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weight maintenanc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1초

Net energy content of rice bran, corn germ meal, corn gluten feed, peanut meal, and sunflower meal in growing pigs

  • Li, Yakui;Li, Zhongchao;Liu, Hu;Noblet, Jean;Liu, Ling;Li, Defa;Wang, Fenglai;Lai, Changhu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9호
    • /
    • pp.1481-1490
    • /
    • 2018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net energy (NE) content of full-fat rice bran (FFRB), corn germ meal (CGM), corn gluten feed (CGF), solvent-extracted peanut meal (PNM), and dehulled sunflower meal (SFM) fed to growing pigs using indirect calorimetry or published prediction equations. Methods: Twelve growing barrows with an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 $32.4{\pm}3.3kg$ were allotted to a replicated $3{\times}6$ Youden square design with 3 successive periods and 6 diets. During each period, pigs were individually housed in metabolism crates for 16 d, which included 7 days for adaptation. On d 8, the pigs were transferred to the respiration chambers and fed one of the 6 diets at 2.0 MJ metabolizable energy (ME)/$kg\;BW^{0.6}/d$. Total feces and urine were collected and daily heat production was measured from d 9 to d 13. On d 14 and d15, pigs were fed at their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level. On the last day pigs were fasted and fasting heat production was measured. Results: The NE of FFRB, CGM, CGF, PNM, and SFM measured by indirect calorimetry method was 12.33, 8.75, 7.51, 10.79, and 6.49 MJ/kg dry matter (DM), respectively. The NE/ME ratios ranged from 67.2% (SFM) to 78.5% (CGF). The NE values for the 5 ingredient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rediction equations were 12.22, 8.55, 6.79, 10.51, and 6.17 MJ/kg DM, respectively. Conclusion: The NE values were the highest for FFRB and PNM and the lowest in the corn co-products and SFM. The average NE of the 5 ingredients measured by indirect calorimetry method in the current study was greater than values predicted from NE prediction equations (0.32 MJ/kg DM).

Effects of Dietary Starch and Sucrose on Tissue Responsiveness and Sensitivity to Insulin in Goats Fed a High-concentrate Diet

  • Fujita, Tadahisa;Kajita, Masahiro;Sano, Hiroa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385-392
    • /
    • 2007
  • A glucose clamp technique was used to compare dietary starch (ST), starch plus sucrose (ST+SU) and sucrose (SU) with regard to the effect on tissue responsiveness and sensitivity to insulin in intact adult male goats. The goats were fed diets containing 1.2 times of ME and CP for maintenance requirements twice daily for 21 d. Of the energy intake, 30% was offered with ST, ST+SU or SU for the respective diets, and 70% as alfalfa hay, ground corn and ground soybean meal at the respective weight ratio of 1, 1, and 0.3 for all diets. Tissue responsiveness and sensitivity to insulin were evaluated using a 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 technique with four levels of insulin infusion beyond 13 h after feeding.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metabolites and insulin were also determined at 3, 6 and 13 h after feeding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arbohydrates on metabolic states in the body.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was higher (p = 0.01) for SU diet than for ST and ST+SU diets. Increasing SU intake decreased (p<0.01) plasma acetate concentration across the time. At 3 h but not 6 and 13 h after feeding, high lactate (p = 0.01), and non-significant high propionate (p = 0.14) and low urea nitrogen (p = 0.19)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plasma on SU compared with ST and ST+SU diets.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p = 0.44) between ST and SU fed animals. In the glucose clamp experiment, considering the effects on the maximal glucose infusion rate (tissue responsiveness to insulin, p = 0.54) and the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at half-maximal glucose infusion rate (insulin sensitivity, p = 0.54), SU was not different from ST. It is concluded that SU may not be greatly different from ST with regard to the effect on tissue responsiveness and sensitivity to insulin in adult goats when fed twice daily as part of a high-concentrate diet. The possible greater effects of SU on plasma metabolites concentrations at 3 h than at 6 and 13 h after feeding suggest that a lack of persistency of SU effects during the postfeeding period may be associated with the poor response to SU in insulin action.

