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arding high school student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2초

경기지역 일부 고등학교 기숙사생의 급식 메뉴 만족도와 기호도 (Survey on Menu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of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 신성민;배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7-357
    • /
    • 2010
  • This study was assessed the menu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of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in Gyeongggido.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surveys given to 300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a total of 274 were usable.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using the SAS package program (version 8.2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54.0% of respondents were freshman and 46.0% were sophomores: and 52.9% of respondents were male and 47.1% were fema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enu satisfaction survey, males and females significantly differed on appropriate food temperature, freshness of food, harmonic combination of menu, menu variety, quality of ingredients, appearance of food, and frequency of supplied nutrition inform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menu satisfaction was also found between grade level. First grad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than second grade students. Moreover, menu preferences were significantly high for omelet-rice, fried rice, pork-on-the-bone soup, deep-fried chicken, fruit salad, spicy chinese cabbage salad kimchi, chinese cabbage kimchi, and all desserts. On the other hand, pumpkin and rice porridge, beef and rice porridge, barley rice, soft tofu stew, soybean paste soup, braised japanese spanish mackerel, and sauteed squash were not significantly preferred.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menu preferences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grade, and boarding period.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provide dieticians information for improving menu planning. In addition, foodservice satisfaction of the boarding school students can be improved by continuous menu improvement.

강원지역 고등학교 기숙사생의 성별 및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식습관 분석 (Analysis of Dietary Habits of Boarding High School Students in Gangwon According to Gender and Stress Levels)

  • 이미남;이해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8-5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etary habits of boarding high school students in Gangwon based on gender and stress level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71 boarding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cted from 491 students from June 28 to July 20, 2011. The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SPSS (ver. 19.0)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X^2$-test. The mean stress score was 23.7 out of 40, and male's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s (p<0.05). The rates of having daily breakfast and dinner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der (p<0.01), and the regularity of lun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ress level (p<0.05). Female students consumed less flour based foods (p<0.01), carbonated drinks (p<0.01), juices (p<0.05) and functional drinks (p<0.01) than male students, but male students consumed less cookies and breads (p<0.01). Dietary habits that boarding high school students should improve were an unbalanced diet (38%), too much intake at once (17%) and prejudice against foods (11%), and their primary value in dietary life was preference (33%), followed by staving off hunger (18%) and pleasure (18%). The average level of interest in dietary life was 2.46 (on a Likert-type 3-point scale)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female students (2.53) than male (2.40) (p<0.05). About 54% of students washed their hands before a meal when they thought of it, but only 25% of students always scrubbed up. The regularity of breakfast and dinner, frequency of snack intake, dietary habits that need to improve, intrest in dietary life, and washing hands before me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but not by stress levels.

거주형태에 따른 충북지역 여대생의 식행동 비교 (Dietary Behavior by Residence Typ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Area)

  • 정은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15-123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dietary behaviors based on residence typ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 reports on dietary behavior and one-day dietary records were obtained from 227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anonymous questionnaire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0.4{\pm}1.43$, and the height and weight were $162.5{\pm}4.8cm$ and $52.3{\pm}7.9kg$, respectively, The dietary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was inadequate, showing indifference to dietary balance, irregularity of meals, skipping breakfast, and high experience of drinking. One-day dietary records were obtained from 24k recall methods also showed a high number registering skipped meal status ($55.3\%$) and less diverse food intake (DVS, 12.5; DDS, 3.93). The students in self boarding residence were especially more likely not to eat properly and their dietary behavi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oor. In the case of home residence, food intake frequency scores for milk and dairy products, fruits, and fishes were significantly higher, however the students in self boarding residences showed high food intake frequency scores in salted food, retort food, canned food, and especially instant ramyun. Therefore, more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them to recognize the problems in their own dietary behaviors and more practical nutritional supports, like developing a menu for breakfast in college cafeterias, would be helpful to improve their dietary choices.

  • PDF

팀 기반 토의 수업에서 의사소통능력, 사회연결망 중심도, 토론성과 및 온라인 게시활동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y, Social Network Centralities, Discussion Performance, and Online Boarding Activity in the Team Based Learning)

  • 허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08-11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y, social network centrality(trust centrality and knowledge sharing centrality), discussion performance, and online boarding activity in the team based learning situation. For investigating this topic, 44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e classe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y, social network centrality, discussion performance, and online boarding activity, compared t-test and path analysis are us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 Communication competency i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eam based learning. (b) Trust centrality effects significantly on the knowledge sharing centrality. (c) Knowledge sharing effects significantly on discussion performance. (d) Trust centrality effects on the online boarding activity in the team based learning.

