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ing effect of UV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5초

자외선 차단을 위한 한지모자 개발 -은행잎 추출물을 염제로 하여- (The Development of Hanji Hat for UV Blocking -Using Ginkgo leaf extract as a Dye-)

  • 김정미;송명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38
    • /
    • 2006
  • The present study proposed to develop a Hanji hat that can protect the body from UV rays and be preferred by consumers. For this purpose, using Hanji dyed by ginkgo leaf extract, we manufactured Hats in 12 designs. The UV blocking rate was determined by putting the hats on a mannequin and measuring the quantity of UV rays penetrating through the hat. In addition, preference for each design was surveyed, and the hat most suitable for the purpose was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UV blocking rate of the manufactured Hanji hats was over 92% for UVA and 97% for UVB in all of the 12 hats. 2. Among the 12 designs, the UV blocking rate for UVA was highest in 'Design(b)' and 'Design(1)' $(P\leq0.05)$, and the UV blocking rate for UVB was identical in all the designs except 'Design(i)' and 'Design(g)' $(P\leq0.01)$. 3. The effect of UV blocking was highest on the nape of the neck; next, on the brow, the cheeks, the nose and the chin in that order.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f preference, simple designs such as 'Design(a), (b)' and 'Design(9)' were preferr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would affect the purchase of a hat marked with a UV blocking index (68%). 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presented above, 'Design(b)', which showed a high UV blocking effect and was highly preferred,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hat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 PDF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Blue Light Blocking in Sunscreen)

  • 박수진;곽병문;이미기;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83-390
    • /
    • 2020
  • 블루라이트는 380 ~ 450 nm 사이의 파장에 존재하는 파란색 계열의 빛으로 활성산소를 유발하여 노화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오일의 극성도, 제형의 점도, 유화제의 종류, 유화입자, 무기자외선 차단제 등이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오일의 극성도가 유기자외선차단제의 극성과 유사해질수록 블루라이트 차단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제형의 점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나타냈다. 유화제의 종류 및 유화 입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였고, 무기자외선 차단제 함유 여부가 블루라이트 차단율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 중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블루라이트 차단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앞으로 블루라이트 차단 제품 개발 및 제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V-A로 유발된 항산화효소의 변성에 대한 자외선 차단렌즈의 작용 (The Effect of UV Blocking Lens on the Denaturation of Antioxidative Enzymes Induced by UV-A)

  • 박충서;박영민;김대현;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7-103
    • /
    • 2007
  • 본 연구는 UV-A 노출에 의해 유발된 안구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효소인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SOD)의 변성을 차단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적절한 UV-A 차단율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Catalase와 SOD를 1, 3, 6, 24, 96시간 동안 365 nm의 UV-A에 노출시켜 노출시간에 따른 단백질의 변성 정도를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20, 50, 80 및 99% UV 차단 효과를 가진 안경렌즈로 UV-A를 차단하였을 때 catalase와 SOD의 변성이 억제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Catalase는 3시간 이상의 UV-A 노출에 의해 변성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SOD는 6시간 이상 노출시에 변성이 되기 시작하였다. 99% 차단렌즈에 의해 3시간 동안의 UV-A 노출에 의한 catalase 변성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노출시간이 3시간보다 길어지거나 차단율이 99%보다 낮은 렌즈를 사용한 경우, 어느 정도까지는 변성 억제작용은 있었으나 완벽하게 변성을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비록 50% 차단율을 가진 렌즈는 UV-A에 대한 SOD의 변성에 대해 부분적인 억제 작용을 나타냈으나, 80% 및 99%의 차단율을 가진 안경렌즈는 UV-A에 의한 SOD의 변성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 PDF

비닐하우스용 작업복의 자외선 차단 성능과 착용감 연구 (UV ray protective function and wear sensation of garment for plastichouse worker)