Effect of replacing corn with soy hulls on nutrient digestibility of growing pigs

  • Oh, Han Jin;Yun, Won;Lee, Ji Hwan;An, Ji Seon;Kim, Tae Heon;Cho, Eun Ah;Park, Beom Jun;Kim, Ki Hyun;Lee, Sung Dae;Cho, Ji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2호
    • /
    • pp.180-186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placing corn with soy hulls on nutrient digestibility of growing pigs. Three experimental diets were tested using a 3 × 3 Latin square design using three barrows per group (Landrace × Yorkshire × Duroc,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36.9 ± 4.0 kg) in individual metabolic cage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the control (CON) basal diet (corn-soybean meal based diet), whereas in the test diets, soy hulls were included at 5% (H1), 10% (H2), gradually replacing corn. The daily feed allowance was adjusted to 2.7 times the maintenance requirement for digestible energy (DE) (2.7 × 110 kcal of DE/kg BW0.75). Intake of crude fiber (CF) was different among treatments (p < 0.05). Pigs fed with H2 diet excreted higher concentrations of dry matter (DM), and CF than pigs fed with H1 diet and basal diet (p < 0.05). Pigs fed with H1 and H2 diets excreted higher concentrations of crude protein (CP) than pigs fed with CON diet (p < 0.05).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CF from H1 and H2 diets were higher than CON diet (p < 0.05). Pigs fed with H2 diets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05) the ATTD of CP than the pigs fed with CON and H1 diets. The current data suggest that 10% inclusion soy hulls can slightly decrease CP digestibility. However, soy hulls considerably increased CF digestibility.It is concluded that 5% soy hulls may be a usable alternative to corn in growing pig diets.

천연 생약 복합 추출물이 Streu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인슐린, 혈청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Natural Medicinal Multi-plant Extract on Blood Glucose, Insulin Levels, and Serum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형래;조정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5-212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natural medicinal multi-plants extract (BG515), which consisted of multi extracts of Mori folium,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Dioscorea japonica, Lycii fructus, and Astragalus radix, on blood glucose, insulin levels, and serum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Streptozotocin (STZ) induces a type 1 diabetes mellitus in rats. Type 1 is usually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islet cell autoantibodies (ICA), autoantibodies to insulin (IAA), and autoantiboides to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which identify the autoimmune process that leads to $\beta-cell$ destruction. Thirty-five male Sprague-Dawley (SD) rats weighing $150\sim170g$ each (6 weeks 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one control (Group A) and 4 STZ-induced diabetic groups, and were subjected to one of the following treatment for 12 weeks. Groups A and B were fed basal diets and Group C, D, and E received the same diets as groups A and B, but with supplements of 150 mg/kg, 300 mg/kg, and 600 mg/kg of BG515 orally for 12 weeks, respectively. Diabetes was induced in Groups B, C, D, and E by intravenous injection of 45 mg/kg of STZ per body weight in sodium citrate buffer (pH 4.5) via the tail vein. In the BG515 groups, we found increases in serum insulin levels,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but these data were not significant. In contrast, blood glucose and serum MDA concentrations decreased in the BG515 groups compare to the STZ-control group. At the 5th week, in all the BG515 administered groups, there were decreases in serum blood glucose levels compared to the STZ- control group, and this activity was very strong in the BG515-1 group at the 12th week.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tural bio-complex compounds (BG515) may slightly suppress STZ-induced changes in serum MDA concentration via the maintenance of serum insulin levels, due to the prevention of $\beta-cell$ and glucagon destruction by STZ.

  • PDF

쥐치아 치근면의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MTT검색법의 적절성에 대한 조직학적인 검증 (THE VERIFICATION OF THE MTT ASSAY ON THE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AL CELLS IN RAT MOLARS THROUGH THE HISTOLOGIC EXAMINATION)

