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le water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8초

SWAT 모형의 수문.수질 모듈 개선에 의한 BOD 모의 (A BOD Simulation by Improved Hydrology and Water Quality Module in SWAT)

  • 김남원;신아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068-20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유역모형인 SWAT 모형의 한계를 인식하고 유출해석모듈과 하도수질모듈을 개선한 SWAT-K(Korea) 모형이 현재 오염총량관리 대상물질로 지정되어 있는 BOD 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주댐유역을 대상으로 각 개선모듈별 BOD 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출해석모듈의 개선결과 하도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BOD 항목의 모의 특성 상 유출 구조의 개선에 의하여 BOD 부하량의 지체가 감소되며 첨두 부하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도수질모듈의 개선결과 저유량 시 매개변수 산정에도 불구하고 증가하지 않던 값들이 모형의 개선에 의하여 정상적인 범위로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개선에 의하여 각 모듈별 개선효과와 함께 충주댐 지점의 개선 전 후 일대일 비교를 수행한 결과 결정 계수($R^2$)가 0.54에서 0.88로 상승하며 개선 후 모의값이 실측값에 근사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펄라이트재배에서의 급액관리의 priority 설정 (Priority Determination in Nutrient Solution Management in Perlite Culture)

  • 김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7-12
    • /
    • 2004
  • 급액관리에 관련된 단계를 4단계로 나누었으며, 각 단계별 수분 이동 저항을 규명하고, 단계 중에서 급액 상황에 따라 관련 인자의 priority를 설정함으로써 펄라이트 자루재배할 경우 율속인자 중심의 적정 급액관리 기준을 제안하였다. 특히, 급액관리의 가장 중요한 율속인자인 뿌리까지의 수분도달거리를 최소한으로 하여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과 역사성을 부여한 뿌리발달 조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인공경량골재의 표피층 구조가 흡수된 물의 방출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ell Structure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on the Emission Rate of Absorbed Water)

  • 강승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750-754
    • /
    • 2008
  • The artificial aggregates with dense surface layer (shell) was fabricated and the dependence of water emission rate upon the shell structures was studied. The EAF dust containing many flux components and waste white clay with ignition loss of above 48% were used as for liquid phase and gas forming agents during a sintering proces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hell structure was modified with various processes and the modification effect on water emission rate was analyzed. The pores under $10{\mu}m$ were found in the sintered artificial light aggregates and disappeared by incorporating to a bigger pore during re-sintering. The water emission rate in an initial step depended on a void content of aggregates filled in a bottle rather than a shell structure. But, after 7 days where the water emission of the aggregate with a shell is above 40%, the shell of aggregates suppressed the water emission. The core of aggregates was exposed and most shell was lost when crushed to smaller size so, the ability for suppressing water emission of the crushed aggregates decreased. The activation energy for the water emission was $3.46{\pm}0.25{\times}10^{-1}$J/mol for the most specimens showing that the activation energy is irrelevant to the pore size distribution and shell structure.

복합레진 수복시 복합용기 및 단일용기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변연누출에 관한 연구 (MICROLEAKAGE OF CURRENT DENTIN BONDING SYSTEMS)

  • 류주희;박동성;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55-6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of 5 current dentin bonding systems which are composed of 2 multi-bottle systems(Scotchbond Multi-Purpose, All Bond2) and 3 one-bottle systems(Single bond, One-Step, Prime & Bond). In this in vitro study,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sixty extracted human premolars and molars on cementum margin. The experimental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of 10 samples (20 surfaces) each, Group 1 : Scotchbond Multi-Purpose ; Group 2 : All Bond 2 ; Group 3 : Single Bond ; Group 4 : One-Step ; Group 5 : Prime & Bond ; Group 6 : no bonding agent(control). The bonding agent and composite resin were applied for each group following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fter 500 thermocycling between $5^{\circ}C$ and $55^{\circ}C$, the 60 teeth were placed in 2% Methylene blue dye for 24 hours, then rinsed with tab water. The specimen were embedded in clear resin, then sectioned buccolingually through the center of restoration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The dye penetration on each of the specimen were then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 at ${\times}20$. The results of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tudent-Newmann-Keul's Methods and the Mann-Whitney Rank Sum Test. The resin/dentin interfaces were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None of the dentin bonding systems used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kage values at both the enamel and the dentin margins (P>0.05). 2. In all groups except the control, leakage value seen at the enamel margi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seen at the dentin margin (P<0.05). 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l the groups treated with dentin bonding system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akage value at both enamel and dentin margins (P<0.05). 4. In the SEM view, gap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e resin / dentin interface in group 6 where no dentin bonding agent was used, and in all the other groups (group 1, 2, 3, 4, 5) composite resin, hybrid layer, and dentin were seen to be closely adhering to each other where there were no leakages. Well-developed resin tags 3~100${\mu}m$ in length infiltrated dentinal tubules past the hybrid layer and a hybrid layer 1~5${\mu}m$ thick had developed between the dentinal surface and the composite resin surface.

