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edo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2초

COVID-19: "영양 아젠다" (Nutrition agenda during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 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1호
    • /
    • pp.1-9
    • /
    • 2021
  • This review describes the risk factors of the nutrition crisis i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fections and suggests precision nutrition against long-term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The mandatory quarantine and the social distancing are associated with an interruption of the lifestyle routine, resulting in psychological (i.e., boredom) and physiological stress. The stress with multiple causes and forms induces over-compensation of energy-dense food, such as sugary comfort food, and is defined as "food craving" because carbohydrates positively affect the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serotonin secretion. The consumption of foods that promote an immune response against viral infections (vitamins & minerals; Cu, folate, Fe, Se, Zn, and Vit A, B6, B12, C, and D), reduce inflammatory cytokines (w-3 fatty acids, Vit D, fibers, and Mg), contain antioxidants (beta-carotene, Vit E, C, Se, and phenolics), and sleep-inducing proteins (serotonin, melatonin, and milk products) is essential. In addition, a reduced Vit D deficiency in winter due to less time spent outdoors under quarantine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viral infections. The case fatality rate of COVID-19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age, sex, race, and underlying health condition. To prevent malnutrition and cachexia in elderly people, weight loss and muscle wasting should be monitored and controlled. Inadequate protein intake, sedentary lifestyle, and inflammation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arcopenia. Moreover, relatively high intakes of fat or carbohydrate compared to low protein intake result in abdominal obesity, which is defined as "sarcopenic obesity." Keeping the food-safety guidelines of COVID-19, this study recommends the consumption of fresh and healthy foods and avoiding sugar, fat, salt, alcohol, and commercially frozen foods.

카슨 매컬러스의 '불구적' 사랑에 관한 통찰 -『슬픈 카페의 노래』를 중심으로 (A Truth about 'Deformed' Love in Carson McCullers' The Ballad of the Sad Cafe)

  • 박소진
    • 영어영문학
    • /
    • 제57권2호
    • /
    • pp.315-337
    • /
    • 2011
  •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truth about love -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s passionate love and that same person's loneliness and suppressed desires, a relationship that Carson McCullers (1917-1967) portrays in The Ballad of the Sad Cafe. McCullers, one of several brilliant writers from Southern America, managed to overcome her cruel situation and showed deep insight into the human condition, particularly in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love and isolation. The Ballad of the Sad Cafe, like her other works, examines the spiritual isolation and the agony of love that three lovers experience. The love in this story is a triangular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main characters, Amelia, Lymon and Marvin Mac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love described in this story are that each character falls into blind and passionate love for the person he/she loves, no matter how the beloved responds. Love also changes the lover, not the beloved, revealing the completely opposite nature of the lover. The opposite nature and the inner secrets that the love reveals about the lovers reflect their frustrated and suppressed desires, which is femininity and motherhood for Amelia, non-violent masculine power for Macy, and physical attraction and power for the hunchback, Lymon. These suppressed desires are rooted in the deep sense of frustration that they had to experience in their childhood. In short, the seemingly unconditional love of the main characters is not an ideal, altruistic love, but a reflection of their inner desires. This story, however, does not seem to criticize this kind of love but simply tries to give an honest picture of what love might be. It also admits that 'deformed' love is still better than no love (and consequently no stimulus) because what really damages and causes decay in human beings and in a community, is the state of boredom.