부산지역 기숙사 고등학생들의 급식만족도 조사 (Satisfaction of Foodservice in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in Busan)

  • 윤나영;최희선;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733-1740
    • /
    • 2015
  • 본 연구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부산지역 4개교의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7월 약 10일간 급식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기숙사 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 학생 중 각 끼니별 식사를 매일하는 학생은 아침 83.8%, 점심 96.9%, 저녁 93.6%이며, 아침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매일 먹는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식사 섭취량은 '거의 다 먹는다'가 아침은 53.2%, 점심은 86.6%, 저녁은 87.5%이며, 아침과 저녁 섭취량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점심 섭취량은 1학년이 2, 3학년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음식을 남기는 이유는 '싫어하는 음식이어서'(33.9%)와 '맛이 없어서'(23.5%)였다. 급식만족도의 전체 평균 점수는 4.04점이며, 음식 영역 3.95점, 서비스 영역 4.03점, 위생 영역 4.16점이었다. 성별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 평균 점수는 1학년이 3학년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음식 영역은 1학년이 2, 3학년보다 유의적으로(P<0.01)으로 높았으며, 서비스 영역은 1학년이 3학년보다 유의적으로(P<0.05)으로 높았다. 각 끼니별 만족도는 아침 3.15점, 점심 4.04점, 저녁 4.12점이며, 각 끼니에서는 아침과 저녁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학년별로는 1학년(4.03점)이 2학년(3.79점), 3학년(3.60점)보다 유의적으로(P<0.01) 높았다. 각 끼니별 선호 식단에서 아침은 한식 70.3%, 양식 16.0%, 점심은 한식 32.8%, 양식 35.6%, 중식 11.5%, 저녁은 한식 35.9%, 양식 32.8%, 일품식 14.0%였다. 남학생의 아침 선호 식단은 한식 60.7%, 양식 20.7%, 여학생은 한식 76.5%, 양식 12.9%이며 유의적(P<0.01) 차이를 보였는데, 점심과 저녁의 경우 남학생은 한식을 더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점심에 양식을 선호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학년별로는 3학년이 매끼 식사에서 한식을 더 선호한 반면, 1학년은 점심식사에서 한식보다 양식을 더 선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숙학생들의 급식섭취 횟수를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선호 식단 고려, 급식실의 위생적 관리, 메뉴의 다양성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 성관계, 성교육 경험 및 피임실천의 추이: 2006년에서 2019년까지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자료 (Trends in Sexual Intercourse, Sex Education Experience, and Contracep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Based on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06 to 2019)

  • 장인순;최은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9-88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14 years of trends in sexual intercourse and sex education experiences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2006 to 2019, based on online data. Methods: The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raw data of the 2nd (2006) through 15th (2019)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data of 504,105 male adolescents and 473,053 female adolesc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 complex-sample cross-analysis (Rao-Scott χ2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exual intercourse, sex education experience, and contraception over time,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sexual intercourse. Results: Sexual intercourse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year progressed. More high school students had sexual experience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who had ever smoked or drunk were more likely to have had sexual intercourse than the ones who had not. Students living with relatives or living in boarding houses or dormitories showed a higher rate of sexual intercourse than those living with family members. Students who never received sex education also showed a high rate of sexual intercourse.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o grasp the trends in sexual intercourse, sex education experience, and contraception among adolescents over time. Providing adolescents with healthy sex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every year and health-related education including sex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 of teenager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regular curriculum.

제주지역 고등학생의 기숙사급식 만족도 및 급식메뉴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foodservice satisfaction and menu preference of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in Jeju)

