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nded learning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9초

공학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의 운영사례 및 교육효과 연구 (A Case Study on Educational Effect and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for Engineering Education)

  • 박형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9-44
    • /
    • 2023
  • 이러닝 교수법의 발전에 따라 대면교육과 이러닝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대면수업을 대체할 만한 학습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공학 교과목은 실습과 같은 다양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기존의 전통적인 블렌디드 러닝으로 운영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공학 교과목에 필요한 학습활동에 따라 기존과는 다른 교수학습설계가 필요로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과목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위해 교수법 설계 및 운영사례를 소개하고 그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학습활동을 이론수업, 실습수업, 퀴즈 및 질의응답, 과제수행 및 풀이 등으로 세분화하고 학습활동에 따라 온라인 동영상, LMS 활용, 대면수업의 교수 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수업만족도 조사결과를 보면 공학교과목에서도 블렌디드 러닝은 순수온라인과 대면수업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활동별로 차별화된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 실증사례 연구 -팀 프로젝트와 스마트디바이스 앱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esign Classes using Blended Learning -Focused on Team Project and Smart Device App-based Learning-)

  • 김진희;김혜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71-284
    • /
    • 2021
  • This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utility of blended learning b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fter class by blending team project learning and smart device app-based learning methods. Qualitative analysis and surve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m project activities based on task resolution were conducted freely through detailed activities such as sharing roles, planning meetings, and coordinating opinions. Team activities were carried out with respect and consideration, team member bonding,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Second, the smart device app is recognized as a medium for work and communication, and fast feedback has been made, making it highly impactful on classroom activities. Third, in terms of learning satisfaction, most learners showed an interest in the course and were satisfied with the project results. The smart device app was used as a learning and communication medium for personal and team activities and was analyzed as a blended method applicable to classes that conduct practical activities as an efficient tool to further activate project activities.

간호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BL by Employing Blended Learning on Instruction in a Nursing College)

  • 최은영;이우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6권2호
    • /
    • pp.96-104
    • /
    • 2010
  • Purpose: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with blended learning in a nursing college. Methods: The target students were nursing sophomores in a nursing colleg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a blended learning course and to be subjects in this study for 15 week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Baek (2003) and Lee (2007) were modified and applied to collect data. Results: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blending learning was the highest in the item "Online community activities were helpful in enhancing knowledg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BL was the highest in the item "It was helpful to listen my classmates' opinions rather than thinking all by myself." Conclusion: This study is suggestive that blended learning is effective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by reinforcing practicality of face-to-face study to online learning. Various learning methods based on students' demands and preferences should be applied in nursing education.

Blended learning을 이용한 임상실습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Clinical Practicums of Nursing Students)

  • 이여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0-37
    • /
    • 2008
  • Purpose: This study pro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blended-learning orientation program executed for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61 nurs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7 in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blended-learning orientation program was executed by e-learning (on-line) and lecture-led training (off-line) from two-week before the start of clinical practice in medical-surgical nursing. For the control group, orientation was given in the traditional lecture-led training by distributing printed materials before clinical practice. A pre-test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clinical practice,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wo-week of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rientation program. Results: After two-week of clinical practice,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aptation to clinical practice (F=10.242, p=.002), communication skills (F=4.305, p=.040) and clinical competence (F=6.823, p=.010). Conclusions: The blended-learning orientation program enhanced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linical practice,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skill and increased their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l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nd apply practical education using blended-learning in the area of nursing science.

Blended e-Learning Strategies for Effective Teaching in Traditional Universities

  • LEE, Hye-Jung;KIM, In-S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71-9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nstructional strategies applicable to Blended e-Learning. After examining how traditional universities utilized e-learning, it is attempted to have an interview with three working-level people and seven instructors, who widely applied e-learning to their class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instructors had some wrong understanding of e-learning, and their wrong perception was rooted in their lack of experience of providing e-learning and their reliance on fragmentary, superficial information. It deterred them from putting e-learning into active practice. Besides, it's additionally attempted to describe how blended e-learning could respectively be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lectures, how to improve its social presence and how it could be used for evaluation