  • 김현기;김의성;최인복;김진;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385-39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iability of PDL cells in rat molars by using MTT assay and to verify the MTT assay through the histologic observation. Thirty of Sprague-Dawley white female rats of 4-weeks old with a body weight of about 100 grams were used. Groupings are as follows : Immediate Group : Positive control group(n=10)-after extraction immediately. Dried Group : Negative control group(n=10)-after drying for an hour under warm dry. $ViaSpan^{\circledR}$ Group : 1hour $ViaSpan^{\circledR}$ group(n=10)-after storing in $ViaSpan^{\circledR}{\;}at{\;}4^{\circ}C$ for 1hour. Ten teeth of each group were treated as same as above and replanted to the original socket of experimental animals. After two weeks of replantation. all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after fixation, extracted maxillary jaw was dimineralized. After it was embedded in paraffin. serial section by $5\mu\textrm{m}$ was carried out and for construction of specimen, hematoxylin-eosin dye was used. The mean MTT measurement of immediate group(positive control) is 2.81 and the mean measurement of dried group(negative control) is 0.98 which is significantt differnt(P<0.05), The mean measurement of $ViaSpan^{\circledR}$ group is 2.65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ried group and $ViaSpan^{\circledR}$ group(P<0.05),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immediate group and $ViaSpan^{\circledR}$ group. The average resorption points of immediate group is 3.03 points. In the dried group, average 6.44 points resorption and 2.68 points showed resorption in the $ViaSpan^{\circledR}$ group. Unlike with MTT ass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mediate group and $ViaSpan^{\circledR}$ group. The usage of MTT assay as a viable cell marker may give us a better indication of the maintenance of periodontal ligament cell vitality.

두록 품종에서 잔류사료섭취량의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Residual feed intake in Duroc pigs)

  • 송나래;김용민;김두완;사수진;김기현;김영화;조규호;도창희;홍준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1호
    • /
    • pp.147-153
    • /
    • 2016
  • 사료이용 측면에서 유지 및 성장에 필요한 섭취량과 체내에 이용되지 않은 섭취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체내에 이용되지 않은 섭취량을 잔류사료섭취량(Residual Feed Intake; RFI)이라 한다. 본 실험은 국내 종돈의 RFI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14년까지 태어난 Duroc종 8,696두의 검정자료를 활용하였다. 일당증체량과 RFI의 육종가 상관관계는 -0.2로 음의 상관으로 조사되었는데(P>0.01), RFI를 낮추면 일당증체량 개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회귀추정 방식에 따른 RFI1(일당증체량)과 RFI2(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의 유전력은 각각 0.37, 0.45로 고도의 유전력을 나타내었다. 향후 국내에서도 개체단위 사료섭취량 측정으로 추정된 RFI를 개량에 활용한다면 농가 수익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육성 암컷 흑염소 방목 야초지에서 사료가치, 사초 건물 수량 및 방목 강도의 계절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Feed Value, Forage Productivity, and Grazing Intensity at Native Pasture Grazed by Growing Korean Native Female Goat(Capra hircus coreanae))