  • PDF

팽나무버섯의 균사배양 중 배양기 내부 통기성 개선 (Studies on the aeration improvement of inner bottle culture system during the mycelial culture of Flammulina velutipes)

  • 심규광;유영진;구창덕;김영석;김명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20
    • /
    • 2012
  • 팽나무버섯 병재배($1,100m{\ell}$)에서 배양기 내 통기성이 팽나무버섯의 균사생장과 버섯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병 내의 통기성은 배양병 뚜껑에서 천공의 상하위치와 구경 크기로 조절하였고, 통기성 처리의 효과로는 배양병 내 이산화탄소 농도, 수분함량 변화, 키틴 함량, 유리당 함량, 자실체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팽나무버섯 균사배양 중 대수기 정점에서의 배양병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조구인 비통기성 무스폰지 뚜껑과, 천공 크기가 작은 뚜껑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았다. 팽나무버섯 균사 배양체 내 유리당 함량은 구멍 크기가 47mm로 상하로 천공된 뚜껑을 가진 병에서, 그리고 구멍 크기가 26~33mm로 하부만 천공 뚜껑을 가진 병에서 가장 많았다. 키틴 함량은 26mm 크기의 구멍을 하부에만 천공한 뚜껑을 가진 병에서 가장 많았다. 한편 뚜껑에서 천공의 위치가 상하 양쪽이고 천공크기가 42mm~47mm인 배양병에서는 수분 감소가 많아 발이가 불량하고 자실체 생산량도 적었다. 결론적으로 팽나무버섯 병재배 용기 $1,100m{\ell}$ pp병에서 최고의 수량을 나타낸 배양병에서의 뚜껑은 상하 천공으로 19mm 구멍과 하부만의 천공은 26mm 구멍을 내고 통기성 스폰지를 넣은 것으로, 이 때 자실체 생산량은 대조구보다 6~9% 증가하였다.

Alkoxide 법으로 합성한 알루미나의 동공구조에 미치는 가수분해 온도의 영향 (Effect of Hydrolytic Temperature on Pore Structure of Alkoxide-derived Aluminas)

  • 조정미;정필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7-224
    • /
    • 1988
  • Alkoxide 법으로 합성한 알루미나의 동공 구조를 BET 법으로 구한 흡 탈착 등온선의 hysteresis loop와 동공 분포로부터 고찰하였다. 알루미나는 aluminum isopropoxide를 화학량의 물로 가수분해하여 제조하였고, 가수분해 온도는 3$^{\circ}C$와 8$0^{\circ}C$에서 수행하였다. 이어 20$0^{\circ}C$부터 50$0^{\circ}C$까지 단계적으로 승온시키며 일정시간 열처리하였다. 3$^{\circ}C$ 가수분해 시료의 동공부피는 열처리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동공크기는 쌍입분포(twin peaked pore size distribution)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8$0^{\circ}C$ 가수분해 시료는 열처리에 의하여 동공부피가 감소하고, 동공크기는 단입분포(single peaked pore size distribution)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찰 결과로부터 전자의 동공형태는 slit형, 후자는 ink-bottle형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이 가수분해 온도는 동공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일 뿐만 아니라, 층상 알루미나의 구조수 일탈 거동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열처리 효과는 단지 최종 제품의 동공 분포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병솔꽃나무(Callistemon citrinus (Curt.) Skeels)의 개화결실 및 증식특성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fruit setting and propagation of Callistemon citrinus (Curt.) Skeels)