직업훈련교사 자격연수과정의 블랜디드 교육효과 탐색 (A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al Effects of VET Teacher Certificate E-learning Program)

  • 황석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67-74
    • /
    • 2012
  • 직업훈련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자격연수과정의 면대면 집체교육과 이러닝의 블랜디드 교육의 효과를 비교하여 블랜디드 교육을 개선할 수 있다. 주요한 교육환경의 특성을 분류하고 이에 적합한 블랜디드 교육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블랜디드 교육과 집체교육의 만족도와 평가 점수를 비교하였고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블랜디드 교육의 특성요인으로 학습자 특성, 교수 학습 설계, 교수 학습 환경의 세 요인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집체교육의 평가 점수가 높고,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지만 블랜디드 교육의 점수가 높으며 블랜디드 교육의 지원경쟁률이 높게 나타났다. 블랜디드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온라인 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 및 환경 변화가 필요하며, 구체적으로는 블랜디드 교육에서 교수 학습활동의 다양화, 교육생의 참여를 활성화할 콘텐츠 설계, 다양한 수준의 콘텐츠 등을 개선방법으로 제시하였다.

  • PDF

대학수업 적용을 위한 처방적 혼합학습 설계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escribed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for University Class Application)

  • 김미영;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7-306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업에서 혼합학습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주요영역을 설정하고, 실제 사례에 근거하여 실천적이고 처방적인 '혼합학습 설계모형'을 개발하여 혼합학습을 설계 실행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실제적 도움을 주는 것이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대학수업 적용을 위한 처방적 혼합학습을 설계하기 위한 주요영역을 설정하였다. 둘째, 대학수업 적용을 위한 처방적 혼합학습 설계과정과 각 단계별 특징을 제시하였다. 셋째, 혼합학습 설계과정과 그 특성들을 종합한 '처방적 혼합학습 설계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조사연구, 형성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on the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 김연철;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58-671
    • /
    • 2015
  • 본 연구는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D 대학의 사범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의 평균연령은 22.3세이며, 2-4학년 재학생으로 인구통계학적 배경은 비교적 동질적이다. 교육사회학(교직과목) 수업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는 학기 초에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사전 검사하였다. 이후에 실험집단은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액션러닝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기가 종료되는 시기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 검사 점수를 고려하여 집단 간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 보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경험적 수준이 낮은 학습자 대상의 수업에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 보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원 관리와 학습전략 활용 측면에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과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 공히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방법 중 전통적 집단강의보다 학습자들의 참여 및 실천학습 방법인 액션러닝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교수방법이지만, 대학생들의 지적, 경험적 측면의 초보적 수준을 고려할 때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의 적극적 활용이 요구된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인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Blended Learning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 김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59-69
    • /
    • 2020
  •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간호학과 4학년 학생 21명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은 '철저히 준비 되지 않은 적용과 운영',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 '일방향 듣기', '편리함'이라는 4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학생들은 블렌디드 러닝에 대해 시·공간의 제약없는 반복학습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지만, 온라인 콘텐츠의 질적 수준, 시스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기 위한 준비 등에 있어서 미흡함과 불만족스러움을 느끼고 있었다. 향후 간호학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적용을 위해 먼저 교과과정을 고려한 온·오프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설계를 기반으로 수준 높은 온라인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온라인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적, 행정적, 재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활동을 가이드 해 줄 수 있는 온라인 지원체계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방송고 특별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Blended-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Blended-Learning Teaching Model for Effective Operating Extra-Curriculum in ACHS)

  • 김미용;정영식;정종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9-62
    • /
    • 2009
  •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방송통신고등학교의 특별활동은 제반 여건의 부족과 수업 연구에 대한 부족으로 사실상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송고 특별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별활동 온라인 콘텐츠를 방송고에 시범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수업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방송고 특별활동 운영에 필요한 5가지 Blended-Learning 영역을 선정하였으며, 이 중 방송고 특별활동에 맞는 교수 학습 방법과 전략을 블랜딩한 직접교수모형을 구안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송고 학생의 특수성과 특별활동 내용상의 특성을 반영한 방송고 특별활동 Blended-Learning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