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nding polyimid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혼합된 polymer에서의 틸트 감소 효과를 이용한 VA-$\pi$ mode LCD의 전기광학 특성 (EO Characteristics in the Vertical Alignment (VA)-$\pi$ mode LCD Using the Tilt Angle Decrease Effect on the Blended Polymer)

  • 이경준;황정연;서대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제5회 학술대회 논문집 일렉트렛트 및 응용기술연구회
    • /
    • pp.53-56
    • /
    • 2003
  • Blending effects for generating a pretilt angle in nematic liquid crystal (NLC) with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on the blended polyimide (PI) of homeotropic and homogeneous alignment surface were studied. Also, we investigated the EO performances for the advanced VA-$\pi$ cell using this homeotropic blended PI surface. A many decrease of tilt angle on the polymer surface to blend homeotropic PI and homogeneous PI with side chain type was measured, and the tilt angle decreased as blended ratio and rubbing strength increase. The blended effects for generating a pretilt angle were clearly observed, and the many decrease of tilt angle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blended PI surface. The electro-optical (EO) characteristics using the advanced VA-$\pi$ cell using the homeotropic blended PI surface than that of conventional VA cell can be improved. We suggest that the developed advanced VA-$\pi$ cell on a homeotropic blended PI surface is a promising technique for the achievement of a fast response time, and a high contrast ratio.

  • PDF

수직 복합 폴리머 표면을 이용한 Advanced VA-$\pi$ cell의 전기광학 특성 (EO Characteristics in the Advanced Vertical Alignment VA-$\pi$ Cell on a Homeotropic Blended Polymer)

  • 이경준;황정연;한은주;백승권;서대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5
    • /
    • pp.530-533
    • /
    • 2002
  • Blending effects for generating a pretilt angle in nematic liquid crystal (NLC) with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on the blended polyimide (PI) of homeotropic and homogeneous alignment surface were studied. Also, we investigated the EO performances for the advanced VA-$\pi$ cell using this homeotropic blended PI surface. A many decrease of tilt angle on the polymer surface to blend homeotropic PI and homogeneous PI with side chain type was measured, and the tilt angle decreased as blended ratio and rubbing strength increase. The blended effects for generating a pretilt angle were clearly observed, and the many decrease of tilt angle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blended PI surface. The electro-optical (EO) characteristics using the advanced VA-$\pi$ cell using the homeotropic blended PI surface than that of conventional VA cell can be improved. We suggest that the developed advanced VA-$\pi$ cell on a homeotropic blended PI surface is a promising technique for the achievement of a fast response time, and a high contrast ratio.

  • PDF

폴리에스테르/폴리이미드 나노복합필름의 제조 및 수분차단 특성 (Preparation and Water Vapor Barrier Properties of PET/Nanohybrid PI Films)

  • 한승산;김용석;원종찬;이재흥;최길영
    • 접착 및 계면
    • /
    • 제5권1호
    • /
    • pp.29-35
    • /
    • 2004
  • 친유기 합성 층상실리케이트(STN)의 함량(1~9 wt%)을 변화하며 폴리아믹산/STN 나노복합재용액을 DMAc 및 THF/MeOH 혼합용매에서 각각 제조하였고, 이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코팅하여 열적 이미드화 및 화학적 이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폴리에스테르/폴리이미드 나노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XRD 및 TEM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이미드 나노복합필름의 미세 구조를 조사한 결과 박리형 폴리이미드 나노복합재가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표면의 모폴로지 변화는 AFM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열적 및 기계적 특성은 TGA, DMA와 UTM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STN이 첨가됨에 따라 폴리에스테르/폴리이미드 나노복합필름의 수분투과도는 감소하였고, 화학적 이미드화에 의해 제조된 필름이 열적 이미드화에 의한 필름에 비해 좀더 우수한 수분 차단성을 보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비점이 낮은 THF/MeOH 혼합용매 시스템의 경우가 DMAc를 용매로 사용한 경우보다 더 향상된 수분 차단성을 보였다.

  • PDF

Low temperature curable organic gate insulator for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 Kim, Joo-Young;Jung, Myung-Sup;Lee, Sang-Yoon;Kim, Jong-Min;Kim, Jang-Jo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664-666
    • /
    • 2008
  • Low-temperature curable organic insulator was prepared through blending of polyimide type base resin and cross-linking agent. The newly developed resin can be formed into films using a wet process and cured at $130^{\circ}C$. Using the low temperature cured film as the gate dielectric layer, the field effect mobility of $0.15\;cm^2/V{\cdot}s$ was obtained from a pentacene field effect transistor in the saturation regime and no hysteresis behavior was observed in transfer curves.

