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mer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9초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ecasting Factor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Desire After Retirement)

  • 김종인;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55-66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성별과 거주지에 따른 할당표본을 한 강현정(2012)의 데이터 111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첫째, 현재의 사회참여는 경제활동 77.7%, 자원봉사활동 27.0%, 여가활동 79.3%로 경제활동과 여가활동에 비해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가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노후 사회참여 의향은 경제활동 80.9%, 자원봉사활동 76.7%, 여가활동 82.2%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둘째, 현재 사회참여를 하는 베이비붐 세대는 노후에도 사회참여를 하려는 의향이 높았다. 그런데 현재는 사회참여를 하지 않으나 노후에는 사회참여를 하고자 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경제활동의 경우에는 55.8%, 자원봉사활동의 경우에는 70.6%, 여가활동의 경우에는 66.5%였다. 셋째, 현재 사회참여여부가 노후 사회참여 의향의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지속성의 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노후 삶의 만족도에 중요 변수로 알려진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중년기부터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가 부모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ld Age Preparation of Baby Boomers Give Dependents Awareness of Parent)

  • 박근수;김태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67-4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핵가족화가 가족 및 개인의 책임과 의무로 여겨져 왔던 부모부양의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현실에 있어서, 시대 상황적으로 여러 가지 상대적으로 취약한 베이비부머 세대 스스로의 노후준비가 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종교, 주거상태, 월평균소득 등이 부모부양의식에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경제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건강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여가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가족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주거생활 관련 노후준비수준 그리고 노후준비수준 총합 모두에서 부모부양의식과 관련하여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주거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과 여가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이 부모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의확률이 .001(*p<0.05)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이어서 경제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이 .005(*p<0.05)의 유의확률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인들의 노후 준비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그들의 부모부양의식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 번째, 그들의 주거생활과 관련한 안정적 지원정책이 차별화하여 지원되어야 할 것이며, 두 번째로 봉사활동 등 사회활동을 통한 여가활동을 위한 사회적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며, 아울러 아직 젊은 그들에게 경제활동을 통한 경제생활 불안감을 해소 할 수 있도록 국가의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액티브 시니어 계층을 고려한 주택단지 계획기준 연구 -서울시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Housing Planning Criterion for Active Senior Generation -Focused on Baby Boomer in Seoul-)

  • 우미경;박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29-540
    • /
    • 2014
  • 우리나라의 베이비 부머는 전체 인구구조의 약 1/4을 차지하는 인구집단으로서, 기존의 세대들이 경험하지 못한 기대수명 100세라는 초 고령화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이들 세대는 압축적 경제성장의 주역으로 건강한 신체와 풍부한 경제력, 여가 문화적 소비욕구를 바탕으로 지속적 경제활동과 적극적 사회참여 욕구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노인세대와 구분되는 새로운 인구계층으로 '액티브 시니어'의 주 대상으로 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베이비 부머 거주 밀도를 보이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예비적 고령자로서 베이비 부머의 주거욕구가 무엇인지 소비자 관점에서 상향식 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주거단지계획 기준으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의 베이비부머는 주거단지계획 기준요소로 '사회 접근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의료 접근성'은 두 번째로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였다. 기타 '생활 편의성', '공간 인지성' 등이 차하의 순위를 기록하였다. 연구를 통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베이비 부머는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액티브 시니어가 지향하는 라이프 스타일과 매우 유사하다고 분석되었고, 이는 기존 노인세대가 보였던 고령자 전용적 거주선호와 구별되는 액티브 시니어의 틈새적 주거욕구라 판단된다.

에코세대의 연애 및 결혼, 출산 및 양육의 자신감에 대한 결정요인 - 미혼 취업자 1982~1992년생을 중심으로 - (The determinants of confidence in courtship and marriage, childbirth and parenting of the echo boomer generation : Focusing on the unmarried employed born between 1982 and 1992)