  • 윤영식;성혜진;장치만;정상욱;이가을;박재현;장세영;이진욱;김관우;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0-125
    • /
    • 2018
  •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흑염소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 사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야초지의 이용성을 평가하고 흑염소 방목 사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평균체중 14kg 전후의 4개월 령 육성기 암컷 흑염소 10두로 방목실험을 실시하였다. 방목 시 보충사료는 체중의 1.5%로 추가 급여 하였으며, 물은 자유 급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야초지의 건물함량은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보고와 비슷하게 6월과 9월에 각각 $24.9{\pm}0.56%$, $24.4{\pm}0.89%$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함량 11%~12%를 유지하여 처리구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야초지의 사료가치는 일정수준으로 영양소 함량이 유지되었으나 계절별로 생산되는 야초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방목 시 사초생산성은 야초의 경우 대부분 C-4형 식물이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철인 6월부터 8월까지 생산성의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8월의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p<0.05). 8월 이후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봄철과 가을철에 급격하게 생산성이 저하되는 야초지의 특성을 보였다. 방목 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월별 방목 강도를 설정하였다. 계산된 방목 강도는 8월에 55두/ha 로 가장 높았으며,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인 9월에 21두/ha로 가장 낮았다. 평균 방목강도는 37두/ha로 이를 기준으로 보충사료의 양을 조절하여 방목 흑염소에게 부족하거나 과잉된 영양소 공급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염소 생산성의 계절별 변화는 증체량이 80.2 g/d 이었다. 방목구에서 안정적인 증체의 결과는 방목 후 추가로 농후사료를 보충급여 함으로써 흑염소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켰기 때문이며,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에 적절한 방목강도 조절과 필요 영양수준에 맞춘 보충사료를 급여 한다면 가축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야초지의 효율적인 활용기술 및 흑염소 방목기술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유기축산 및 산지생태축산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의 가당식품 섭취빈도에 따른 BMI, 식이섭취태도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Body Mass Index (BMI), Dietary Intake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according to Sugar-Containing Food Intake Frequency of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 안선정;김윤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49-1657
    • /
    • 2016
  • 본 연구는 경기 일부 지역 대학생 409명을 대상으로 국내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에 함유된 당을 섭취하는 빈도에 따라 나누고 이들의 체질량지수(BMI), 식이섭취태도, 가당식품 구매 시 고려하는 요인,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해보았다. 또한, 여러 변인들 중 가당식품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당식품을 조금 섭취하는 군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163.8{\pm}0.1cm$$52.9{\pm}8.6kg$이었으며, 보통 섭취군은 $164.4{\pm}0.1cm$$56.2{\pm}6.4kg$, 자주 섭취군은 $167.9{\pm}0.1cm$$68.0{\pm}15.7kg$으로 나타났는데, 체중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평균 BMI는 조금 섭취군이 $19.6{\pm}2.3$, 보통 섭취군이 $20.7{\pm}0.8$, 자주 섭취군이 $24.0{\pm}2.7$로 나타났으며(P<0.001), BMI 분포는 자주 섭취군이 다른 섭취군에 비해 과체중과 비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식이섭취태도 점수는 가당식품을 자주 섭취할수록 식이섭취태도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식이섭취태도 총 10문항 중 '고기, 생선, 달걀, 콩류 및 두부를 끼니마다 먹는다'(P<0.05), '과일이나 과일 주스를 매일 먹는다'(P<0.05)와 '하루 세끼 규칙적으로 식사한다'(P<0.01)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가당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군이 조금 섭취군에 비해 문항 점수가 낮게 나타나 첨가당의 선호와 불규칙적인 식사패턴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당식품을 구매 시 고려하는 요인 중 식품 및 영양표시의 확인 정도는 조금 섭취군이(P<0.001), 식품의 기호도는 자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가당식품 섭취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를 알아본 결과 1일 평균 에너지와 탄수화물 섭취 모두 자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한(P<0.05) 반면에 비타민 $B_1$과 비타민 C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BMI는 식품 및 영양표시 확인 유무(r=-0.306,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식품의 기호도(r=0.180,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식이섭취태도는 식품 및 영양표시 확인 유무(r=0.157, P<0.01), 식품의 기호도(r=0.104, P<0.05) 및 영양면(r=0.349,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성별, BMI, 식이섭취태도, 식품 및 영양표시 확인 정도, 식품기호도, 가격면 그리고 영양면의 변인들 중 BMI(${\beta}=0.551$, P<0.001)가 가당식품 선택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가당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군은 다른 섭취군에 비해 식이섭취태도 점수와 식품 및 영양표시 확인 정도가 낮지만 BMI와 식품의 기호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MI는 가당식품 선택 시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자주 섭취군에서 BMI가 높고 과체중과 비만율도 높게 나타난 점으로 미루어보아 당류의 무분별한 과잉섭취를 막기 위해서는 먼저 학생들의 적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영양소 섭취조절이 시급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영양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식사의 규칙성, 다양성, 올바른 간식의 선택 등 구체적으로 제시해주는 효과적인 실천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한편 본 연구는 표본의 대상이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이기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어 가당식품으로 비만이 유발될 수 있다고 설명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비만은 매우 복합적인 문제로 당류의 섭취가 계속적으로 증가되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비만을 비롯한 다른 질병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활동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7마일 등명기를 결합한 경량화 등부표의 운동 해석 (Motion Analysis of Light Buoys Combined with 7 Nautical Mile Self-Contained Lantern)

