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ming period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3초

수화를 형성하는 Mallomonas elongata (Synurophyceae) 의계절적 변동과 증식 특성에 대한온도와 pH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 on Seasonal Chang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 Bloom Forming Mallomonas elongata (Synurophyceae))

  • 이경락;김진희;윤호성;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38권4호통권114호
    • /
    • pp.503-509
    • /
    • 2005
  • 작은 부영양 저수지에서 수화를 형성하는 Mallomonas elongata의 계절적 변동(2004년 10월-2005년 9월)과 온도와 pH에 대한 증식 특성을 실험실 배양을 통해 조사하였다. 수온 12-$18^{\circ}C$, pH8.4-9.5의 범위를 나타낸 3월 말에서 4월 초의 짧은 기간 동안 M. elongata의 심한 bloom (최고 17,600 cells $mL^{-1}$이 발생하였다. 이 저수지로부터 분리한 M. elongata의 batch culture를 통한 다양한 온도에 대한 성장 반응은 bloom을 형성 하였을 때의 저수지 수온과 유사한 $15^{\circ}C$ 에서 최대성장률을 나타내었다. 반면 pH에 대한 증식 특성은 bloom 형성기의 저수지 pH 범위 보다 낮은 pH 6에서 최대 성장률을 나타내었다.

전남광양지구(全南光陽地區)의 밤나무 품종별(品種別) 개화기(開花期) 및 과실(果實)의 숙기(熟期)와 중량조사(重量調査) (On flowering and maturing times of fruits and weight of seed by varieties of chestnuts in southern Korea)

  • 김태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6-42
    • /
    • 1963
  • 본조사(本調査)의 내용(內容)을 다음과 같이 적요(摘要)한다. 1. 1960년(年) 및 1961년(年) 양년(兩年)에 걸쳐 전남(全南) 광양군(光陽群) 옥용면(玉龍面) 추동(秋洞)에 식재(植栽)되고 있는 율림(栗林)에 대(對)해서 개화기(開花期) (시작(始作) 및 완료기(完了期)), 낙화기(落花期)(시작기(始作期), 완료기(完了期)) 및 과실(果實)의 성숙기(成熟期)를 조사(調査)한 내용(內容)을 보고(報告)한다. 2. 각품종(各品種)은 대체(大體)로 약(約) 26년생(年生)으로서 비교적(比較的) 토층(土層)이 깊은 갈색토(褐色土)에 생육중(生育中)인 것이다. 3. 평균(平均) 개화기(開花期)는 년도(年度)에 따라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없었다. 조기개화(早期開花)가 된 것에는 풍다마조생(豊多摩早生)(5월(月) 22일(日)), 대정조생(大正早生), 천견조생(淺見早生), 매평조생등(梅平早生等)이 있고 늦은 것에는 금북(今北), 마론데리아, 장광사(長光寺), 순천(順天) 109호(號), 미농(美濃), 내산(內山), 안근(岸根), 방토율(傍土栗), 상피(霜被), 장병위(長兵衛), 대전(袋田), 고금(古錦), 정월(正月), 편산(片山), 후락(後落), 옥성율(玉城栗), 소서율(小西栗)이 있다. 4. 낙화기(落花期)의 조만(早晩)은 개화기(開花期)의 그것과 대체(大體)로 정(正)의 상관(相關)을 갖이고 있었다. 개화상태(開花狀態)는 약 10~12일(日) 계속된다. 5. 개화기(開花期)(또는 낙화기(落花期))는 견과(堅果) 성국기(成熟期)에 직선적(直線的) 상관(相關)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6. 소립종(小粒種)의 대표(代表)는 을종(乙宗), 방토율(傍土栗)이 있고 풍은(豊銀), 편산(片山), 대원조생(大原早生)은 대립종(大粒種)에 해당한다.

  • PDF

예보모델과 GIS를 기반한 대청호의 남조류 발생에 대한 조기예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arly Forecasting System using GIS and Prediction Model related to the Cyanobacterial Blooming in the Daecheong Reservoir of Korea)

  • 김만규;박종철;김광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102
    • /
    • 2007
  • 대청호와 같이 규모가 큰 인공호수에서의 유해조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물 화학적 연구와 더불어 GIS, RS 기술을 활용하는 지역분석 전산시스템의 개발도 필요하다. 이 논문의 목표는 대청호에서의 유해조류 생산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남조류의 발생에 대한 예보모델을 개발하고 GIS를 기반으로 한 남조류 발생 조기예보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청호에서의 남조류 발생과 환경인자와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남조류 예보모델 개발을 위해 사용할 환경인자로서 강수와 기온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환경인자와 남조류 발생과의 정성적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청호의 남조류발생을 수역별로 예측할 수 있는 Rump 모델을 개발하였는데, 이 예보모델은 남조류의 최초발생시기와 급성장시기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개발된 예보모델은 GIS를 기반으로 한 남조류 대발생 조기예보시스템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대청호에서의 남조류 대발생을 예측하고 관련 자료들을 관리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이 개발되었다.

  • PDF

낙동강 하류원수에 적합한 여과지의 여재구성 (The adaptive filter configuration for down stream of Naktong river)

  • 김상구;류동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5호
    • /
    • pp.481-488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riations of headloss rate and of specific deposit to depths with effective size of media and configuration of filter layer during algae blooming period. 0.51mm size media was disqualified because most of headloss occurred rapidly below 5cm from surface layer however 0.91mm size media acted deep filtration more than 20cm from top, as result 0.91mm sixte media filter had 2~3 times longer filtration time than 0.51mm sixte media filter, but 0.91mm size media have break-through potentiality. multi-layer filter with 1.02mm anthracite and 0.51mm sand had large deposit volume in upper layer that could longer filtration time, moreover smaller media in lower layer that could protect break-through.