  • 최정화;백윤정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0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tain the basic data developing the UV ray protective garments for the plastichouse workers. Two subjects were volunteered for 1hr. wear test in plastic house, and the ensembles was composed of one of three kinds blouse (UV blocking blouse, polyester/cotton 47/53 blouse, and polyester blouse), shorts, sleeveless undershirts, pants and socks. The measurements were rectal temperature, skin temperature, microclimate inside clothing, subjective sensation, and the colour difference of UV sens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icroclimate especially, temperature inside clothing of polyester blouse was the highest among the garments. And UV-proof polyester blouse showed the lower mean skin temperature and microclimate than others. Showing the highest sweat volume. 2.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UV ray blocking function among 3 kinds of garment was shown. 3. We could conform that in spring for the plastic house wぉw s garment low thermal insulating value and wide covering area were more important factors than UV blocking function of fabric.

  • PDF

UV-A로 유발된 RNase A의 변성에 대한 UV 차단렌즈의 작용 (The effect of UV blocking lens on the denaturation of RNase A induced by UV-A)

  • 박영민;박충서;이흠숙;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5
    • /
    • 2007
  • 본 연구는 UV-A 노출에 의해 유발된 안구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효소 중의 하나인 ribonuclease A(RNase A)의 변성을 차단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적절한 UV-A 차단율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RNase A를 1, 3, 6, 24, 48, 72, 96시간 동안 365 nm의 UV-A에 노출시켜 노출시간에 따른 단백질의 변성 정도를 아크릴 아미드 겔 전기영동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20%, 50%, 80%, 99% UV 차단 효과를 가진 안경렌즈로 UV-A를 차단하였을 때 RNase A의 변성이 억제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RNase의 변성은 1시간 동안의 UV 노출에 의해서도 유발되었으며, UV-A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정도는 심해졌다. 1시간의 UV-A 노출에 의해 유발된 미세한 RNase A의 변성은 20% 정도의 UV-A 차단으로 충분히 예방될 수 있었다. UV-A를 3시간 동안 노출하였을 때는 50%이상의 UV-A 차단율을 가진 렌즈가 RNase A의 변성을 막을 수 있었다. 6시간 동안 UV-A에 노출되었을 때에는 99%의 렌즈로 차단하였을 때조차도 RNase A의 변성이 완벽하게 차단되지 못했다. 그러나 96시간 동안 UV-A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심각한 단백질의 변성이 99%의 UV-A 차단 렌즈를 사용하였을 경우 크게 감소하였다.

  • PDF

은행잎의 염색성 및 자외선 차단 효과 (Dyeability and UV-blocking Effect of Dyed Fabrics with Ginkgo Extract)

  • 송은영;송명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1-398
    • /
    • 2007
  • Ginkgo leaves, which have been known as medical materials, were selected as new natural dyes in this study, in which it was examined whether they have the function of UV-blocker or not. Cotton, linen &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were dyed with Ginkgo. Al, Cr, Cu, Fe and Sn were selected as mordants. UV-blocking rate of dyed samples was measured after dyeing and mordant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surface color of dyed samples was yellow except that Hanji mordanted with Cu was yellowish red. Second, dyeing repeti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K/S values of cotton ($r=.\;758^{**}$), linen ($r=.\;500^*$) and Hanji ($r=.\;819^{**}$), because K/S valu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dyeing repetition. Third, solar UV-blocking rate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yeing repetitions (p<0.01), because UV-blocking rates had increased according to dyeing repetition. Fourth, UV-blocking ability of Hanji was highest among samples, as UV-blocking rates of cotton and linen dyed after 3 dyeing repetition were up to 93%, Hanji's values were up to 98%. Therefore, it was proven that Ginkgo extracts used in this experiment as dyestuff have excellent dyeing ability and high UV-blocking ability. It is hoped that this work will lead to further research to confirm the physiological effects when human wear the clothes made from Hanji.

