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tstrap algorithm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붓스트랩 방법을 활용한 SVM 기반 유전자 선택 기법 (Gene Selection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using Bootstrap)

  • 송석헌;김경희;박창이;구자용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3호
    • /
    • pp.531-54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선택 방법으로 최근 이용되는 SVM-RFE 알고리즘은 단순히 가중치의 절대값을 유전자 선택 기준으로 사용하여 유전자 값의 변동성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가중치의 절대값을 그것의 표준오차로 나눈 보완된 통계량, B-RFE 알고리즘을 새로운 기준으로 제안하였다. 두 방법을 모의실험을 통해서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B-RFE 알고리즘이 더 의미 있는 순위를 도출하였다.

비모수 추정방법을 활용한 kNNDD의 이상치 탐지 기법 (kNNDD-based One-Class Classification by Nonparametric Density Estimation)

  • 손정환;김성범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1-197
    • /
    • 2012
  • One-class classification (OCC) is one of the recent growing areas in data mining and pattern recognition.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 a k-nearest neighbors data description (kNNDD) algorithm, one of the OCC algorithms widely used. In particular, we propose to use nonparametric estimation methods to determine the threshold of the kNNDD algorithm. A simulation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approach and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approach that determines the threshold. The results demonstrate the usefulness and flexi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비모수 방법을 사용한 영상 잡음 제거 알고리즘 (Image noise reduction algorithms using nonparametric method)

  • 우호영;김영화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5호
    • /
    • pp.721-740
    • /
    • 2019
  • 영상처리 분야에서 중요한 분야인 잡음 제거는 통계적인 접근이 필요하지만 잡음에 대한 특정한 분포를 가정하기 어려우며 지역적 특징을 반영하는 공간 필터는 소표본에 해당하므로 모수적인 방법으로 접근할 수 없다. 1차 영상 미분과 2차 영상 미분은 영상에 포함된 잡음 수준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이며 캐니 에지 검출기를 사용하면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잡음 수준을 통계적으로 확인하고자 Fligner-Killeen 검정을 진행하고 붓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추정된 잡음의 수준을 베타분포의 누적분포함수를 이용하여 0과 1사이의 값을 갖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에 포함된 잡음 수준을 고려하는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싱글칩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고효율 공진형 플라이백 전력변환기 (High Efficiency Resonant Flyback Converter using a Single-Chip Microcontroller)

  • 정강률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803-81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싱글칩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고효율 공진형 플라이백 전력변환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전력변환기의 1차측은 하프브리지의 전력구조에 비대칭펄스폭변조(APWM : Asymmetrical Pulse-Width Modulation)을 적용하여 공진형 스위칭을 수행한다. 그리고 2차측은 다이오드 플라이백정류기 전력구조를 이용하고 영전류스위칭(ZCS : Zero Current Switching)으로 동작한다. 그리하여 제안한 컨버터는 고효율을 달성한다. 제안한 컨버터는 제어와 구동을 위하여 싱글칩 마이크로컨트롤러와 부트스랩 회로를 각각 이용하므로 전체적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제안한 전력변환기의 전력회로의 동작을 동작모드 별로 설명하고 정상상태 해석을 보인다. 그리고 제안한 전력변환기를 동작시키는 소프트웨어 제어 알고리즘과 구동회로에 관하여 설명하며, 그 후 각 설명에 근거하여 제작된 프로토타입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전력변환기의 동작 특성을 보인다.

Classical and Bayesian studies for a new lifetime model in presence of type-II censoring

  • Goyal, Teena;Rai, Piyush K;Maury, Sandeep 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6권4호
    • /
    • pp.385-410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new class of distribution using the concept of exponentiated of distribution function that provides a more flexible model to the baseline model. It also proposes a new lifetime distribution with different types of hazard rates such as decreasing, increasing and bathtub. After studying some basic statistical properties and parameter estimation procedure in case of complete sample observation, we have studied point and interval estimation procedures in presence of type-II censored samples under a classical as well as Bayesian paradigm. In the Bayesian paradigm, we considered a Gibbs sampler under Metropolis-Hasting for estimation under two different loss functions. After simulation studies, three different real datasets having various nature are considered for showing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포아송 분포의 혼합모형을 이용한 기부 횟수 자료 분석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Donations Based on a Mixture of Poisson Regression Model)

  • 김인영;박수범;김병수;박태규
    • 응용통계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2002년에 (사)볼런티어21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01년에 우리나라 개인들이 기부한 횟수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들을 식별하였다. 기부횟수의 경험적 분포로 미루어 모집단은 기부를 적게 하는 집단과 많이 하는 집단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모집단 분포를 두개 포아송 분포의 혼합분포로 모형화하였다. 이 모형에 기초하여 기부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식별하였다. EM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고 2.5%와 97.5%에 기초한 백분위수 신뢰구간을 보완한 BCa(bias-corrected and accelerated) 신뢰구간을 계산하여 유의한 변수들을 찾았다. 연구결과 혼합 포아송 회귀모형에서는 기부횟수가 적은 집단("작은 군")과 기부횟수가 많은 집단("큰 군") 모두에서 소득과 자원봉사의 경험 유무(1:예, 0:아니오)가 기부횟수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밝혀졌다. 또한 두 변수 각각에서 회귀계수가 양수로 나타나 소득이 많을수록, 혹은 자원봉사의 경험이 있는 사람일수록 기부횟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득과 자원봉사 변수의 회귀계수는 "작은 군"이 "큰 군"에 비해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작은 군"보다 "큰 군"의 사람들에게 기부가 생활화되어 있고, 따라서 소득과 자원봉사의 경험 유무가 기부횟수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

