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glucose concentration

검색결과 652건 처리시간 0.03초

고지방식이와 STZ 유도 제2형 당뇨 마우스에서 새싹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Sprouts in High-Fat Diet and Streptozotocin-Induced Type II Diabetes Mellitus Mice)

  • 이현서;강현주;전인화;염정호;장선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58-166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와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제2형 당뇨 마우스에서 새싹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살펴보았다. 제2형 당뇨 유도 후 4주 동안의 체중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새싹추출물군과 메트포민군에서 유의한 체중 감소 변화가 나타났으며, 식이섭취량에 따른 변화는 모든 실험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공복혈당은 고지방식이군의 경우 실험종료일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이와 대조적으로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의 경우 실험 2주째부터 감소하여 실험 종료 4주째에서는 고지방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구 내당능 검사는 포도당 섭취 후 60분, 90분, 120분에서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이 고지방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인슐린 내성 검사는 120분에서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이 고지방식이군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혈중 지질 농도 변화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에서 증가하였다. 간독성의 지표인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와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효소 활성도는 메트포민투여군과 고지방식이군을 제외한 실험군들 간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 인슐린과 렙틴 농도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싹추출물은 제2형 당뇨 마우스에서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중지질 대사 이상을 조절하면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 혈당을 개선하므로 항당뇨 효과가 있는 우수한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HCB와 PCBs에 노출된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혈액성분의 변화 (Changes of Haematological Constituents in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Exposed to HCB and PCBs)

  • 조규석;민은영;강주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0-114
    • /
    • 2002
  • 유용 양식어류인 틸라피아를 대상으로 어체중당 1일 0.05, 0.25 및 0.50mg/kg의 HCB와 PCBs의 경 구투여에 의해 30일 동안 혈액성상 및 혈액화학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HCB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는 20일 이후 0.50mg/kg, 30일째는 0.25mg/kg의 농도, hemoglobin 농도와 hematocrit 값은 20일 이후 0.50mg/kg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PCBs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 hemoglobin 농도 및 hematocrit 값은 20일 이후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혈청 무기성분인 calcium, magnesium 및 inorganic phosphorus 농도는 HCB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PCBs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도 magnesium과 inorganic phosphorus 농도의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calcium 농도는 20일 이후 0.50mg/kg 농도, 30일째는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HCB의 경구투여에 의한 혈청 total protein 농도는 30일째 0.50mg/kg 농도에서,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해서는 20일 이후 0.25mgf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glucose 농도는 20일 이후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HCB 및 PCBs의 경구 투여에 의한 GOT와 GPT 활성은 20일 이후의 0.50mg/kg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혈액화학적 변동은 0.25 mg/kg 농도 이상에서 적어도 20일 후부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옥수수 가공형태와 RUP 수준이 전환기 젖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rn Processing and Rumen Undegradable Protein Levels on Performance of Holstein Cow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 김현섭;이종석;김용국;이왕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1001-1008
    • /
    • 2005
  • 본 연구는 젖소에서 곡류의 가공형태 및 RUP수준이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분만 전 3주부터 분만 후 3주까지 전환기 Holstein종 경산우 20두(4처리 5반복)에게 TMR 사료를 GCR30 (파쇄옥수수+RUP 30%), GCR40 (파쇄옥수수+RUP40%), FCR30 (후레이크옥수수+RUP 30%), FCR40 (후레이크옥수수+RUP 40%)로 하여, 건유기와 비유기로 구분하여 배합하여 급여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만전 사료의 건물 섭취량은 처리별로 평균 14~15kg이었으며, 건유기간 중 사료섭취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분만 후 건물섭취량에서는 RUP 40%에서 섭취량이 RUP30%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5). 유량은 RUP 40 % 사료를 급여한 구 (FCR40과 GCR40)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유단백질과 유지방을 분석한 결과, 유지방에 있어서는 옥수수 가공 형태인 후레이크와 파쇄처리에 따른 유의있는 결과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혈액 내 대사물질은 분만 전에 비하여 분만 당일의 수치가 모든 처리에서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분만전ㆍ후의 NEFA의 농도를 보면 모든 처리구에서 분만을 기점으로 상승하였으며, 특히 분만 후에 유량이 높았던 FCR40에서 NEFA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p<0.05). Glucose와 cortisol 수준은 포도당 농도에서 FCR40구의 건유기가 다른 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타 처리구간에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Insulin 농도에 있어서도 분만 전에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분만 후에는 타처리와 비교하여 FCR40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보여 주었다 (p<0.05). 이 시험에서는 옥수수의 가공형태보다는 동량의 단백질에 RUP 함량을 30 %에서 40 %로 증가시킴으로서 에너지, 단백질 이용 효율을 높여 젖소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경주에서 분리된 탄저균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n Bacillus anthracis isolated from Kyong-Ju)

