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der area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4초

치성각화낭의 방사선학적 연구 (Radiographic study of the odontogenic keratocyst)

  • 천상득;안창현;최갑식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5권1호
    • /
    • pp.51-54
    • /
    • 2005
  • Purpose : To acquire the useful diagnostic in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ndibular odontogenic keratocyst. Materials and Methods : The researchers compared and analys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of 112 cases of mandibular odontogenic keratocyst confirmed by histopathlogic examination. Results : Mandibular odontogenic keratocyst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the incidence is the highest in the 2nd and 3rd decades. These cysts occurred in the mandibular posterior area, angle-ramus area and anterior area $51.8\%$, $31.2\%$ and $17.0\%$ respectively. These cysts had undulating border ($69.6\%$) rather than smooth border ($30.4\%$). Most of these cysts had well-defined hyperostotic border ($94.6\%$). These cysts caused cortical thinning or expansion ($78.6\%$) rather than no cortical reaction ($21.4\%$). Loss of lamina dura was observed in $72.3\%$, displacement of tooth appeared in $35.7\%$ and root resolution appeared in $12.5\%$ of cases. In $71\%$ of cases, displacement of mandibular canal was observed. Internal patterns of lesional radiolucency were even ($61.6\%$) or uneven ($38.4\%$). Conclusion :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in diagnosing of mandibular odontogenic keratocyst.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5; 35 : 51-4)

  • PDF

강원 고성지역 사례로 본 DMZ와 접경지역 문화유산 현황과 보호 방안 (DMZ and Border Area Cultural Heritage Statuses and Protection Plans - Focusing on the Goseong area of Gangwon-do -)

  • 심재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178-188
    • /
    • 2022
  • 남북 분단 이후, 남과 북은 상호 간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 중에 문화재청과 통일부는 DMZ와 접경지역에 대한 문화유산의 분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글은 이러한 작업 중에 새롭게 확인한 명호리 봉수, 고성리산성과 대강리사지 위치 비정에 대한 재해석, 보호 대책이 시급한 문화유산의 사례를 소개했다. 남북 분단의 현실에서 철저하게 문화유산의 보호 대책을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우리 군은 「군문화재보호 훈령」을 제정하고,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도 준용하고 있다. 특히, 「군문화재보호 훈령」에는 '군사재' 보호라는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군종별로 문화유산 전담부서의 신설이 필요하다. 그리고, DMZ와 접경지역에 대한 문화유산의 확인과 조사는 꾸준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현지 조사가 어려운 현 상황에서 고지형 분석과 각종 문헌 조사를 통한 1차 조사는 유효하다. 그리고 향후, 현지 조사를 통하여 수정·보완되어야 한다. DMZ와 접경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다양한 조사는 일부 시행착오가 예상되지만, 지속해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콜롬비아 국경지역 난민증가 원인: 베네수엘라, 파나마 그리고 에콰도르 접경지역 강제실향민을 중심으로 (Colombia Border Area Refugees: Centered on Venezuela, Panama, and Ecuador Border Areas)

  • 차경미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109-134
    • /
    • 2011
  • 미국의 지원 하에 추진된 우리베 정권(Alvaro Uribe:2002-2010)의 마약퇴치 및 불법무장조직에 대한 강경책은 가시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마약과 관련된 범죄는 증가했으며, 마약재배와 거래량의 변화를 동반하지 않았다. 오히려 불법작물 재배권을 둘러싼 좌.우익 불법무장단체들의 무력분쟁은 심화되었고, 강제실향민으로 인한 난민은 급증했다. 2005년 실향민등록위원회 RUPD(el Registro Único de Población Desplazada)는 콜롬비아 전체인구의 7.3%에 해당하는 3,316,862명이 난민상태라고 보고했다. 특히 2002년 강제실향민으로 인한 난민 수는 전년대비 624%의 대폭적인 증가율을 나타냈다. 강제실향민 주요 배출지역은 마약범죄와 불법무장조직의 활동과 관련을 맺고 있는 곳으로 불법무장단체와 민병대의 점령지 확장과정에서 무력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불법무장조직과 민병대가 불법작물경작지를 차지하는 과정에서 농민에 대한 무차별적인 공격을 감행하여 강제실향민이 급증하였고, 이들은 상주지를 떠나 국경을 넘어 접경지역으로 이동했다. 2002년 우리베 정권이 등장하기 이전 강제실향민문제는 일부 특정지역에 국한되었지만, 국가안보정책 추진이후 강제실향민은 양적인 팽창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마약거래의 주요 루트였던 아마존 지역이 폐쇄되자 불법무장조직의 활동거점이 태평양 역으로 이동되었고, 특히 파나마 접경지역은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강제실향민으로 인한 콜롬비아 난민이 증가했다. 본 연구는 2002년 우리베 정권등장 이후 증가한 국경지역 강제실향민을 대상으로 콜롬비아 난민증가 원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콜롬비아의 강제실향민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베네수엘라와 1990년대 말 이후 강제실향민의 새로운 정착지로 변모한 파나마 그리고 2000년 들어 다른 인접국보다도 급격하게 증가한 에콰도르 접경지역의 강제실향민을 중심으로 강제실향민 증가원인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콜롬비아 정부의 노력을 살펴볼 것이다.