  • 김경자;채인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1호
    • /
    • pp.77-88
    • /
    • 2014
  • 본 연구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제주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기숙사급식 만족도와 급식에서 제공되는 메뉴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기숙사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고 기숙사 급식의 질적 향상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성별은 남자가 71.1%, 학년은 2학년 46.0%, 기숙사 거주기간이 2~3학기인 학생이 45.3%, 월평균 용돈은 3만원 미만이 39.0%, 동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이 68.3%로 나타났다. 방학 중 외식횟수는 한 달에 1~2회가 51.4%, 부모가 맞벌이를 하는 학생은 73.7%,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이 46.9%,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60.3%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기숙사급식 만족도에 있어서는 메뉴 품질에 대한 만족도 (3.26)보다 서비스 및 위생에 대한 만족도 (3.46)가 높았고, 메뉴 품질에 있어서는 주식 (밥)의 양 (3.70), 음식의 온도 (3.50), 음식의 신선도 (3.42), 음식의 맛 (3.14)의 순으로, 서비스 및 위생에 있어서는 급식 정보 제공 (3.66), 식당 분위기(3.53), 급식 위생 (3.48), 식사질서 지도 (3.43), 원활한 배식 (3.34), 조리종사자의 친절도 (3.33)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끼니별 급식 만족도는 저녁식사 (3.70), 점심식사 (3.50), 아침식사 (3.1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있어서는 아침식사의 경우 여학생의 만족도 (3.36)가 남학생의 만족도 (2.93)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1). 조사대상이 기숙사급식에서 제공받은 음식의 섭취량을 끼니별로 분석한 결과 저녁식사 (3.70), 점심식사 (3.50), 아침식사 (3.14)의 순으로 나타났고 점심식사와 저녁식사는 남학생의 섭취량 (각 4.12, 4.17)이 여학생 (각 3.72, 3.76)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p < .001).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기숙사급식에 대한 개선점에 있어서는 맛의 향상 (43.4%), 메뉴의 다양성 (31.0%), 배식량 증가 (17.4%), 급식위생 (3.8%), 급식환경 (3.3%)의 순으로 응답율을 보였고 남학생의 경우 맛의 향상 (49.2%), 메뉴의 다양성 (28.7%), 배식량 증가 (14.9%), 급식환경 (4.6%), 급식위생 (1.3%)의 순으로, 여학생은 메뉴의 다양성 (36.6%), 맛의 향상 (29.3%), 배식량 증가 (23.6%), 급식위생 (8.1%), 급식환경 (1.6%)의 순으로 나타났다 (p < .001). 조사대상의 주식류에 대한 기호도는 면류 (4.06), 일품음식류 (3.92), 밥류 (3.66)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밥류에 있어서는 검정쌀밥 (3.80), 일품음식류는 볶음밥 (4.05), 면류에 있어서는 스파게티 (4.21)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 및 찌개류에 대한 기호도는 갈비탕 (4.10), 김치찌개 (3.99), 된장찌개 (3.92), 순두부찌개 (3.79), 육개장 (3.78)의 순으로 나타났고 동태찌개 (2.72)와 북어국 (2.61)은 보통 이하의 기호도를 보였다. 조사대상의 부식류에 대한 기호도에 있어서는 찜류 (3.95), 튀김류 (3.87), 볶음류 (3.57), 김치류 (3.54), 구이류 (3.49), 조림류 (3.27)의 순으로 나타났고 무침류는 3점 미만인 2.89를 나타내 보통 이하의 기호도를 보였다. 메뉴 아이템에 있어서는 갈비찜 (4.24), 닭튀김 (4.23), 닭볶음 (4.19), 돈까스 (4.17), 탕수육 (4.10), 돼지고기볶음 (4.04)의 순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5점 만점에 대해 4점 이상을 나타냈으며, 콩조림 (2.94), 시금치무침 (2.94), 애호박무침 (2.89), 느타리버섯볶음 (2.84), 생선구이 (2.81), 마늘쫑무침 (2.69), 취나물무침 (2.67), 청경채 겉절이 (2.71), 톳무침 (2.65), 생선조림 (2.63), 건파래 무침 (2.59)은 5점 만점에 대해 3점 미만을 나타내 보통 이하의 기호도를 보여 생선이나 채소류보다 육류를 이용한 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후식류에 있어서는 쥬스류의 기호도 (4.52)가 가장 높았고 요구르트 (4.50), 생과일 (4.42), 빵류 (4.33), 우유 (4.08), 떡류 (4.0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빵류 (p < .05) 와 떡류 (p < .01)에 대해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메뉴 기호도는 기숙사급식 만족도 (r = 0.369), 메뉴 품질 (r = 0.348), 서비스 및 위생 (r = 0.344), 끼니별 급식 만족도 (r = 0.418), 제공된 음식 섭취량 (r = 0.220)과 정 (+)의 상관관계를 (p < .01), 기숙사급식 만족도는 메뉴품질 (r = 0.944), 서비스 및 위생 (r = 0.931), 끼니별 급식 만족도 (r = 0.707)와 다소 높은 정 (+)의 상관관계를 (p < .01), 메뉴품질은 서비스 및 위생 (r = 0.758), 끼니별 만족도 (r = 0.717)와 다소 높은 정 (+)의 상관관계를 (p < .01), 서비스 및 위생은 끼니별 급식 만족도 (r = 0.604)와 정 (+)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p < .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기숙사급식에의 의존도가 높은 기숙사생들이 영양적으로 균형 있는 음식을 섭취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병행되어야 하며 배식량 및 배식방법 등을 개선하고 다양한 조리법 및 이벤트 메뉴 등을 개발하는 등 학생들이 성장기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도박성 게임 경험이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ege Student Gambling Experience on the Gambling Problems)