이동 차량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전송 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Video Content Delivery Scheme for Mobile Vehicles)

  • 김태국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1-45
    • /
    • 2021
  • 본 논문은 이동 차량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전송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 우리는 출퇴근의 많은 시간을 전철, 차량 등 이동 차량에서 보내고 있다. 그리고 이동 차량에서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YouTube, Netflix 등과 같은 동영상 서비스를 즐기는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동영상 콘텐츠는 텍스트 기반의 콘텐츠 보다 데이터양이 큰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제안한 동영상 콘텐츠 전송 기법은 이동 차량이 무료 Wi-Fi 지역에 있을 때, 시청 중인 동영상 콘텐츠를 미리 많이 다운로드 받는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동 차량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적은 비용으로 즐길 수 있다. 제안한 기법은 이동 물체를 위한 사물인터넷(IoT)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여성의 생리적인 현상에 따른 피부상태와의 상관성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for Skin Condition Related with Physiological Phenomenon)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207-216
    • /
    • 2021
  • 본 연구는 경남 창원시내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 315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단순무작위추출(simple landom sampling)하여 설문지조사 방법에 의해 자기 기록식으로 기록하였다. 본 연구는 피부상태에 따른 피부의 유형을 세안 후 30분간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 뺨부위를 검진법을 통하여 체크하여 지성, 중성, 건성, 지루성으로 구분하여 각 조건들과의 상호작용을 알아보았다. 각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X2-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PC/SAS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피부상태에서 연령, 직장 및 결혼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연령이 많을수록 건성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고 직장여성과 기혼여성일 경우 건성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스트레스 후 피부반응과 일반적인 특성 및 생리적 현상과의 관련성에서 여드름이 나는 부위와 배변횟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각 X2-검정의 값은 42.961(P<0.01), 7.345(P<0.05)였다. 피부트러블반응과 여드름 나는 시기와의 사이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비대면(이러닝) 교육 성취도 향상을 위한 패턴인식 및 AI교육 시스템 설계 (Pattern recognition and AI education system design for improving achievement of non-face-to-face (e-learning) education)

  • 이해인;김의정;정종인;김창석;강신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9-332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이러닝 컨텐츠 및 비대면 수업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집중도 향상 및 수업 성취도 및 교육 효과를 높이고 웹 서버를 활용해 인공지능 수업 시스템을 설계를 제안 하고자 한다. OpenCV를 이용한 얼굴과 눈동자 추적의 기능을 사용하여 출석 및 집중도 파악하고 수업 중간에 교수자가 질문하는 문제에 음성 또는 메시지로 피드백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지루함을 해소하고 주자별 테스트를 통해 기준 점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틀린 문제에 대한 교육자료 및 영상을 제공하여 학업 격차를 해소하고 학업에 대한 성취도를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 PDF

비대면(이러닝) 교육 성취도 향상을 위한 패턴인식 및 AI교육 시스템 설계 구축 (Pattern Recognition and AI Education System Design Proposal for Improving the Achievement of Non-face-to-face (E-Learning) Education)

  • 이해인;김의정;정종인;김창석;강신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0-283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이러닝 컨텐츠 및 비대면 수업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집중도 향상 및 수업 성취도 및 교육 효과를 높이고 웹 서버를 활용해 인공지능 수업 시스템을 설계를 제안 하고자 한다. OpenCV를 이용한 얼굴과 눈동자 추적의 기능을 사용하여 출석 및 집중도 파악하고 수업 중간에 교수자가 질문하는 문제에 음성 또는 메시지로 피드백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지루함을 해소하고 주자별 테스트를 통해 기준 점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틀린 문제에 대한 교육 자료 및 영상을 제공하여 학업 격차를 해소하고 학업에 대한 성취도를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시스템 설계를 구축하였다.

  • PDF

경기 북부 지역 일부 대학생의 식습관과 식행동 조사 (Dietary Habits an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the Northern Gyeonggi-do Region)