  • PDF

Monitoring of Algal Bloom at Seomjin River Estuary, Southern Coast of Korea

  • Yoo, Jong-Su
    • ALGAE
    • /
    • 제18권4호
    • /
    • pp.361-363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eomjin River estuary to identify the causative species of algal bloom and their blooming cycle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4 stations in every week from April to December of 1999. Thirty species were observed as the causative species of alga bloom.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 and microflagellate spp. (mixed red tide: Chroomonas sp. and two species of Prasinophycea) made algal blooms during the present study period. In addition, toxic algal species of diatom Pseudo-nitzschia multiseries and dinoflagellate Dinophysis acuminata were observed. The algal blooms were caused by microflagellate spp. in June, Thalassiosira sp. in July and Skeletonema costatum in August. Generally, the algal blooms persisted for about 5 days in this area.

HIGH QUALITY IMAGE ACQUSITION METHOD USING DUAL PANCHOMATIC CHANNEL

  • Chang, Young-Jun;Kim, Jung-A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203-206
    • /
    • 2007
  • The Space-borne electro-optical camera system has panchromatic redundant image channel as well as primary channel in order to increase reliability of satellite system. In most case redundant channel never been used during the whole mission period. Staggered array configuration using redundant image channel and new operation mode proposed which operates primary and redundant channel simultaneously. Without new hardware design, fast electronics and system complexity, we can get 1.414 times more fine GSD image of original system or we can get 1.414 times more SNR or High dynamic range imaging mode. In this paper we deal with several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s using dual panchromatic channel.

  • PDF

최근의 봄꽃 개화 추이와 2014년 개화시기의 혼란 (Recent Trends in Blooming Dates of Spring Flowers and the Observed Disturbance in 2014)

  • 이호승;김진희;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6-402
    • /
    • 2014
  • 한반도의 봄철은 산수유, 매화, 목련, 진달래, 개나리, 벚꽃, 철쭉 등 다양한 꽃이 순차적으로 개화하는 동적인 경관을 특징으로 한다. 덕분에 지자체들은 봄꽃축제를 통해 관광수입을 올려왔으며, 봄꽃을 따라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는 양봉업자는 장기간에 걸쳐 밀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봄꽃 개화일의 지역 간 차이와 화종 간 차이가 동시에 줄어들어 계절경관의 경제적, 공익적 가치가 훼손되고 있다. 대표적인 봄꽃인 개나리와 벚꽃의 개화일을 60년 이상 관측해온 6개 기상관서의 자료에 의하면, 먼저 피는 개나리와 늦게 피는 벚꽃의 개화일 편차가 1951-1980 평년에는 최장 30일, 평균 14일이었지만, 1981-2010 평년에는 최장 21일, 평균 11일로 단축되었다. 특히 2014년에는 7일로 단축되어 같은 장소에서 벚꽃과 개나리를 동시에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부산에서 서울까지 벚꽃전선이 이동하는 데 1951-1980 평년의 경우 20일이 소요되었으나 1981-2010 평년에는 16일로 줄었으며, 2014년에는 6일로 좁혀졌다. 같은 기간 개나리전선은 20일${\rightarrow}$17일${\rightarrow}$12일로 단축되었다. 두 봄꽃의 개화일이 근접해진 이유는 휴면해제 직후 이른 봄의 완만한 기온상승에 비해 늦은 봄의 급격한 기온상승으로 대표되는 한반도의 최근 기후변화양상이 일찍 피는 개나리보다 늦게 피는 벚꽃의 개화를 더욱 앞당겼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지난 60년간 자료로부터 온도시간을 기반으로 개화에 소요되는 고온요구량을 지점별로 도출하여 2014년의 개나리와 벚꽃 개화일을 추정한 결과 평방근오차 2일 이내의 좋은 성적을 얻었다.

밀원수종 쉬나무 수꽃과 암꽃의 화밀분비량, 당 함량 및 아미노산 분석 (Analysis of Secreted Nectar Volume, Sugar and Amino Acid Content in Male and Female Flower of Evodia daniellii Hemsl)

  • 김문섭;김세현;송정호;김혜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43-50
    • /
    • 2014
  • 본 연구는 밀원수종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쉬나무를 대상으로 수꽃과 암꽃의 화밀 분비량, 당 함량 및 아미노산을 분석하고 수확할 수 있는 꿀의 양을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기도 화성시의 2012년 쉬나무 수꽃의 개화 최성기는 7월 24일부터 26일이었으며, 평균 화밀분비량은 $2.73{\pm}0.73{\mu}L$, 화밀 당도는 17.4%를 나타냈다. 2012년 암꽃의 개화 최성기는 8월 7일부터 9일이었으며 평균 화밀분비량은 $0.63{\pm}0.49{\mu}L$, 화밀 당도는 25.7%를 나타냈다. 기상인자와 상관분석 결과, 화밀 분비량과 화밀 당도는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꽃 한 개당 당 함량을 산출한 결과, 수꽃은 $48.0{\pm}5.2{\mu}g$, 암꽃은 $37.8{\pm}8.7{\mu}g$으로 분석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Mann-Whitney's U-test, p=0.400). 이러한 당 함량을 가지고 수꽃 1개 화서에서는 최소 67.8 g, 암꽃 1개 화서에서는 최소 53.3 g의 꿀을 수확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아미노산 분석 결과, Serine, Glycine 및 Alanine은 수꽃에서 더 많은 함량이 검출된 반면, Asparatate, Glutamate, Asparagine 및 Glutamine은 암꽃에서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내어 수꽃과 암꽃에서 7개의 아미노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