  • PDF

다양한 구조의 방향족 아민으로 개질된 친유기성 MMT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나노복합필름의 특성 (Preparation of Organophilic MMT Modified with Various Aromatic Amine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imide Nanocomposite Films)

  • 한승산;최길영;임승순;김용석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177-182
    • /
    • 2006
  • 본 연구는 층상 실리케이트의 한 종류인 MMT (Montmorillonite) 표면의 금속이온을 이온 교환반응에 의해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방향족 암모늄염으로 치환함으로써 내열성이 우수한 친유기성 MMT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polyimide) 나노복합재의 특성에 관한 것이다. 도입된 개질제의 구조는 내열성 및 반응성을 고려하여 아민기 및 서로 다른 종류의 알킬기가 도입된 방향족 아민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개질제와 MMT와의 이온교환반응을 통하여 표면이 유기화된 친유기성 MMT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친유기성 MMT의 XRD 분석으로부터 층간 거리가 최대 $3.3{\AA}$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초기 열분해 온도는 $275^{\circ}C$로서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었다. 폴리아믹산과 제조된 친유기성 MMT와의 복합화를 통하여 폴리아믹산 나노복합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탈수 고리화하여 폴리이미드/친유기성 MMT 나노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WAXD를 통하여 친유기성 MMT의 분산도를 파악하였으며 또한 친유기성 MMT의 함량에 따른 폴리이미드 나노복합필름의 기계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액정성 고분자 블렌드의 편발광 (Polarized Light Emission of Liquid Crystalline Polymer Blends)

  • 김영철;조현남;김동영;홍재민;송남웅
    • 폴리머
    • /
    • 제24권2호
    • /
    • pp.211-219
    • /
    • 2000
  • 액정성을 가지는 플로렌계 발광고분자에 비버정성 플로렌계 발광고분자를 첨가한 블렌드를 제조하여 에너지전달 효과와 흡광 및 발광 이방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비액정성 고분자를 액정성 고분자에 0.5wt% 첨가하고 360nm로 여기한 결과, 420nm에서 관찰되었던 액정성 고분자의 발광피크는 거의 사라졌으며 대신 비액정성 고분자에 의한 480nm에서의 새로운 발광피크가 관찰되었다. 블렌드 시료의 480nm 발광은 비액정성 고분자가 2.0wt% 첨가되었을때 가장 강했으며, 발광강도는 블렌딩 이전의 각 고분자보다 13배 증자하였다. 블렌드내의 분자들을 마찰 폴리이미드 기판상에서 가열-냉각시켜 배향시키면 시료의 발광 이방성과 order parameter는 각각 2.0 및 0.25를 나타내었다. 시간 상관 단광자 계수법 (TCSPC)에 의해 고찰한 결과, 마찰 폴리이미드 기판상에서의 배향에 의해 두 발광고분자간의 에너지전달에 필요한 시간은 93 ps만큼 단축되며 에너지전달 효율은 9%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폴리이미드의 제조와 성질에 관한 연구 : IV. 6FDA계 폴리이미드 (Studies on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imides : IV. 6FDA-Polyimides)

  • 이동호;김승환;유태욱;구승영
    • 공업화학
    • /
    • 제5권5호
    • /
    • pp.756-763
    • /
    • 1994
  • 2,2-Bis-(3,4-dicarboxyphenyl)hexafluoropropane dianhydride(6FDA), 2,2-bis-[4-(4-aminophenoxy)phenyl]hexafluoropropane 및 4,4-diaminodiphenyl ether 등을 이용하여 단독폴리아믹산, 공폴리아믹산 및 폴리아믹산의 블렌드를 만들고, 열이미드화로 각각의 폴리이미드를 제조하여 구조와 성질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 열이미드화 동안에 폴리아믹산 간의 교환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공중합이나 폴리아믹산의 블렌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의 분자복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수직 복합폴리머 표면을 이용한 Advanced VA-π cell의 전기 광학 특성 (EO Characteristic in the Advanced Vertical Alignment (VA)- π Cell a Homeotropic Blended Polymer)

