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tooth smart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폰 블루투스를 이용한 승강기 호출 지능형 IoT 시스템 제안 (Proposal of elevator calling intelligent IoT system using smartphone Bluetooth)

  • 김시연;노순국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1호
    • /
    • pp.60-66
    • /
    • 2024
  • 센서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면서 시작된 사물인터넷은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하면서 지능형 IoT로 발전되고 있다. 도심 고층 건물들은 승강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승강기는 층을 이동하며 화물 운반과 사용자 이동의 기능을 수행한다. 고층 건물이나 특수 환경(병원 등)의 승강기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대형 병원과 같이 신속한 환자 운송이 중요한 환경에서 병원 직원 및 환자용 승강기에 일반인들도 수시로 이용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골든 타임이 중요한 환자 이동 시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한 대기 시간은 큰 방해 요소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스마트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승강기 호출 지능형 IoT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스마트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승강기 호출 IoT 시스템을 실험하고, 실험결과, 승강기 사용자의 인증 및 불필요한 탑승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능형 IoT로 연계하는 승강기 호출 지능형 IoT 시스템을 제안한다.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모바일 컨트롤러 컨텐츠 개발 (Development of Software Mobile Controller Contents using Bluetooth Module)

  • 왕덕상;안주영;최선;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39-4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한 모바일 컨트롤러 컨텐츠를 제안 개발한다. 개발된 시스템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과 노트북과의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였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두 가지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클라이언트 측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요청하고 서버 측에서 응답을 허락하도록 하였다. 이전 페이지와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컨트롤이 가능하며, GUI 환경으로 구현하여 이용자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 개발된 방법은 가격, 기능 및 휴대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무선전력전송시스템 제어 기술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Control Methods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 장동원;조인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3-116
    • /
    • 2015
  • 본고에서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무선전력전송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블루투스는 근거리에서 데이터, 음성 신호 등 송수신하기 위해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송 데이터량이 적은 센서 제어 신호를 저전력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존 블루투스 프로토콜보다 단순한 구조의 블루투스 저에너지 프로토콜이 표준화되어 의료, 가전 등 생활과 밀착된 응용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도 제어를 위해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블루투스 저에너지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서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 PDF

NBAS: NFT를 활용한 블루투스 장치 인증시스템 (NBAS: NFT-based Bluetooth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 황성욱;손성무;정성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793-801
    • /
    • 2022
  •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대부분의 블루투스 장치는 무선이라는 편리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소형 무선기기라는 특성으로 자주 분실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블루투스 장치에서는 합법적인 소유자에 대한 인증 기능 제공이 미흡하며, 분실된 블루투스 장치를 습득한 제 3자는 해당 기기를 손쉽게 자신의 스마트기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실이 잦은 블루투스 장치에서 NFT를 이용하여 합법적인 소유자를 인증하는 NBAS(NFT-based Bluetooth Device Authentication System)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NBAS는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인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이더리움상에 디지털 지갑을 생성하고, 디지털 지갑에 블루투스 장치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고 보관한다. 지갑의 소유자는 개인키를 사용하여 NFT의 소유를 증명함으로써 블루투스 장치의 합법적인 소유자임을 인증하게 된다. NBAS는 평균 10.25sec의 초기 페어링 시간을 보였으며 재연결 시간은 0.007sec로 기존 방식과 비슷하며, 미승인 사용자에 대한 페어링 거절 시간은 평균 1.58sec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제안하는 NBAS는 미승인된 블루투스 장치의 연결을 방지하여 기존의 보안성이 약한 블루투스 인증 방식을 효과적으로 개선함을 보여준다.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블루투스 SPP를 이용한 키오스크 시스템 설계 (Kiosk System Design using Bluetooth SPP on Android Platform)

  • 남용수;김태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143-2148
    • /
    • 2011
  •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기반 기존의 키오스크는 단일 사용자에 의해 점유되고, 이러한 키오스크 시스템에 다중 사용자가 접근하기 위해서는 많은 대기 시간과 유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키오스크 서버를 위한 블루투스 프로파일 기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시스템에 블루투스 모듈과 AP를 장착하여 극장, 기차역, 은행,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oad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System based on LPWA and Bluetooth Beacon