  • 이옥희;서우순;남영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39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 gambling experience on the gambling problems. Methods: The study included 260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and collected data from March 1, 2018 to March 31, 201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3.0. Results: First, gambling experience showed high frequency among males (68.5%), 21 years of age and older (45.5%), boarding house (66.1%), and two or more siblings (40.5%). Second, the gambling problem based on the experience of gambl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ademic probl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gambling control. Third, the mental health of the subjects was highly correla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gambling recognition and academic problem. Also, academic problem was highly correlated in order of gambling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urth, effects of gambling experience on the gambling problems were identified as gambling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ambling awareness and mental health. Conclusion: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gambling problem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gambling problem, the government, communities and universities should actively promote the harmful effects of gambling and provide regular mental health. education at universities.

복합운동 강도가 기숙형학교 여고생의 신체조성, HOMA-IR 및 HbA1c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tensity of Combined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HOMA-IR and HbA1c of Female Students of a Boarding High School)

  • 권선옥;정선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4-132
    • /
    • 2010
  • B시 소재 기숙형특목고 K고교 학생 중에서 %fat이 30% 이상인 비만여고생 32명을 3그룹(운동군 2그룹, 통제군)으로 구분하여 1일 65분, 주 3회, 총 8주간 weight training (WT)과 step box training (SBT)을 조합한 복합운동을 A group은 WT 70-80%$RM{\times}3$ sets+SBT (RPE 11-13)${\times}1$ set로, B group은 70-80%$RM{\times}1$ sets+SBT (RPE 11-13)${\times}3$ set로 실시하여 신체조성(soft lean mass, %fat, WHR), HOMA-IR 및 HbA1c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자료처리는 집단 내는 paired t-test를, 집단 간은 측정 전 후의 변화율(%diff.)을 이용, one-way ANOVA (Duncan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조성에서, 집단 내의 SLM은 운동군은 증가하였으나 통제군은 변화가 없었고, WHR은 A group은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증가하였다. %fat은 운동군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증가하였다. 집단 간의 SLM은 A그룹이 B그룹과 통제군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고, WHR은 A, B그룹이 통제군보다 더 크게 감소하였고, %fat은 A, B그룹이 통제군보다 더 크게 감소하였다. HOMA-IR은 집단 내에서는 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A, B그룹이 통제군보다 더 크게 감소하였다. HbA1c는 집단 내에서는 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통제군은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에서는 A그룹이 통제군보다 더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운동을 할 때 유산소운동 형태보다는 저항운동의 비율을 높여주는 것이 신체조성과 대사관련 인자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복합운동의 강도는 WT의 비중을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조타실과 기관실 근무자의 뱃멀미 민감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sickness Susceptibility of Seafarer at the Wheel House and Engine Room)

  • 김득봉;김부기;임긍수;김홍렬;김창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2-48
    • /
    • 2014
  • 멀미는 구토 증상뿐만 아니라 현기증, 두통, 졸음, 피로감, 무기력증 등을 동반하여 선박운항자의 신체리듬과 판단능력을 저하시켜 해양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승선경험이 없는 조타실 근무자(실습항해사)와 기관실 근무자(실습기관사)를 대상으로 뱃멀미 민감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선박의 X, Y, Z축 방향에 대한 선체운동을 측정할 수 있는 선체운동계측장비(motion sensor)를 이용하여 선체의 운동을 계측하였고, 설문을 통해 조타실과 기관실 근무자의 멀미에 대한 증상 정도(VIR, VSR)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동일한 상황에서 조타실 근무자와 기관실 근무자간에 느끼는 멀미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멀미는 선체 움직임의 크기뿐만 아니라 움직임의 주기와도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X축과 Y축 방향 선체운동보다 Z축 방향의 선체운동이 멀미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Z축 이외 X축과 Y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조타실과 기관실 근무자의 안전과 선박의 거주성 및 승선감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