  • 손보훈;고석원;양재형;정세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28-636
    • /
    • 2018
  • 현재 운용되고 있는 대형 등부표는 대부분 철소재로 제작되어, 부식과 침식에 취약할 뿐 아니라 중량이 커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렵다. 또한, 주위를 항해하는 선박과 충돌시 등부표 및 선박의 구조적 피해는 물론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철소재 등 부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친환경, 경량화 재질을 사용한 등부표가 주목을 받고 있고, 최근 국내에서도 부체와 상부구조물에 각각 친환경 경량소재인 EPP(Expanded Polypropylene)와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한 경량 등부표가 개발된 바 있다. 등부표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복원성능 및 파랑중 (동적) 운동성능의 확보가 중요한데, 경량화 등부표는 기존의 철재 등부표와 중량 분포 및 운동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된 전원일체형 경량 7마일 등부표의 복원성능과 다양한 환경조건(파도, 바람, 조류)하에서의 운동성능을 평가하였다. 계류시스템을 고려한 운동해석에는 ANSYS사의 AQWA를 사용하였으며, 운동성능 추정의 정도 향상을 위하여 상용 CFD SW인 Simens사의 STAR-CCM+를 사용해 추정한 풍하중 및 조류하중을 운동해석에 사용하였다. 추정된 등부표의 유의운동의 최대값을 비교한 결과, 바람보다는 파도와 조류가 운동성능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며, 해상상태가 나빠질수록(Beaufort No. 3이상) 운동이 급격히 커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해상상태가 나빠지면서 불규칙 파 에너지 스펙트럼의 최대 주파수가 등부표의 고유주파수에 근접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대구.경북지역 뇌졸중 환자의 생활습관 및 식행동 특성 (Life Style and Eating Behavior of Stroke Patient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Korea)

  • 성수정;정두교;이원기;김유정;이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9-332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 뇌졸중 환자들의 생활습관 및 식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뇌졸중과 관련 있는 위험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민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처음 진단받은 입원 환자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을 환자군으로 하고 같은 기간 동안 뇌졸중 병력이 없고 환자군과 연령이 비슷한 지역 사회 주민 150명(남자 75명, 여자 7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조사는 일반특성, 생활습관, 식행동 특성, 식품섭취빈도, 식품 기호도 등의 내용을 포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자와 직접 면접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뇌졸중 환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 63.5세, 여자 69.9세였으며 일반 특성사항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은 BMI, 당뇨병 고혈압과 심장병의 유병율, 뇌졸중과 당뇨병 고혈압의 가족력과 시골 거주율이었고, 유의적으로 낮은 것은 교육수준이었다. 생활습관에서 전체적으로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흡연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녹차섭취와 규칙적 운동습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성별로는 남자는 흡연율과 규칙적인 운동 여부에서, 여자는 녹차섭취와 규칙적인 운동 유무에서 환자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행동 특성에서는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불규칙한 식사, 과식, 육식의 비율이 높았고, 충분히 씹는 습관과 한식 섭취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식품섭취빈도는 전체적으로 환자군은 식용유, 참기름의 섭취 빈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콩제품, 채소류, 버섯류, 해조류, 종실류, 생선 어패류, 올리브유, 두유, 녹차, 과일 주스의 섭취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식품 기호도에서는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닭고기, 계란, 볶음, 짠맛, 단맛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국류, 찌개류, 김치류, 해조류, 생선류, 우유 및 유제품, 콩유, 채소류, 과일류, 무침조리법의 선호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 높은 BMI, 당뇨병과 고혈압의 유병, 뇌졸중 가족력, 흡연, 과식과, 육식의 식습관은 뇌졸중의 위험인자로 나타났고, 규칙적 운동습관과 녹차 섭취, 음식을 충분히 씹는 습관, 한식의 섭취, 콩 제품과 채소류, 버섯류, 해조류 생선 어패류, 두유, 녹차의 잦은 섭취가 보호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선행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생활습관이라 생각된다. 또한 녹차의 섭취와 금연, 규칙적인 운동은 남녀 모두에서 뇌졸중을 예방하는 좋은 생활습관이며 규칙적인 식사와 과식금지, 충분히 씹는 습관, 단 음식의 절제, 채식과 육식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섭취하는 것, 조리법으로는 무침, 초무침을 선택하는 것이 뇌졸중을 예방하는 좋은 식습관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