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d performance

검색결과 696건 처리시간 0.028초

Anti-Inflammatory and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Peanut (Arachis hypogaea L.) Hull

  • Mihyang Kim;Yeo Ul Cho;Narae Han;Jin Young Lee;Yu-Young Lee;Moon Seok Kang;Hyun-Joo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2-312
    • /
    • 2022
  • Peanut hull as by-product has been discarded during peanut processing. However, peanut hull contains plenty of polyphenols that show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and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Sinpalkwang' peanut (Arachis hypogaea L.) hull.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methanol extracts of peanut hull by preparativ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fter identifying and quantifying polyphenols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and UPLC-Quadrupole time-of-flight-mass spectrometry profiling. The structures of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one-dimensional [1H,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and two-dimensional NMR (correlated spectroscopy, heteronuclear single quantum coherence and heteronuclear multiple bond correlation). Thre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5,7-dihydroxy-4H-chromen-4-one (peak 2), luteolin (peak 4) and eriodictyol (peak 5).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lammatory mediator such as nitric oxide (NO), interleukin-6 (IL-6) and interleukin-1β (IL-lβ) in lipopolysaccharide 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and in enzyme (xanthine oxidase [XO] and α-glucosidase [AG]) inhibitory activities were observed between three compounds (p < 0.05). Peak 5 treated Raw 264.7 macrophages showed lower content of NO (16.4 uM), IL-6 (7.0 ng/mL), and IL-1β (60.6 pg/mL) than peak 2 (NO: 28.3 uM, IL-6: 11.3 ng/mL, IL-1β: 66.9 pg/mL) and peak 4 (NO: 24.7 uM, IL-6: 9.3 ng/mL, IL-1β: 62.6 pg/mL). Peak 5 showed higher XO inhibitory activity (84.7%) and higher AG inhibitory activity (52.4%) than peak 2 (XO inhibitory activity: 45.4%, AG inhibitory activity: 21.6%) and peak 4 (XO inhibitory activity: 37.9%, AG inhibitory activity: 37.5%) at concentration of 0.5mg/mL. This study suggests that peanut hull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anti-inflammatory and physiological materials while creating new use of discarded peanut hull as by-products concomitantly.

  • PDF

'축원-굿춤' 판의 생성 국면과 사회적 성격 - 동해안별신굿의 경우 - (The Creating Situations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Gutchum-pan to Pray - Focused on Donghaeanbyulsingut -)

  • 전성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349-383
    • /
    • 2019
  •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동해안별신굿에서 무당과 마을 사람들이 직접 관계 하면서 생성되는 '축원-굿춤'판이다. 굿판의 흥을 돋우기 위해 굿거리의 말미 또는 굿거리와 굿거리 사이에 집단적으로 벌이는 '허튼춤판'과는 달리, '축원-굿춤'은 매 굿거리에서 축원무가 구연 중에 개별적이고 반복적으로 생성되므로 별신굿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춤이다. 그러므로 '축원-굿춤'판의 생성배경을 살피고, 그것이 어떠한 사회적 성격을 지니는지에 대해 살펴 볼 필요가 있겠다. 산업혁명 이후 기계제공업(機械制工業)이 확립되면서 많은 수공업 생산자들이 소비자의 입장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자본주의적 생산양식과 분배법칙은 다양한 마을굿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즉 굿에 필요한 제반시설과 도구 그리고 행위 등이 자본주의적 생산과 소비 체제 속에 편입된 것이다. 이로 인해 전통적으로 굿에서 '정성'을 상징했던 시간과 행위 그리고 제물 등이 지닌 의미는 기계의 대량생산화와 자본의 흐름 속에 희석되었다. 그리고 별신 굿 기간 동안 행해지는 모든 가무악 연행은 자본/노동적 가치로 산출될 수있는데, 특히 '축원'이 '춤'으로 이어질 경우, 무당은 자본적 이익[별비]과 노동의 가치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므로 넓은 의미에서 '재수굿'에 해당되는 '축원-굿춤'판에 포함된 '축원[말]과 춤[몸짓]'의 생산 활동은 동해안별신굿이 갖는 전통적인 제의적 맥락과 더불어 한국 자본주의의 문화적 맥락 속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겠다. '축원-굿춤'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원-굿춤'은 '마을공동체→소집단별 경쟁→개별적 경쟁'으로 이어진다. 둘째, '축원 무가' 구연이 지속적으로 반복될수록 이와 관련된 연행이 '굿춤'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점점 줄어들게 된다. 셋째, 다양한 축원의 대상들 중에서 특히 어촌 사람들의 생업 활동과 관련된 직간접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었을 경우 '축원→굿춤'으로 잘 연결된다. 넷째, 축원의 범주에 포함되지 못한 집단은 반복적으로 '축원-굿춤'판에서 소외될 수 있다.