  • PDF

각막 내 효소의 변성을 억제하는 안경 렌즈의 UV-B 차단율 (The Inhibitory UV-B Blocking Rate of Eyeglasses Lens on the Enzymes Denaturation in Cornea)

  • 김소라;이지희;최정임;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3-260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구 내에 존재하는 효소들의 변성을 차단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UV-B 차단율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RNase A와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SOD)를 1, 3, 6, 24, 96시간 동안 312 nm의 UV-B에 노출시킨 후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법으로 손상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50%, 80%, 95%, 99%의 UV-B 차단율을 가진 안경렌즈의 효소 손상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RNase A는 1시간 동안 UV-B의 노출에서 손상이 유발되었으며 1시간 이상 6시간 이하의 노출에 의한 효소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95%, 24시간 이상 96시간 이하의 노출에는 99% UV-B 차단 렌즈가 효소의 손상을 완벽하게 억제하였다. Catalase는 UV-B에 대한 1시간 이하의 노출에는 영향을 받지 않아 아무런 변성이 발생하지 않았고, 3시간 이상 6시간 이하의 단시간 노출에서는 50% 이상의 UV-B 차단 렌즈, 24시간 이상 96시간 이하의 장시간 노출에는 95% 이상 UV-B 차단 렌즈로 효소의 변성을 완벽하게 억제할 수 있었다. SOD는 6시간 이하의 노출에는 손상되지 않았고, 24시간 정도의 노출에서도 50% 차단 렌즈로 효소 손상을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96시간 UV-B에 노출될 경우는 95% 이상의 차단율을 가진 안경렌즈에 의해 SOD의 손상이 완벽하게 억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UV-B 노출에 의한 효소의 변성을 억제하기에 적절한 안경렌즈 차단율은 각 효소마다 상이하였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UV-B 차단율을 가진 경우에만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Nano-TiO2를 이용한 자외선차단 마이카 복합체 제조 (Preparation of blocking ultraviolet mica composites using Nano-TiO2)

  • 윤기훈;이재복;문영진;고희경;이이;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97-1205
    • /
    • 2018
  • 자외선차단 화장품은 기능성 화장품 중의 하나로서, 유 무기 자외선차단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주로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입자의 지름이 60 ~ 100 nm로 자외선 A, B의 차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자외선을 포함한 태양광선에 대해 비활성이 크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유기계 자외선차단제처럼 피부에 흡수 또는 축적되지 않으므로 피부자극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판상 무기안료인 마이카, 자외선차단 효과를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소수성 실리카를 각각 계면활성제로 표면처리 하였고, 각 물질의 전하 차이에 따른 비화학적인 상호 인력 작용에 의해 마이카에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실리카를 물리적으로 흡착시켰다. 이후, 소수성 표면처리제인 실란을 표면처리 하여 소수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 판상 마이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 판상 마이카 복합체는 일반적인 나노입자 이산화티탄의 응집성을 개선하고 균일한 분산에 따른 자외선차단 효과가 증대되었으며, 소수성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화장품 제형에서의 분산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안료의 표면전하는 제타전위로 평가하였으며, 제조된 자외선차단 마이카 복합체의 특성 평가는 FE-SEM, XRD, FT-IR, UV-VIS 등으로 확인하였다.

시협처리시의 특성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brics Dyed with Astringent Unripe Persimmon juice)

  • 이혜선
    • 복식
    • /
    • 제28권
    • /
    • pp.205-212
    • /
    • 1996
  •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abrics dyed with astringent unripe persimmon juice. The cotton silk rayon and nylon fabrics were dyed with astringet unripe persimmon juice. The structures of natural fabrics dyed fabrics and dyed fabrics followed by washing were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urface reflexibility of VIS trans-mittance of UV VIS and NIR were analyzed. The study conclues as follows: 1. Colour of cotton fabrics dyed with persim-mon juice became darkended as a function of exposing time to sunlight. That colour was chaged after washing. 2. Blocking effect of ultraciolet light and visible ray was increased in all dyed fabrics. Especially dyed cotton fabric blocked UV light perfectly and the blocking effect was still remained after 9 washings. 3. Persimmon juice dyeing produced coating effect to fabrics besides dyeing effect accord-ing to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In a word the cotton fabric dyed with per-simmon juice has blocking effect of UV light stiffness. Therefore I think persimmon juice dyeing is a very useful textile finishing and ex-pect a wide application of the technique in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