  • 김찬수;정은주;김지은;소인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7-113
    • /
    • 2002
  • 본 연구는 외래도입 병솔꽃나무(Callistemon citrinus)의 개화결실 습성과 효율적인 증식방법을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병솔꽃나무의 삭과는 개화후 4년간 가지에 존속하며, 종자의 수와 크기는 3년생 삭과와 2년생 삭과가 비슷한 반면 1년생 삭과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삭과로부터 종자를 탈리시키기 위해 건조시킨 결과 삭과의 상대 수분함량이 약 75%일 때 삭과열개율이 100%에 달했다. 발아율은 3$0^{\circ}C$에서 건조시킨 종자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 2년생 삭과에서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이 높았다. 반면 50, 7$0^{\circ}C$에서 건조되어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았다. 가을철 2차 개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봄철 개화 후 삭과가 달린 가지를 전정한 개체에서는 모든 개체에서 가을에 개화하였으며 , 개화량은 평균 14송이였다. 반숙지를 IBA 100mgι$^{-1}$ 에 24시간 침적처리한 결과 86.4%가 발근되었으며, 평균 12.6개의 1차근을 가지며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신규 건강기능식품소재 'EGCG 고함유 녹차추출물(EGTE)'의 장기안정성 평가 (Evaluation for Long-term Stability of EGCG Rich Green Tea Extract (EGTE))

  • 천세인;허은지;윤민지;최상운;류건식;유시용
    • 생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8-335
    • /
    • 2018
  •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rich Green Tea extract(EGTE)' was prepared by a convenient chromatographical manner using water and alcohol which was regarded as the most suitable and appropriate process for food manufacturing. The EGCG content in EGTE was estimated above 97%. Analysis of polyphenol components in green tea, i.e., catechin(C), 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EC),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catechin gallate(ECG) and caffeine was performed by HPLC. The optimized HPLC method exhibited a good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 accuracy and precision. The long-term stability evaluation of EGTE was carried out with a powdered formulation and solution formulation by estimating the color change and measuring the EGCG content by HPLC analysis for one year. The EGCG content of the powdered EGTE stored in a transparent bottle at room temperature was retained over 97%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The EGCG content of 0.1% water solution of EGTE stored in a transparent bottle at RT were observed to decrease below 30%, whereas that stored at $2^{\circ}C$ retained over 70%,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powdered formulation could be recommended for the commercialized nutraceutical product of EGTE rather than a solution formulation.

iOS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가정용 IoT 재배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 IoT Cultivation System with iOS Interface)

  • 정승균;김규동;김병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2호
    • /
    • pp.61-68
    • /
    • 2023
  • COVID-19와 대기오염으로 인해 '반려 식물'과 '플랜테리어'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플랜테리어를 위한 스마트 화분은 재배에 필요한 기능을 문제없이 제공하면서 크기는 줄어들어야 하고, 사용자의 이용편리성을 위해 장거리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분에 사물인터넷을 접목하여, IoT 재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iOS 앱으로 개발하였으며, 증가하는 iPhone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UX/UI 디자인으로 구현하였다. 스마트폰 앱과 가정의 재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통신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화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게 구현하였다. 서버와 재배 모듈이 분리되어, 재배 모듈 자체의 크기를 줄였다. 화분 하단에 물통이 존재하여, 배액이 물통으로 흘러내려오는 순환식 구조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플랜테리어'에 적합한 모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imultaneous Preconcentration and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Water Samples by Coprecipitation-Flotation with Lanthanum Hydroxide $[La(OH)_3]$

  • 김영상;김기찬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7호
    • /
    • pp.582-588
    • /
    • 1995
  • The preconcentration and determination of trace Cd(Ⅱ), Cu(Ⅱ), Pb(Ⅱ), Mn(Ⅱ) and Zn(Ⅱ) in water samples were studied by the precipitate flotation using La(OH)3 as a coprecipitant. The analytes were quantitatively coprecipitated by adding 3.0 mL of 0.1 M La(Ⅲ) solution in a 1,000 mL water sample and adjusting the pH to 9.5 with NaOH solution. After the addition of the 1:8 mixed surfactant solution of each 0.1% sodium oleate and sodium lauryl sulfate, the solution was stirred with a magnetic stirrer for 10 minutes. The precipitates were floated to the surface by bubbling with nitrogen gas and collected in a small sampling bottle. The precipitates were dissolved in nitric acid and then the solutions were diluted to 25.00 mL with a deionized water. The analytes were determined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This procedure was applied to the waste water analysis. This technique was simple, convenient and especially rapid for the analysis of a large volume of sample. And also, from the recoveries of better than 92% which were obtained from real samples, this method could be judged to be applicable to the preconcentr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water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