직접 에탄올 연료전지용 백금합금촉매의 합성과 특성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t based Alloy Catalysts for Direct Ethanol Fuel Cell)

  • 김이영;김수길;한종희;김한성
    • 전기화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9-114
    • /
    • 2008
  • 에탄올이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경로로 반응할 경우 12개의 전자를 발생시키게 되지만 실제로는 두 개의 탄소 원자사이의 결합력 때문에 완전 산화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고성능 에탄을 산화촉매의 개발은 에탄을 연료전지 실용화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Pt에 Sn, Au을 첨가하여 이원계, 삼원계 촉매를 제조하여 에탄올에서의 활성과 촉매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촉매합성은 modified polyol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Vulcan XC-72R 담지체를 사용하여 20 wt%로 담지하였다. PtSn/c 합금촉매는 Pt : Sn의 비율이 1 : 0, 4 : 1, 3 : 1, 2 : 1, 1.5 : 1, 1 : 1, 1 : 1.5으로 합성하였으며, PtSnAu/C 합금촉매는 Pt : Sn : Au의 비율을 5 : 5 : 0, 5 : 4 : 1, 5 : 3 : 2, 5 : 2 : 3으로 합성하였다. 촉매특성은 XRD, TEM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1.9{\sim}2.4\;nm$ 정도의 입자의 크기와 면심입방구조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에탄올 산화에 대한 합금촉매의 활성은 순환전류전압법으로 실험하였고, 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가진 PtSn(1.5 : 1)/C와 PtSnAu(5 : 2 : 3)/C 합금촉매를 단위전지 성능평가륵 통해 실제 연료전지 구동환경에서 촉매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탄을 산화에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낸 촉매는 PtSn/c(1.5 : 1)이었고, 촉매의 안정성은 PtSnAu/C(5 : 2 : 3)에서 높게 나타났다.

고분자 복합재료의 표면 친수화 및 소수화 메커니즘 해석 (Analysis on the Surface Hydrophilicity & Hydrophobicity Mechanism of Polymer Composites)

  • 임경범;노태호;이재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437-3443
    • /
    • 2013
  • 고분자 절연재료는 기존의 세라믹 절연재료에 대체되는 물질로 매년 수요가 꾸준히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실용에 있어 장시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화인자에 노출됨에 따라 경시적 성능저하 및 수명단축이 발생되고,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고분자 열화메커니즘의 규명이 안전성 향상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열화발생 및 진행경로를 해석하기 위한 일환으로 열, 수분에 의한 열화를 각각 임의로 모의하여, 열화 발생메커니즘을 해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측면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표면의 친수 소수적 분자구조 분석으로 최종적인 표면열화 모델링을 도출하였다. PCB 기판용 고분자 복합재료를 대상으로 열, 수분 가속열화에 따른 표면에서의 접촉각, XPS 분석을 통해 표면의 변화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친수화 경향을 나타내는 표면은 접촉각의 감소와 carboxyl($-COO^*$) 라디칼이 다량 발생하였으며, 소수화 경향을 나타내는 표면은 접촉각의 증가와 표면에서 산소기의 이탈과 탄소결합의 불포화 이중결합화로 안정된 화학구조를 구성하고 있었다.

