance-weighted method, weighted median-based method, MR-Egger method, and MR-PRESSO method. Similarly, genetically predicted coffee consumption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FBG and 2h-PG levels but not with HbA1c. Sensitivity measures gave similar results without evidence of pleiotropy. CONCLUSIONS: A genetic predisposition to habitual coffee consumption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2D prevalence and lower levels of FBG and 2h-PG profiles. Our study warrants further exploration.

강원도(江原道) 지방(地方) 잣나무 인공림(人工林)의 임령변화(林齡變化)에 따른 지상부(地上部) 현존량(現存量)과 양분축적(養分蓄積) (Changes in Aboveground Biomass and Nutrient Accumulation of the Korean-pin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by Stand Age at kangwondo Province)

  • 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276-285
    • /
    • 1998
  • 강원대학교 연습림 내에서 지위지수가 13.5-14.2인 입지조건에서 생육하는 임령 9년에서 66년까지 임령이 서로 다른 잣나무 인공식재림에 대하여 지상부 현존량과 양분량(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을 측정했다. 지상부 잣나무의 현존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줄기, 가지 및 잎의 건조중량과 흉고직경 간의 상대성장식 (logY=alogX+b, Y는 각 기관의 건조중량, X는 흉고직경)을 구하였다. 지상부 잣나무의 전체 현존량은 9년생 임분의 $21.8t\;ha^{-1}$에서 66년생 임분은 $130t\;ha^{-1}$으로 임령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지상부 잣나무 현존량은 가지의 현존량보다 잎의 현존량이 더 큰 9년생 임분을 제외하면, 줄기>가지>잎의 순서로 분배되어 있었다. 임령이 높아짐에 따라 줄기의 현존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층식생의 현존량은 목본과 초본이 각각 $0.4-3.9t\;ha^{-1}$$0.05-0.6t\;ha^{-1}$였으며, 잣나무림의 임령과의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고사목질부 유기물과 임상유기물은 각각 $0.59-1.54t\;ha^{-1}$$6.0-21.63t\;ha^{-1}$였다. 잣나무 지상부의 양분축척은 임령이 높아짐에 따리 증가하였으며, 질소>칼슘>칼륨>인>마그네슘의 순서였다. 평균 양분축적율은 임분의 초기 발달과정에서 가장 컸으며 임령의 증가와 함께 낮아졌다. 각 기관별로 양분농도는 잎>가지>줄기 순서였다. 임상유기물과 광질토양의 양분함량은 임령과의 상관이 없었다. 하층의 식생은 잣나무림의 양분 저장소로서의 역할이 작았다. 광질토양은 잣나무림의 계내 여러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큰 양분원이었다.

  • PDF

제주도 사계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격월별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Bimonthly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oi, Jeju Island)

  • 김맹진;한송헌;김준상;김병엽;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2-221
    • /
    • 2014
  • 제주도 사계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류군집에서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삼중자망과 통발을 이용하여 채집된 어획물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종조성은 총 10목 35과 60종이 출현하였고, 삼중자망에서 52종이 출현하였고 통발에서 20종이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전체개체수는 1,921개체, 생체량은 324,206 g이었다. 이 가운데 개체수에서 우점한 5종은 황놀래기, 쏠종개, 어랭놀래기, 쏨뱅이, 가시복이었으며, 생체량에서는 가시복, 쏨뱅이, 쥐치, 황놀래기, 두줄촉수였다. 조사기간 중 어획된 전체어류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생체량과 이들 어류군집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인 수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염분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수온이 올라가거나 염분이 떨어지면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그리고 생체량이 증가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고수온기인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그리고 저수온기인 2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강의 산지별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ger Depending on Habitat)

  • 정태연;정문철;이세은;김동철;김의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4-840
    • /
    • 1996
  • 생강의 산지별 형태적인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 산지인 서산, 완주 및 수입 중국산 생강을 구입하여 각각의 중량, 최대 길이, 두께, 분지수, 부피, 경도 및 색도를 측정하였다. 중량은 산지에 관계없이 $50{\sim}100\;g$ 사이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서산산은 전체중에 47.6%, 완주는 67.4%, 중국은 45.7%가 여기에 속하였다. 생강의 최대 길이와 두께는 중량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길이는 전체적으로 서산산이 균일한 분포를 보이고, 두께는 국내산이 중국산에 비해 얇은 특징을 나타냈다. 분지수를 보면 국내산이 중국산에 비하여 분포가 넓으며, 부피는 중국산이 국내산에 비하여 높은 값을 가지고 있다. 경도는 국내산이 중국산에 비해 단단하였으며, 특히 서산산이 가장 단단하였다. 색도를 보면 중국산이 약간 밝은 색을 띠나 국내산이 중국산에 비해 노란 색을 더 많이 나타내었다. 통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물리적인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색도를 제외하고 대부분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변수들간에 직선적인 함수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