  • 이준규;이은미;차우양;김정화;김영환;이양수;김우현;정종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56
    • /
    • 199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sults of B. anthracis isolated from Anthrax in the Kyong-Ju of Feb. 12. 1994. 1. In biochemical feature, B. anthracis was a gram-positive rod, non-motility, sporulation, capsulation. It was positive in gelatinase, starch hydrolysis, glucose. But negative in urease, arabinose, mannitol, xylose. 2. B. anthracis grew well on B4 Br A TSA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The organisim grew well on BA, Br. A, NA, TSA after incubation for 72 hours. The media grew well on Br A instead of BA. 3. On 5% blood agar by laboratory animal, ${\beta}$ -hemolysis was produced from 36 hours to 48 hours incubation. There was perfect ${\beta}$-hemolysis after incubation for 48 hours. On the other side ${\beta}$-hemolysis was begun on 5% goat blood agar after incubation for 60 hours. 4. In the test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B. anthracis was very sensitive to AM, CF, TE, ENR, GM, AN, DFX, S, P, TYLO, N, KM, C, E, Lins+Sp, NN, CC, CFP, CB were sensitive one by one. B. anthracis was no-sensitive to L, XNL, TIA, CL, SXT 5. B. anthracis had never sensitivity to direct inoculation of rat and chicken, after subcutanous inj. It was very sensitive to mouse and goat, hamster, guinea pig, rabbit had a sensibility one by one. 6. The dead laboratory animal which had been inoculated with B. anthracis preserved at $37^{\circ}C$ incubation, B. anthracis didn't cultivate on non-dissected animal after 80 hours but cultivate on dissected animal after 360 hours. 7. The rapidly death could cause high concentration, died from 420 after S. C. 8. The blood smeared samples of hamster from inoculation with B. anthracis, spore germinated In 37$^{\circ}C$ after 5 hours, in $32^{\circ}C$ after 6 hours, in room temperature after 9 hours, in $-4^{\circ}C$ to $-20^{\circ}C$ after 10 hours. 9. B, anthracis inoculated to laboratory animal after SC or PO. Mice and rats feces didn't cultivated with B. anthracis after SC, but did cultivated with B. anthracis after PO. 10. In the test of disinfectant, B. anthracis was high effective to $HgC1_2$, formalin, effect phenol, cresol, but non-effect NaOH, ethanol.

  • PDF

옻나무 추출액 섭취가 흰쥐의 혈중 지질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Ingestion Effec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on Blood Lipids and Antioxidant Defense in Mice)

  • 전병덕;이윤경;이수천;김판기;정남철;김병오;류승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478-484
    • /
    • 2008
  • 5주 동안 옻나무 추출액 섭취가 체중과 혈중 지질 성분, 항산화 능력 및 GOT, GP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4주된 ICR mouse 27마리를 대상으로 CON군, HALF군(50%)과 MAX군(100%)으로 나누어 5주간 옻나무 추출액을 섭취시켰다. 각 집단의 체중 증가는 MAX군이 CON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혈장 TG에서는 HALF군과 MAX군이 CON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FFA 농도는 MAX군이 CON군과 HALF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혈중 글루코스와 GOT와 GPT 수치에서는 세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간의 SOD가 CON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00 %의 옻나무 추출액 섭취는 체중의 감소와 혈중 지질성분변화 및 항산화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increasing levels of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on laying hens in barn system