조선시대 동해안지역 연변봉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rder Signal-fire In Eastern Sea)

  • 이철영;김성철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2호
    • /
    • pp.47-66
    • /
    • 2008
  •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border signal-fire which is the main facility of military protective duty for safety of sea side in chosun dynas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Five types of site plan of signal-fire were observed, which is circle, half-circle, oval, round-rectangular. The majorities were circle type in eastern area. 2. Plan configuration of signal-fire stand which is separated with circle, rectangular type roughly was constructed with circle type generally. The height of signal-fire stand was about $2{\sim}3m$. The diameter of signal-fire stand was $8{\sim}10m$. Building base that protect ground moisture and infilteration of rainfall was found in 9 border singal-fire, the height of it was about $0.3m{\sim}2.5m$. 3. Trench was mainly circle type and average width was $3{\sim}4m$. However the depth was almost observed as 1m, originally, it was estimated it has more depth. 4. The height of protective wall remained until present was about 1m, the depth was about average 2.5m. 5. The storage of border signal-fire has rectangular dimension, several types of $1.8{\times}1.2m{\sim}5.7{\times}4.4m$, square(間) of $1{\times}1{\sim}2{\times}1$. The building material was stone and located below or near the signal-fire stand.

  • PDF

표의 테두리 유사 라벨을 활용한 문자 영역 검출 방법 (Text Region Detection Method Using Table Border Pseudo Label)

  • 한정훈;박세진;문영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271-1279
    • /
    • 2020
  • 문자 영역 검출이란 수기 혹은 인쇄된 문서에서 문자의 영역을 검출하는 기술이다. 검출된 문자 영역들은 인식 단계를 거쳐 디지털화되며 이는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곳에서 활용된다. 하지만 문자 단위의 검출 결과는 대용량 문서를 인식해야 하는 산업 현장의 문자 인식 단계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문서 내 존재하는 표는 문자 영역 검출 단계에서 오검출을 야기하며 이는 문자 인식 단계에서 악영향을 끼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표의 테두리 정보를 활용한 문자 영역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표의 테두리 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방법은 2개 디코더를 추가하고 간접적인 학습을 유도하기 위하여 각 디코드의 흐름을 조절하였다. 실험을 통해 표의 테두리 유사 라벨을 이용한 약지도 학습 방법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됨을 보였다.

하악각 골절의 치료 방법에 따른 하악골의 응력 분포 및 변위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IN MANDIBLE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 구제훈;김일규;장재원;양정은;사시카라 바라라만;왕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07-21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in mandible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using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 mechanical model of an edentulous mandible was generated from 3D scan. A 100-N axial load and four masticatory muscular supporting system were applied to this model. According to the number, location and materials of titanium and biodegradable polymer plate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Type I had a single titanium plate in the superior border of mandibular angle, type II had two titanium plates in the superior tension border and in the inferior compression border of mandibular angle, type III had a single titanium plate in the ventral area of mandibular angle, type IV had a single biodegradable polymer plate in the superior border of mandibular angle, type V had a single biodegradable polymer plate in the ventral area of mandibular angl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follows: 1.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condylar neck of the fractured side except Type III. 2. The values of von-Mises stress of the screws were the highest in the just-posterior screw of the fracture line, and in the just-anterior screw of Type III. 3. The displacement of mandible in Type III was 0.04 mm, and in Type I, II, IV, and V were 0.10 mm. 4. The plates were the most stable in the ventral area of mandibular angle (Type III, V). In conclusion, the ventral area of mandibular angle is the most stable location in the fixation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and the just- posterior and/or the just-anterior screws of the fracture line must be longer than the other, and surgeons have to fix accurately these screws,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 plate also was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mandible angle fracture.