  • 최병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04-413
    • /
    • 2013
  • 1.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인 경기 북부(의정부, 양주, 동두천)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성별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아침식사와 점심식사의 식습관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중 '매일 먹는다'라고 응답한 학생들(38.2, 31.6%)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아침 결식의 가장 큰 이유로 '시간이 없어서'라고 응답하였고, 아침식사의 종류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밥과 반찬' 79.7, 84.0%로 주식이 쌀인 우리나라는 아침식사의 형태가 밥을 먹는 경우가 월등히 많았다. 점심식사는 아침식사와 달리 규칙적으로 하고 결식률이 낮은 것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점심식사 장소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교내 식당보다 외부 식당 이용이 훨씬 많았고, 점심식사의 종류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밥 위주 한식' 70.8, 56.3%, '주먹밥 및 볶음밥류' 16.9, 7.5%, '국수 면류' 3.4, 23.0%의 순으로 나타나, 주로 밥을 먹는 경우가 많았으나, 남학생은 여학생과 다르게 '주먹밥 및 볶음밥류'의 섭취가 많았고, 여학생은 남학생과 달리 '국수 면류'의 섭취가 많았다. 조사 대상자의 점심식사 비용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4,000~7,000원 미만' 67.4, 70.1%로 조사되고, 조사 대상자의 한 달 용돈 금액이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20~30만 원' 24.7, 31.6%, '10~20만 원' 21.3, 27.6%인 것을 볼 때 용돈에서 점심식사 비용이 대부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조사 대상자의 간식 습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식 섭취 빈도를 조사한 결과, 간식 섭취 횟수는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하루 1회' 47.2, 51.7%, '하루 2~3회' 31.5, 39.7%의 순으로 나타냈다. 간식을 먹는 시간은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점심~저녁 사이' 67.4, 67.8%, '저녁식사 후' 21.3, 8.6%, '아침~점심 사이' 7.9, 14.4%로 나타났다. 간식을 하는 주된 이유를 살펴보면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배가 고파서' 46.1, 28.2%, '심심해서' 15.7, 15.5%, '습관적으로' 9.0, 22.4%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주로 먹는 간식의 종류를 살펴보면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과자류' 25.8, 19.0%, '음료수' 18.0, 14.4%, '빵류' 16.9, 13.2% 순으로 과자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야식 섭취 횟수를 조사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일주일에 1~2회'가 56.2, 62.1%로 가장 많았다. 3. 향후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실버타운이나 노인복지 시설의 급식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를 위하여 만 65세 이상의 노인이 되었을 때를 가정하여 조사한 식사 형태는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직접 조리하여 먹기를 원한다' 48.9 48.9%, '주로 외식하기를 원한다' 20.2, 10.9%, '전문급식업체로부터 국이나 반찬을 배달하여 먹기를 원한다' 11.2, 21.8%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이 되었을 때 정기적으로 음식을 제공받을 의향은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52.2, 55.7%이었으며, 이들 중 정기 배달식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배달식의 고려 사항은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맛' 38.7, 24.7%, '위생' 35.5, 47.4%, '영양' 19.4, 22.7% 순이었다. 실버타운이나 노인복지시설의 시설급식 의향은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예' 47.2, 48.3%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시설급식을 원하는 이유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30.9, 22.6%, '식사 준비에서 해방될 수 있다' 21.4, 23.8% 순이었고, 시설급식 의향이 없는 남학생과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시설급식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실버타운이나 노인복지 시설에 기거하고 싶지 않다' 36.5, 45.6%,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먹고 싶지 않다' 11.8, 10.0% 순이었다.

심혈관계 생리반응을 이용한 아동정서 구분 (Differentiation of children' five emotions with cardiovascular reactivity parameters)

  • 장은혜;이경화;손선주;박지은;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317-32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정서 유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유발된 다섯 가지 정서(기쁨, 슬픔, 분노, 스트레스와 무료함)에 따른 아동의 심혈관계 반응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아동에게 음악, 색채, 심상을 유발하는 이야기, 인형으로 구성된 복합자극을 제시하는 동안 이들의 심혈관계 반응을 측정하고, 자극에 대한 적합성(유발된 정서의 유형)과 효과성(유발된 정서의 강도)을 정서평가척도 상에 평정하도록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심혈관계 생리반응 변수는 심박수, 호흡주기 관련 심박률 변화, 심박률 분산, 심박률 분산의 고주파수 성분, 저주파수 성분과 혈류량이었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 유발하는 자극을 제외한 네 가지 정서 유발 자극은 아동에게 각 정서(기쁨, 슬픔, 분노와 무료함)를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유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흡주기 관련 심박률 변화를 제외한 모든 심혈관계 지표에서 정서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에 따라 특징적인 심혈관계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는 심혈관계 반응을 이용하여 아동정서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 PDF