  • Kang, Hwan Ku;Park, Seong Bok;Jeon, Jin Joo;Kim, Hyun Soo;Park, Ki Tae;Kim, Sang Ho;Hong, Eui Chul;Kim, Chan 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766-1772
    • /
    • 2018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reasing levels of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_n$) on the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arameters, blood biochemistry, intestinal morphology,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energy and nutrients in diets fed to laying hens. Methods: A total of three-hundred twenty 33-week-old Hy-Line Brown laying hens (Gallus domesticus) were evenly assigned to four experimental diets of 2,750, 2,850, 2,950, and 3,050 kcal $AME_n/kg$ in pens with floors covered with deep litter of rice hulls. There were four replicates of each treatment, each consisting of 20 birds in a pen. Results: $AME_n$ intake was increased (linear, p<0.05) with inclusion level of $AME_n$ in diets increased.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improved (linear, p<0.01), but hen-day egg production tended to be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level of $AME_n$ in diets. During the experiment, leukocyte concentration and blood biochemistry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total protein, calcium, aspar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transferase were not influenced by increasing level of $AME_n$ in diets. Gross energy and ether extract were increased (linear, p<0.01) as the inclusion level of $AME_n$ in diets increased. Conclusion: Laying hens fed high $AME_n$ diet (i.e., 3,050 kcal/kg in the current experiment) tended to overconsume energy with a positive effect 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but not on egg production and egg mass.

공급 사료에 따른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성장과 혈액성분의 변화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hemistry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Fed Extruded and Moist Pellet)

  • 박성덕;김재원;김병기;전중균
    • 환경생물
    • /
    • 제34권3호
    • /
    • pp.133-140
    • /
    • 2016
  • 본 연구는 EP사료와 MP사료를 공급한 강도다리의 성장과 혈액성분의 변화 조사를 통해 강도다리 양식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개시 전과 종료 후에 강도다리의 무안측 생체무늬를 사진 촬영하여 개체 인식 가능성을 확인한 바, 생체 무늬의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향후 강도다리를 비롯한 넙치류에서의 개체 인식 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증중량과 일간 성장률은 MP 사료 시험구가 EP사료 시험구보다 높았으며, 혈액성분 중 삼투압과 관련된 전해질 농도, 코티졸 농도, 간장 건강도 지표, 영양 지표 등은 시험구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공급 사료의 지질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MP사료 시험구의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가 높게 나타나, 증중량이나 일간 성장률이 높았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수온이 낮은 수역에 주로 서식하는 강도다리가 지질을 에너지원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사료 시험구에서 모두 일간 성장률이 큰 그룹이 낮은 그룹에 비해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가 높았던 것에 대한 상관성에 대해서는 향후 더욱 상세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diarrhea incide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odor emission in weaning pigs

  • Hongjun Kim;Haewon Shin;Yoo Yong Kim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8호
    • /
    • pp.1228-1240
    • /
    • 2023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CP)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diarrhea incide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odor emission in weaning pigs. Methods: A total of 240 weaning ([Yorkshire×Landrace]×Duroc) pigs (8.25±0.050 kg body weight [BW]) were assigned to six treatments based on sex and initial BW, with five replicates of eight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Experimental diets with different crude protein levels for early and late weaning phases were as follows: i) CP16,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16%/15% CP; ii) CP17,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17%/16% CP; iii) CP18,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18%/17% CP; iv) CP19,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19%/18% CP; v) CP20,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20%/19% CP; and vi) CP21,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21%/20% CP. Results: In the early weaning period, average daily feed intake increase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linear, p<0.05).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verage daily gain and the gain to feed ratio decreased when the dietary CP level increased (linear, p<0.01). Additionally, a decrease in dietary CP level resulted in a linear increase in final BW (linear, p<0.05). In the early and late weaning periods, blood urea nitrogen (BUN) decrease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linear, 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nine, glucose, total protein, triglyceride or insulin-like factor-1 levels over the experimental period. The concentrations of immunoglobulin A (IgA) and IgG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CP level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the early weaning period, fecal and urine N decrease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linear, p<0.01). No differences in nutrient digestibility among the treatments during the early weaning period were found.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in the weaning pig diet, the diarrhea incidence decreased linearly (linear, p<0.01).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in the weaning pig diet, ammonia, amines and hydrogen sulfide decreased linearly (linear, p<0.01). Conclusion: Reducing dietary CP could decrease diarrhea incidence, the concentration of BUN in serum and odor emission in manure. Furthermore, it could improve N excretion in feces and urine and growth performance in weaning pigs.