  • 황정연;이경준;조용민;서대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826-832
    • /
    • 2003
  • Blending effects for generating a pretilt angle in nematic liquid crystal (NLC) with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on the blended polyimide (PI) of homeotropic and homogeneous alignment surface were studied. Also, we investigated the EO performances for the advanced VA- $\pi$ cell using this homeotropic blended PI surface. A many decrease of tilt angle on the polymer surface to blend homeotropic PI and homogeneous PI with side chain type was measured, and the tilt angle decreased as blended ratio and rubbing strength increase. However, a small decrease of tilt angle on the polymer surface to blend homeotropic PI and homogeneous PI with main chain type was measured. The blended effects for generating a pretilt angle were clearly observed, and the many decrease of tilt angle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blended PI surface. The electro-optical (EO) characteristics using the advanced VA- $\pi$ cell using the homeotropic blended PI surface than that of conventional VA cell can be improved. We suggest that the developed advanced VA-$\pi$ cell on a homeotropic blended PI surface is a promising technique for the achievement of a fast response time, and a high contrast ratio.

PMMA-HfOx 유-무기 하이브리드 저항변화 메모리 제작 (Fabrication of PMMA-HfOx Organic-Inorganic Hybrid Resistive Switching Memory)

  • 백일진;조원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35-140
    • /
    • 2016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olution-processed PMMA-$HfO_x$ hybrid ReRAM devices to overcome the respective drawback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The performances of PMMA-$HfO_x$ hybrid ReRAM were compared to those of PMMA- and $HfO_x$-based ReRAMs. Bipolar resistive switching behavior was observed from these ReRAMs. The PMMA-$HfO_x$ hybrid ReRAMs showed a larger operation voltage margin and memory window than PMMA-based and $HfO_x$-based ReRAMs. The reliability and electrical instability of ReRAMs were remarkably improved by blending the $HfO_x$ into PMMA. An Ohmic conduction path was commonly generated in the LRS (low resistance state). In HRS (high resistance state), the PMMA-based ReRAM showed SCLC (space charge limited conduction). the PMMA-$HfO_x$ hybrid ReRAM and $HfO_x$-based ReRAM revealed the Pool-Frenkel conduction. As a result of flexibility test, serious defects were generated in $HfO_x$ film deposited on PI (polyimide) substrate. On the other hand, the PMMA and PMMA-$HfO_x$ films showed an excellent flexibility without defect generation.

폴리이미드의 구조에 따른 방향족 PBI/PI 블렌드의 상용성 및 상호작용의 세기 (Miscibility and Specific Intermolecular Interaction Strength of PBl/Pl Blends Depending on Polyimide Structures)

  • 안태광
    • 공업화학
    • /
    • 제9권2호
    • /
    • pp.185-192
    • /
    • 1998
  • 네 종류의 폴리아믹산(PPA)은 서로 다른 구조의 디아민들인 3,3'-diaminodiphenyl sulfone(3,3'-$DDSO_2$), 4,4'-diarrinodiphenyl sulfone(4,4'-$DDSO_2$), 4,4'-methylene dianiline(4,4'-MDA) 및 4,4'-oxydianiline(4,4'-ODA)와 디안하이드라이드인 3,3', 4,4'-benzopheno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를 용매인 DMAc를 이용하여 합성되었다. 이들의 폴리아믹산(PAA)을 이용하여 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PBI)와 용액 블렌딩하여 Blend-I, II, III, 그리고 IV로 칭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료를 필름이나 분말로 제조한 PBI/PAA 시스템을 예상된 $T_g$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경화시켜 PBI/PI 블렌드로 전환시킨후 PI 합성시 사용된 디아민의 분자구조 변화에 따른 블렌드의 상용성과 그 상호작용의 상대적인 세기를 살폈다. 이로부터 본 연구에서 이용된 네 개의 블렌드들은 상용성을 보였으며, 이들 상용성을 가져다주는 상호작용의 세기는 Blend-III와 Blend-IV가 Blend-I와 Blend-II보다 큼을 보였다. 이와 같이 블렌드에 사용된 PI의 구조변화에 따라 상호작용이 다른 것은 PI합성시에 사용된 디아민의 구조에서 페닐링 사이에 존재하는 linkage인 O나 $CH_2$보다는 $SO_2$가 존재할 때 블렌드를 이루는 두 고분자사이의 상호작용인 수소결합력을 약화시키는 spacer로 작용하였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