감성디자인적 접근을 통한 혁신적 포괄적 디자인 (Innovative Inclusive Design by Emotional Design)

  • 최수신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645-652
    • /
    • 2008
  • 첫번째 질문-포용적 디자인을 진정으로 포용적으로 만드는 방법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포용적 디자인 제품들이 사용자들에게 그다지 매력을 주지 못하는 이유는 디자이너들이 제품의 사용성의 개선에 치중하면서도 제품과 사용자를 연결해 주는 감성적 가치를 간과하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와 키보드를 크게 하는 등의 사용성의 개선책은 때로 제품을 매력이 없고 관심을 끌지 못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포용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게 된다. 감성적 디자인이란 단순히 재미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기 즐거운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감성적 디자인은 제품에 대한 호감을 증가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연결감을 고양시키고, 이러한 감성적 연결감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즐겁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 방법을 배우는 것 조차 즐겁게 만든다. 또한 제품에 대한 주의를 높이고 지루함을 줄여서 사용성에 따르는 많은 문제를 해결해 준다. 더 많은 사람이 즐겁게 사용한다면 그 제품의 포용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두번째 질문-포용적 디자인은 혁신적인 상품성이 있을 수 없는가. 대개의 포용적 디자인 제품은 혁신적이지 못하고, 따라서 새로운 시장 기회를 만들지 못한다. 감성적 접근방법이 사용자 측면의 가치를 높이는 일이라면, 혁신적 디자인 접근 방법은 시장에서의 가치를 높이는 일이다. 이는 더 많은 기업의 포용적 디자인 제품의 개발을 촉진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포용적 디자인에서의 감성적 디자인 방법의 효과를 조명하고, 감성적 디자인 접근 방법이 포용적 디자인 제품을 혁신적으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다룬다. 또한 제시된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하여 이러한 과정의 사례를 보여준다.

  • PDF

이러닝 수업에서의 한국 중학생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e-AEQ-KMS)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e-learning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Korean Middle school Science(e-AEQ-KMS))

  • 전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03-514
    • /
    • 2020
  • 성취 정서가 학생들의 성취 활동 및 결과와 직접으로 연관된 정서라는 점에서, 코로나 19로 인한 이러닝 수업의 확대와 같은 급격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학생들의 성취 정서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이러닝 수업환경에서 학생들의 성취 정서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질문지의 개발은 관련 연구의 바탕이 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수업에서의 한국 중학생 과학영역 성취 정서 질문지(e-AEQ-KMS)를 타당화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e-AEQ-KMS는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 정서 질문지(AEQ-KMS)을 바탕으로 이러닝 과학 수업의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수업상황, 학습상황, 시험상황 등의 3가지 학업 상황에서 즐거움, 희망, 자부심, 안도감, 화, 불안, 지루함, 절망감, 수치심 등의 9가지 성취 정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총 226문항이다. 내적, 외적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질문지를 구성하는 각 문항은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4가지 구성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결과, 성취 정서가 정의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이라고 하는 4개의 구성요인으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한 모형이 그렇지 않다고 가정한 모형보다 더 타당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성취 정서 사이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성취 정서가 잘 변별됨을 확인하였고, 3가지 학업 상황 및 9가지 성취 정서의 잠재적 관계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CFA)결과, 질문지에 반영된 모형이 가장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제-가치평가, 학습전략, 성취목표, 과학성적을 준거 변인으로 한 외적 타당도 검증 결과, 모든 준거 변인에 대하여 선행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충분한 외적 타당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러닝 수업에서 한국 중학생들의 과학영역 성취 정서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