플랫 플레이트 구조에서 전단보강체의 정착성능에 따른 전단보강효과 (The Effect of Anchorage with Shear Reinforcement in Flat Plate System)

  • 최창식;배백일;최윤철;최현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67-675
    • /
    • 2012
  • 플랫 플레이트는 실의 배치가 지속적으로 바뀌는 오피스와 같이 유연한 공간의 배치를 위해 그 사용처가 증가하고 있다. 플랫 플레이트 구조를 사용함에 있어서 실무에서의 주요 문제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에서 발생는 뚫림 전단 파괴에 대한 적절한 보강을 해주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내부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가지의 특수한 전단 보강근이 구조물 전체의 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취성적인 뚫림 전단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총 네 가지의 프랫 플레이트 실험체가 수직 방향의 단조 가력에 의해 수행되었다. 전단 보강근은 뚫림 전단강도를 높여주는 역할과 취성파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해 주었다. 수행된 실험에서 전단보강근이 충분한 정착길이를 확보하지 못하여 전단보강근의 항복 이전에 파괴가 일어났다. 실험 결과를 통한 FE 모델의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검증된 FE 모델을 통해 전단보강근의 부착 성능에 대한 변수 분석이 수행되었다. 주요 변수는 슬래브의 두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였으며 전단보강근의 성능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소집단 연결망 구조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해외답사여행을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Small Group Network Change : Focusing on College Student Overseas Field Trip)

  • 양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82-497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해외 답사여행을 수행함에 있어 소집단 사회연결망이 어떻게 존재하고 여행기간동안에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여행의 제반 성과인 답사여행 만족, 학과몰입, 교우관계 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대학생들은 유래 없는 학교적응 문제를 겪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대학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과 이에 대한 해결 필요성을 증대시켜주고 있다. 여행은 참가자 집단에게 강한 유대감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같은 맥락으로 학생들의 해외답사여행이 학생집단 결속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가정을 해 볼 수 있다. 해외답사여행에 참여한 3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의미한 소집단 연결망 구조의 존재 여부, 그 변화양상 그리고 관련 변수간의 영향 등을 알아보았다. 첫째로, 대학생 해외답사여행의 소집단 연결망 구조는 학생 집행부 소속 학생들이 연결 중심성의 위치에 있는 등 비교적 명시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둘째로 출발 전과 출발 후에 연결망 구조가 변하였으며 이는 여행기간 중에 참가자간의 상호작용이 발생한 것에 기인한다. 셋째로, 소집단 연결망 구조 변화에 따라 연결중심 및 매개중심으로 이동하였다 하더라도 제반 여행성과 변수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넷째로 답사여행 만족, 학과몰입, 교우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논문 말미에 연구 시사점과 한계점을 포함하였다.

Experimental and numerical disbond localization analyses of a notched plate repaired with a CFRP patch

  • Abderahmane, Sahli;Mokhtar, Bouziane M.;Smail, Benbarek;Wayne, Steven F.;Zhang, Liang;Belabbes, Bachir Bouiadjra;Boualem, Serier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3권3호
    • /
    • pp.361-370
    • /
    • 2017
  • Through the use of finite element analysis and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we have evaluated the interfacial failure of a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repair patch on a notched aluminum substrate. The repair of cracks is a very common and widely used practice in the aeronautics field to extend the life of cracked sheet metal panels. The process consists of adhesively bonding a patch that encompasses the notched site to provide additional strength, thereby increasing life and avoiding costly replacements.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onded joint relies mainly on the bonding of the adhesive to the plate and patch stiffness. Stress concentrations at crack tips promote disbonding of the composite patch from the substrate, consequently reducing the bonded area, which makes this a critical aspect of repair effectiveness. In this paper we examine patch disbonding by calculating the influence of notch tip stress on disbond area and verify computational results with acoustic emission (AE) measurements obtained from specimens subjected to uniaxial tension. The FE results showed that disbonding first occurs between the patch and the substrate close to free edge of the patch followed by failure around the tip of the notch, both highest stress regions.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cement adhesion at the aluminum interface was the limiting factor in patch performance. The patch did not appear to strengthen the aluminum substrate when measured by stress-strain due to early stage disbonding. Analysis of the AE signals provided insight to the disbond locations and progression at the metal-adhesive interface. Crack growth from the notch in the aluminum was not observed until the stress reached a critical level, an instant before final fracture, which was unaffected by the patch due to early stage disbonding. The FE model was further utilized to study the effects of patch fiber orientation and increased adhesive strength. The model revealed that the effectiveness of patch repairs is strongly dependent upon the combined interactions of adhesive bond strength and fiber orientation.