  • 이유리;이성훈;박은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01-11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19차년도 자료 중 1982~1992년에 출생한 에코세대의 미혼취업자를 대상으로 연애 및 결혼, 출산 및 양육의 자신감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에코세대의 사회인구학적, 심리사회적, 직장관련 변인에 따른 연애 및 결혼, 출산 및 양육의 자신감 차이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경제적 지위, 심리사회적 변인에 따라 연애 및 결혼, 출산 및 양육의 자신감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도에 따른 출산 및 양육의 자신감을 제외한 모든 직장관련 변인에 따라 연애 및 결혼, 출산 및 양육의 자신감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연애 및 결혼, 출산 및 양육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한국사회에 대한 청년인식의 영향력이 가장 컸고, 다음은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본, 경제적 준비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by Boomer's Self-Efficacy, Social Capital, and Economic Prepar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이종열;허철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1-50
    • /
    • 2020
  • 베이비부머들의 대량 은퇴를 맞이하여 이들의 진로 전환이나 창업이 새로운 연구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은퇴를 시작한 베이비부머들이 인생 2막으로 시작하는 창업에 대해 연구를 한 것이다. 베이비부머들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중심으로 연구 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 모형을 검정하기 위해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중 유효한 204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가설 검정은 AMOS 23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하였다. 가설 검정 결과 베이비부머의 창업과 관련한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본은 창업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었다. 경제적 준비도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이 베이비부머의 창업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취 경험이나 롤 모델 학습 경험 등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였다. 이들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성취 경험, 롤 모델 학습 경험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도가 노인복지시설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Baby Boomers on the Intention to Us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유용식;조수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49-55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도가 노인복지시설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베이비부머를 위한 복지시설 설립과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3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지시설 입소 의향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도가 노인복지관 이용의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니어클럽 이용의향에서는 경제적 노후준비도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센터와 베이비부머복지센터 이용의향에서는 정서적 노후준비도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시니어클럽은 경제적 노후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취업 및 창업에 대한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베이비부머들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한 다양한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50+센터와 베이비부머복지센터에서는 정서적·심리적 문제에 대한 예방, 치료를 위한 전문적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정서적 안정과 지지를 위한 대인관계 증진 및 사회활동 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 및 개발이 필요하다.

The Current State and Determinants of Korean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93-20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 of variables influencing Korean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8^{th}$ supplementary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2013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2,035 people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5 whose welfare panel data did not have missing values for the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when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ajor variables were analyzed, those showing a relatively high mean scor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were 'expansion of expenditure for public assistance' (mean 3.65, SD .557), 'expansion of expenditure for social insurance' (mean 3.53, SD .646), and 'expansion of expenditure for social services' (mean 3.26, SD .424). The mean score of the baby-boomers' overall welfare consciousness was relatively high as 3.45 (SD .428), advocating the expansion of welfare expenditure.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the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explanatory power of 12.9%.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were gender (B=.100, t=2.573, p<.01), personal responsibility for poverty (B=-.151, t=-3.635, p<.01), social responsibility for poverty (B=.149, t=3.437, p<.001), and recipient's laziness (B=.251, t=6.578, p<.001). Based 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major relevant policies.

직업 경력단절 기혼 여성에 대한 질적 연구: 30대 여성의 경력단절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eer-interrupted Liv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in their thirties)

  • 김수리;이수림;유정이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2호
    • /
    • pp.75-9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interrupted lives of highly 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The participants were 11 women in their thirties who had graduated from university graduated and had a child. We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using a focused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personal histories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there were marriages and births, difficulties with child care, priority placed on the family, pressure to retire, and an absence of a layoff system related to births and child care. Second, with regard to their interrupted lives, while there was comfort and an absence of work-stress, there was child care stress, financial stress, anxiety due to career uncertainty, a loss of the social self, depression, emptiness, low self-esteem, dependence on husbands, regret, conflict in career choices, and envy of childcare support. Third, their reasons for seeking reemployment included the financial benefits, increased independence, self-realization in their job, hope for a stable job, self-management, and hope for a social network.

세대별 소비지향태도와 소비자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gener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consumer role performance)

  • 김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4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gene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consumer role performanc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sumption-oriented attitudes of respective generations. The means of New generation are higher than the other generations especially in amusement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tenacious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Baby-boomer generation is more interested in consumption than any other generation and has a 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The older generation is passive to consumption and their consumption-oriented attitudes are those of amusement. 2) There is also the significant gap between the consumer role performance of generations. The means of new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 are higher in consumer role performances than other generations and are especially doing better in the roles of estimator and manager. 3) consumption-oriented attitudes illustrate the variation of consumer role performance and the stronger the rational or tenacious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the higher the consumer role performance and the higher the rational or tenacious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the lower the passive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the higher the consumer performance. In purchaser and manager role, the more positive the consumption and the higher the 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s, the better the consumer role performance.

  • PDF

베이비부머 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네트워크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Baby Boomers' Cap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Verify the Mediator Effect of Network-)

  • 정숙균;방희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78-18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역량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 네트워크가 역량과 삶의 만족 간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대인관계역량과 개인역량은 네트워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네트워크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제해결역량은 매개변수인 네트워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의 역량강화와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통한 은퇴이후 삶의 만족 향상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