광학위성을 활용한 임진강 접경지역 황강댐 저수지의 월단위 물수지 분석 (Monthly Water Balance Analysis of Hwanggang Dam Reservoir for Imjin river in Border Area using Optical Satellite)

  • 김진겸;강부식;유완식;황의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4-208
    • /
    • 2021
  • 임진강 상류 북한지역에 위치한 황강댐은 약 3억 5천만m3 규모의 저수지를 가지고 있으며, 하류로의 발전방류 이후 방류량 일부를 도수하여 예성강 유역의 생활, 공업,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황강댐의 유역변경식 용수공급으로 인해 임진강 하류로 흘러내려 오는 유량이 감소하여 우리나라의 용수공급, 하천유지유량, 수질 및 생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남북접경지역의 특성상 수문자료의 공유가 원활하지 못하고 황강댐의 운영방식을 알 수가 없으므로 하류부 남한측 지역의 피해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학 원격탐사 영상을 기반으로 보정된 수문모형과 물수지 분석을 통해 장기유출 개념의 월별 도 수량을 산정하였다. 2019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의 물수지 분석결과 황강댐의 평균 도수량은 29.2m3/s로서 이는 연간 9.22억 톤에 해당하는 수자원 양이며, 황강댐에 유입되는 연평균 유입량인 20.2억 톤 중 45.6%를 차지한다.

Distribution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 Jung, Jong-Kook;Lee, Joon-Ho;Lee, Sue Yeon;Kim, Seung Tae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0-20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ground beetles and to provide basis information for biodiversity management including the ground beetles in the Naejangsan National Park area. Pitfall traps were installed throughout 20 sites within Naejangsan National Park during 2008 to 2011 to collect ground beetles. A total of 2,409 collected ground beetles were identified with 35 species belonging to 19 genera of 8 subfamilies. Coptolabrus jankowskii jankowskii, Eucarabus sternbergi sternbergi, and Pterosticus audax were dominant at the core area, while Pheropsophus jessoensis, Synuchus nitidus, Synuchus cycloderus, and Chlaenius naeviger were dominant at the border of the National Park and adjacent to the road or grassland. These differences of dominant species also affected to the similarity of species composition between core and border area, and caused increasing dissimilarities between sites with cluster analysis. Although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was a case study using ground beetles, it will be helpful to develop a management strategy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Naejangsan National Park and its surroundings.

연후(年候)에서 본 한국(韓國)의 기후(氣候) (The Climate of Korea in the View of the Climatic Year)

  • 강만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1997
  • 본 연구는 전국의 64개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1972{\sim}1995$년의 자료를 해마다 $K{\ddot{o}}ppen$ 구분방법에 적용시켜 기후 특성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기후는 Cfa Cwa Cwb Dfa Dwa Dwb의 연후형 으로 구성되고, Cwa Dwa형의 출현빈도가 전체의 95%를 점한다. Cwa형의 출현은 대부분의 남부 지방 동사면 제주도에서 우세하고, Dwa형은 영서 경기 복동부에서, Cfa형은 울릉도에서 탁월하게 나타난다. 이런 우세지역은 안정된 기후지역을 형성하지만 다양한 기후형이 출현하는 남부 진방의 북부와 중부 지방의 남부는 C와 D형이 상접하는 경계이므로 불안정 기후지역을 이룬다. 또한 Cwa형이 가장 우세했던 1990년대 전반기에는 C D형의 경계선이 중부 내륙 지방에 위치하였고, Dwa형이 가장 탁월했던 1980년대 전반기에는 C D형의 경계선이 남부 지방의 중위에 위치하기도 하여 해에 따라서 연후지역의 범위가 변한다. 주요 연후형의 경년변화에서 Cwa형은 증가경향을 보이지만 Dwa형은 감소추세를 나타낸다. Cwa 연후지역의 확장추세는 1970년대 전반기와 1980년대 후반기 이후 최근까지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계속되고, 1980년대 전반기에 중부지방에서 우세했던 Dwa 연후지역은 최근까지 축소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