  • Lee, Seung-Soo;Kim, Yun-cheol;Jee, Su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45-151
    • /
    • 2018
  • While commercialization of IoT technologies in the safety management sector is being promoted in terms of industrial safety of large indoor businesses, implementing a system for risk management of small outdoor work sites with frequent site movements is not actively implemen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which combined low-power, wide-bandwidth (LPWA) communication and low-power Bluetooth (B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support customized risk management alarm systems for each individual (driver/operator/manag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nable long-term low-power collection and transmission of traffic information in outdoor environment, as well as to implement an integrated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notifies a whole field worker who does not carry a separate smart device in advance. Performance assessments of the system, including risk alerts to drivers and workers via Bluetooth communication, the speed at which critical text messages are received, and the operation of warning/lighting lamps are all well suited to field application.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캐릭터와 연동되는 체감형 블루투스 기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typed Bluetooth Device interact with Android Platform-based Contents Character)

  • 박병섭;최효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27-135
    • /
    • 2014
  • 게임이나 오락 분야에서 많이 적용되어왔던 체감형 콘텐츠와 실감형 기기들은 각기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참여도나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으로 체감형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3축 가속도 센서와 진동센서를 갖는 체감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하는 인체 착용형 블루투스 기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개발된 체감형 인터페이스 기기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최적의 3축 동작성 및 기능성을 테스트하고 사용자 편리성을 가진 체감형 기기로서 유용함을 입증한다. 또한 블루투스를 통한 센서 데이터 전송 최적화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스마트폰 콘텐츠의 오동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블루투스 스마트 기반의 내비게이팅 시스템 (Application of Navigating System based on Bluetooth Smart)

  • 이영두;잔 사나 울라;구인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9-76
    • /
    • 2017
  • 블루투스 스마트로 알려진 Bluetooth Low Energy(BLE)는 초저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BLE 기반 디바이스들은 그 구성에 따라 하나의 코인셀(coin cell)로 몇 년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BLE는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기반으로 두 BLE 디바이스 사이의 근사적 거리를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근거리 영역에서 GPS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밀도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BLE를 이용한 실제 내비게이션 테스트 베드를 구성하고 실외 근거리 영역에서의 동작을 검증한다. 검증 실험에서 BLE 기반의 비콘들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UUID) 전송하며,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는 이를 수신하여 거리값을 추출하고 UUID를 셀룰러 또는 와이파이 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UUID에 바인딩된(binding) 관련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피드백하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는 추출된 거리값과 함께 주변 정보 및 지도상에서 사용자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BLE 기반의 내비게이팅 응용이 실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시스템이 실내 내비게이션으로도 충분히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기반 근거리 SNS (Android based Local SNS)

  • 이충렬;안병구;안홍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93-98
    • /
    • 2010
  • 최근들어 급격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는 사용자도 같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근거리 SNS 시스템을 제안 개발한다. 제안 개발된 시스템의 주요한 특징과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 개발된 SNS 시스템은 사용자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다른 사용자를 주변검색을 하며, 친구추가가 되면 웹/DB로 SNS 서비스를 할 수 있게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한다. 둘째, 안드로이드 전체의 기본적인 UI를 변경하지 않는 선에서 제작을 하여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도 거부감이 들지 않고, 최대한 직관적이면서 사용하기 쉬운 접근 방법을 가지고 디자인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평가는 OPTIMUS-Q/ANDROID 2.1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성능평가 결과 안드로이드 기반 블루투스로 주변검색을 함으로써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접속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였다. 현재 제안된 시스템의 효과적인 성능 향상 지원을 위해서 안드로이드에서 블루투스의 오토페어링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통합 무선 네트워크 접근 OBD-II 커넥터 구현 (Integration wireless network approach OBD-II connector for read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 백성현;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306-1311
    • /
    • 2013
  • 차량 운전자는 안전을 위해 항상 자신의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파악하는 것이 필수이다. 운전자가 자동차의 상태를 알려고 하면 자동차 네트워크인 OBD-II와 연결되는 OBD-II 커넥터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시간 제어 데이터를 이용해 자동차의 상태를 알 수 있다. 하지만 OBD-II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커넥터는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블랙박스, EDR등)에 연결되는 통신 연결 방식이 각각 다르다. 차량 운전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다른 장치(안드로이드->아이폰, 아이폰->안드로이드 등)으로 바꾸게 되면 커넥터 또한 바뀌어서 새로 구매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 하고자 각 장치에서 대부분 사용되어 지는 Bluetooth와 Wifi, WCDMA 모듈을 통합하여 사용자가 1개의 리더기 만으로도 어느 장치에서든지 OBD-II네트워크에서 자동차 실시간 제어 데이터를 알 수 있는 OBD-II 네트워크의 리더를 위한 통합 하드웨어를 구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