SD600 철근의 B급 겹침 이음에 대한 현행설계기준의 적용성 (Applicability of Current Design Code to Class B Splice of SD600 Re-Bars)

  • 최원석;정란;김진근;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49-45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SD600 철근 B급 이음에 대한 현행 설계기준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단순 지지된 12개의 B급 겹침 이음 실험체에 단순 증가 하중을 가하여 실험하였다. 주요 변수는 겹침 이음 철근직경, 콘크리트 피복 두께, 콘크리트 강도, 횡보강 철근 간격이다. 콘크리트는 24 MPa의 보통 강도 콘크리트와 6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실험체는 현행 설계기준의 B급 이음 길이를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에서 발현된 철근 응력의 평균을 현행 KCI설계기준의 예측 철근 응력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SD600 철근에 대한 현행 설계기준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현행 설계기준은 모든 D13 겹침 이음과 횡보강 철근이 배치된 D22, D32 겹침 이음에 대하여 안전측이었다. 직경 D22 이상 철근의 겹침 이음은 횡보강 철근의 사용이 권장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D22, D32 철근의 겹침 이음은 안전한 경향성을 보였으나, 확실한 검증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상아질을 통한 HEMA의 확산에 인산농도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SPHORIC ACID CONCENTRATION ON THE DIFFUSION OF HEMA THROUGH DENTIN)

  • 윤미란;이광원;박수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147-15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sphoric acid concentration on the movement of 2-hydroxyethylmethacrylate(HEMA) from bonding resin - resin composite combination through dentin in vitro. Freshly extracted human third molar teet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of 10 teeth. A closed chamber with 1 ml distilled water was attached to the CEJ of each tooth. An occlusal cavity of 4mm diameter & remaining dentin thickness of 1.0-1.5mm was prepared in each tooth. Dentin was treated with 10% phosphoric acid gel for 15 seconds. 32% phosphoric acid gel for 15 seconds, or with 35% phosphoric acid gel for 15 seconds. A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acid gel was also prepared. The cavities were rinsed, dried and then treated with the HEMA-containing All-Bond 2 primer & bonding resin which was light-cured for 10 seconds. The cavities were then restored with Z100 composite resin(shade:A3.5:3M Dent. Prod. USA) & light cured for 30 seconds. Water samples were retrieved from the chambers over a time course (4.32, 14.4, 43.2, 144 & 432 minutes ; 1, 3 & 10 days) and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EMA was detected in the pulp chambers of all teeth from 4.32 minutes after resin placement The highest rate of release was in the first sample period (0-4.32 min) & rate of release declined exponentially thereafter.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mean release rate for HEMA over a time course among the four groups (p>0.05). 3. The diffusion rate was significantly (p<0.05) less for 10% phosphoric acid gel than 32% phosphoric acid gel at the second sample period(4.32-14.4 min). 4.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cumulative HEMA diffusion among the four groups at 10 days(p>0.05) and mean total(cumulative) release at 10 days for all groups was in the 9 - 16 nmol range. 5. The cumulative release was significantly (p<0.05) less for 10% phosphoric acid gel than 32% phophoric acid gel at the third(14.4-43.2 min) & fourth(43.2-144 min) sample period.

  • PDF

파형 GFRP 전단연결재의 폭 및 너비에 따른 중단열 벽체의 면내전단거동 (Effects of Corrugated GFRP Shear Connector Width and Pitch on In-plane Shear Behavior of Insulated Concrete Sandwich Wall Panels (CSWP))

  • 장석준;오태식;유영찬;김호룡;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421-428
    • /
    • 2014
  • 이 연구는 파형 GFRP 전단연결재가 보강된 중단열 벽체의 면내전단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기존의 중단열 벽체의 단열성능 향상과 내/외측 벽체의 합성거동을 위하여 파형 GFRP 전단연결재를 보강하였다. 실험체는 2개의 단열재로 구분된 3개의 콘크리트 벽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부 벽체에 수직방향의 전단력을 가하였다. 주요변수는 단열재의 종류 (압출법 보온판 및 비드법 보온판) 및 보강된 전단연결재의 너비(300 및 400 mm)과 폭(10 및 15 mm)를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실험체의 파괴양상 및 전단흐름강도-평균상대변위 관계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콘크리트와 단열재의 부착응력은 중단열 벽체의 초기거동에 상당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전단연결재가 보강되지 않은 경우 XPSS를 사용한 중단열 벽체의 강성 및 강성이 EPS 단열재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단연결재의 보강효과는 단열재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전단연결재의 보강상세에 단열재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