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선여, 이완주, 김현복, 김애정, 김순경. 1998. 뽕잎추출물이 콜레스테롤 투여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6): 1217-1222.
- 김인원, 신동화, 최웅, 1999a. 한약재로부터 선발된 옻나무 수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의 분리. 한국식품과학회지 31(3): 855-863.
- 김인원, 신동화, 백남인. 1999b. 옻나무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의 구조동정. 한국식품과학회지 31(6): 1654-1660.
-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II.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 나천수, 최범락, 추동완, 최원일, 김진범, 김현정, 박영인, 동미숙. 2005. 옻나무 Flavonoid 분획 투여가 정자생성 및 생식관련 장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독성학회지 21(4): 309-318.
- 박희준, 권상혁, 김갑태, 이경태, 최정혜, 최종원, 박건영. 2000. 옻나무 목질부에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의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징. 생화학지 21: 345-350.
- 박희준, 이경태, 박건영, 한갑이, 정민화, 최종원. 2002. 간섬유화 동물에서 옻나무 목부로부터 분리한 flavonoids의 독성 경감기전. 한국생명과학회지 12(3): 332-339.
- 송진욱, 민경진, 차춘근. 2008. 목향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4(1): 55-61. https://doi.org/10.5668/JEHS.2008.34.1.055
- 안은미, 박상재, 최원철, 최석훈, 백남인. 2007. 옻나무(Rhus verniciflua) 목질부에서 분리한 화합물의 항산화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50(4): 358-361.
- 유근영, 서혜영, 한규제, 정양모, 김경수, 홍광준, 유상하. 2007. 발효에 의한 옻나무 수피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4(3): 308-314.
- 임계택, 심재환. 1997. 옻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쥐 뇌세포에 대한 항산화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9(6): 1248-1254.
- 임계택, 이정채. 1999. 옻나무 추출물의 생리활성 이용에 대한 연구 : 옻나무 추출물의 생물학적 기능, 한국식품과학회지 31(1): 238-245.
- 전원경, 김정희, 이혜원, 고병섭, 김호경. 2003. 옻나무추출물이 식이에 의한 비만유도 C57BL/6 mouse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약학회지 34(4): 339-343.
- 정남철. 1998. 옻나무의 Urushiol과 Flavonoids의 생리활성.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정창호, 심기환. 2002. 목초액의 아질산염 소거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3): 351-355.
- 조영식, 정옥, 조정원, 이경애, 심정현, 김광수, 이홍수, 성기승, 윤도영. 2000. 옻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자국 경부암 바이러스 암 유발인자 E6와 E7의 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2(6): 1389-1395.
- 차재영, 조영수. 2000a. 식이성 고지혈증에 미치는 감자폴리페놀의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2): 273-279.
- 차재영, 조영수. 2000b. 옻나무 수피 추출물이 마우스의 지질농도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지 10(5): 467-474.
- 최원식, 김동길, 이영행, 김장억, 이성은. 2002. 한국산옻나무로부터 추출.분리한 생리활성 물질들의 항산화효과 및 세포독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5(3): 168-172.
- 최창순, 한동운. 2005a. 랫드에서 옻나무 추출액(Rhus-II)의 4주 반복 투여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 7-12.
- 최창순, 한동운. 2005b. 옻나무 추출액(Rhus-II)의 안전성에 대한 유전독성학적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 18-21.
- Kim, J.H., Kim, H.P., Jung, C.H., Hong, M.H., Hong, M.C., Bae, H.S., Lee, S.D., Park, S.Y., Park, J.H., and Ko, S.G. 2006. Inhibition of cell cycle progression via p27Kip1 upregulation and apoptosis inuction by an ethanol extra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in AGS gastric cancer cells. Int. J. Mol. Med., 18(1): 201-208.
- Hong, D.H., Han, S.B., Lee, C.W., Park, S.H., Jeon, Y.J., Kim, M.J., Kwak, S.S., and Kim, H.M. 2000. Cytotoxicity of urushiol isolated from sap of Korean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Arch. Pharm. Res., 22: 638-641. https://doi.org/10.1007/BF02975339
- Jang, H.S., Kook, S.H., Son, Y.O., Kim, J.G., Jeon, Y.M., Jang, Y.S., Choi, K.C., Kim, J., Han, S.K., Lee, K.Y., Park, B.K., Cho, N.P. and Lee, J.C. 2005. Flavonoid purified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actively inhibit cell growth and induce apoptpsis in human osteosarcoma cells. Biochim. Biophy. Acta., 1726(3): 309-316. https://doi.org/10.1016/j.bbagen.2005.08.010
- Jung, C.H., Jun, C.Y., Lee, S., Park, C.H., Cho, K. and Ko S.G. 2006.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s on HO-induced cytotoxicity in macrophage RAW 264.7 cell lines. Boil. Pharm. Bull., 29(8): 1603-1607. https://doi.org/10.1248/bpb.29.1603
- Jung, C.H., Kim, J.H., Hong, M.H., Seog, H.M., Oh, S.H., Lee, P.J., Kim, G.J., Kim, H.M., Um, J.Y., and Ko, S.G. 2007. Phenolic-rich fraction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RVS) suppress inflammatory response via NFkappaB and JNK pathway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macrophages. J. Ethnopharm., 110(3): 490-497. https://doi.org/10.1016/j.jep.2006.10.013
- Lee, J.C., and Lim, K.T. 2000. Screening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RVS) ethanolic extract. Food sci.d Biotech., 9: 139-145.
- Lee, J.M., Son, E.S., Oh, S.S., and Han, D.S. 200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es of edible plants. Kor. J. Diet. Cul., 16: 504-514.
- Lim, K.T., Hu, C., and Kitts, D.D.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a Rhus verniciflua Stokes ethanol extract. Food Chem. Toxicol., 39: 229-237. https://doi.org/10.1016/S0278-6915(00)00135-6
-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and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ntioxidation of pyrogallol and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3): 469-474. https://doi.org/10.1111/j.1432-1033.1974.tb03714.x
- Miller, W.C., Thielman, N.M., Swai, N., Cegielski, J.P., Shao, J., Ting, D., Mlalasi, J., Manyenga, D., and Iallinger, G.J. 1996.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testing in Tanzanian adults with HIV infeetion. J. AIDS Human Retrovirol. : Int. Retrovirol. Assoc., 12: 303-308 https://doi.org/10.1089/aid.1996.12.303
- Oh, P.S., Lee, S.J., and Lim, K.T. 2006. Hyperlipiemic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plant glycoprotein (36 kDa)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fruit in triton WR-1339-induced hyperlipidemic mice. Biosci. Biotech. Biochem., 70(2): 447-456. https://doi.org/10.1271/bbb.70.447
- Satoh K. 1978. Serum lipid peroxide in cerebrovascular disorders determined by a new colotimetric method. Clinica. Chimica. Acta., 90(1): 37-43. https://doi.org/10.1016/0009-8981(78)90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