Numerical Bayesian updating of prior distributions for concrete strength properties considering conformity control

  • Caspeele, Robby;Taerwe, Luc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권1호
    • /
    • pp.85-102
    • /
    • 2013
  • Prior concrete strength distributions can be updated by using direct information from test results as well as by taking into account indirect information due to conformity control. Due to the filtering effect of conformity control, the distribution of the material property in the accepted inspected lots will have lower fraction defectives in comparison to the distribution of the entire production (before or without inspection). A methodology is presented to quantify this influence in a Bayesian framework based on prior knowledge with respect to the hyperparameters of concrete strength distributions. An algorithm is presented in order to update prior distributions through numerical integr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operating characteristic of the applied conformity criteria, calculated based on Monte Carlo simulations. Different examples are given to derive suitable hyperparameters for incoming strength distributions of concrete offered for conformity assessment, using updated available prior information, maximum-likelihood estimators or a bootstrap procedure. Furthermore, the updating procedure based on direct as well as indirect information obtained by conformity assessment is illustrated and used to quantify the filtering effect of conformity criteria on concrete strength distributions in case of a specific set of conformity criteria.

PET 영상의 정량적 개선을 위한 리스트-이벤트 데이터 재추출 (List-event Data Resampling for Quantitative Improvement of PET Image)

  • 우상근;유정우;김지민;강주현;임상무;김경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4호
    • /
    • pp.309-316
    • /
    • 2012
  • 다중영상화기술은 진단 및 치료 반응평가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하드웨어의 통합에도 불구하고 기기간의 획득방법의 차이에 따라 영상간의 불일치와 계수부족으로 인하여 정합도를 떨어뜨린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동물 PET 리스트모드 데이터의 저장형식을 분석하고 잡음 및 통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재추출하여 정량적으로 개선된 PET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소동물 리스트모드 Inveon PET 데이터는 소동물에 37 MBq/0.1 ml를 꼬리정맥에 주사하고 60분 후 10분 동안 정적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생체신호와 같이 획득된 리스트모드 데이터형식은 48 비트의 패킷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패킷 내에서는 8 비트의 헤더와 40 비트의 payload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사이노그램 생성은 그레이코드로 각 패킷의 순서와 흐름을 평가하고 각 패킷의 순서를 CPU에서 검출기위치 변환과 단순 증가 그리고 비모수 부트스트랩 기법을 이용하여 재추출하여 새로운 사이노그램을 생성하였다. 영상은 3 span과 31 ring difference로 설정하여 생성된 사이노그램은 산란 및 감쇠보정을 고려하지 않고 16부분 집합으로 4회 반복하는 OSEM 2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 획득된 PET 데이터의 헤더정보에서의 동시계수의 총수는 1,394만 계수였으며, 리스트-이벤트 데이터의 패킷을 분석한 동시계수의 총수는 1,293만 계수였다. PET 데이터의 단순 증가는 최대값이 1.336에서 1.743으로 향상되었으나 잡음이 같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PET 데이터 재추출 성능은 순차적인 패킷의 payload 값을 시프트연산을 통해 데이터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특정 잡음이 제거되거나 대조도가 향상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부트스트랩 재추출 기법은 영상의 잡음과 통계적 특성이 개선된 PET 영상을 제공하여 다중영상화시 정합도를 향상시켜 질환의 조기 진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절사표본 설계에서 비용함수를 고려한 복합추정량 (A Composite Estimator for Cut-off Sampling using Cost Function)

  • 심효선;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1호
    • /
    • pp.43-59
    • /
    • 2014
  • 왜도가 심한 사업체 조사에서는 모집단의 일부를 제외하고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인 절사표본추출법이 자주 사용된다. 절사층의 경우 표본 관리가 어렵고 조사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전체 모집단 추정을 위해서는 절사층의 정확한 총합 추정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Hwang과 Shin (2013)은 Lavallee와 Hidiroglou (1988)가 제안한 LH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표본층을 층화한 후 표본층에서 얻어진 정보와 절사층에서 얻어진 정보를 결합한 복합추정량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비용함수를 고려한 새로운 표본 설계를 제안하고, 이를 위한 새로운 복합추정량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과 실제 자료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복합추정량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임령이 다른 잣나무림에서의 토양 호흡 분석 (Analysis of Soil CO2 efflux across three age classes of plantation Pinus koraiensis)

  • 남기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6-123
    • /
    • 2018
  • 산림생태계에서 대기로의 토양의 이동은 토양 호흡이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임령이 다른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생육기 동안의 토양 호흡값과 토양 내 뿌리의 양, 미생물 개체군 생물량을 측정하여, 토양호흡량이 임령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뿌리와 미생물 개체군이 얼마나 기여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양 온도와 토양 호흡은 임령과는 상관없이 유사한 패턴을 보여 7월까지는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였다. 산림의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호흡량이 대체적으로 높았다. 토양 내 뿌리와 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내 존재하는 지름 2 mm 이하인 세근의 양이 많았으며 토양 미생물 개체군의 생물량이 많았다. 토양에서 뿌리를 제거하였을 때 70년 숲은 변화가 없었으나, 40년 숲에서는 토양 호흡값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산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토양 호흡량이 커지며, 식물 뿌리와 특히 토양 미생물이 토양 호흡값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