사료 내 항산화원으로서 커피박 첨가가 닭의 사양성적, 혈액생화학성상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ffee Meal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Broiler Chickens)

  • 고영현;강선영;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32
    • /
    • 2012
  • 본 연구는 커피박 첨가 사료가 육계의 사양 성적, 면역 장기 무게, 혈액성상 및 항산화 방어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설계로서 3일령 육계 162수를 각 처리구당 54수씩(n=6, 케이지당 9수) 대조군(CON), 커피박 0.5%(CM0.5) 및 1.0%(CM.0) 3 처리군에 완전임의 배치하여 35일령까지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커피박 분말은 육계 후기 사양 기간(2~35일령) 동안에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In vitro radical 소거능 분석(DPPH 방법) 결과, 커피박 추출물은 매우 높은 radical 소거능(RSA)을 보였다. 사양 시험 결과, 커피박 0.5 및 1.0% 참가 급여는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 비장 및 F-낭 등 면역 관련 장기 무게 역시 커피박 첨가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흉선의 무게는 커피박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증가되었다. 혈액 생화학 성상에서도 glucose, total protein, triglyceride, cholesterol 등은 차이가 없었으나, albumin은 커피박 첨가군에서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소장점막세포 및 간조직에서 SOD, GPX 및 GST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 및 GSH 함량은 커피박 첨가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세포의 microsome 조직에서 지질과 산화도(MDA)는 커피박 첨가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CM0.5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P<0.05)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0.5~1.0% 수준의 커피박 첨가 급여는 육계의 사양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여 체 조직에서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므로 육계 사료 내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양식 어류의 혈액 성분에 관한 연구 (Study of Serum Constituents in Several Species of Cultured Fish)

  • 전중균;김병기;박용주;허형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3-130
    • /
    • 1995
  • 우리나라에서 많이 양식하고 있는 주요 어종의 혈액 성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저수온기(수온 $127^{\circ}C$)에 월동중인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농어 (Lateolarax japonicus),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돌돔(Oplegnathus fasciatus)과 함께 냉수성 어종인 은연어(Oncorhynchus kisutch)를 각 5-6마리씩 마취시키지 않은 상태로 꼬리 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청 중의 총단백질(TP), 알부민(ALB),중성 지방(TG), 콜레스테롤(CHOL), 포도당(GLC), 리파제(LIPA),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인(P), 아미노산전이효소(ALT, AST) 등을 혈액분석기로 분석하였다. TP 농도는 2.9-5.1g/dl의 수준이었으며, ALB 농도는 1.2-l.9g/dl의 수준이었다. A/G 비는 은연어가 1.1 정도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는 0.5-0.6 정도로 비슷하였다. 지질 성분인 TG와 CHOL 농도도 어종에 따라 달라, 넙치는 TG 농도가 큰 대신에 CHOL 농도가 낮았으며, 농어는 반대로 TG농도가 낮은 대신에 CHOL 농도가 높았다. 두 지질 성분의 합은 넙치가 가장 많아 600mg/dl나 되었고, 농어나 조피볼락(약 400mg/dl), 돌돔이나 은연어(약 300mg/d1)의 순이었다. 혈당(GLC) 농도는 냉수성 어종인 은연어가 넙치에 비해 약 4배 가량 많아 61-76mg/dl이나 되었다. 한편 리파제(LIPA) 활성은 TG 농도와 정반대의 경향을 보여 은연어에서 가장 높았고, 넙치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무기질 중에서 Na, Cl과 K 농도는 160-204mmo1/l, 137-183mmol/l과 0.5-3.1mmol/l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P농도는 은연어나 조피볼락처럼 비교적 활동성이 강한 어종일수록 많았다. ALT 활성은 넙치가 가장 높았고, AST 활성은 은연어가 높았으며, AST 활성은 모든 어종에서 ALT 활성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