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aching temperature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2초

상보형 전기변색소자용 $V_2O_5$박막의 대향전극 특성 (Characterization of $V_2O_5$ thin films as a counter electrode for complementary electrochromic devices)

  • 조봉희;김영호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9권7호
    • /
    • pp.690-695
    • /
    • 1996
  • We hav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characterization of V$_{2}$O$_{5}$ thin films as a counter electrode for lithium based complementary electrochromic devices. The V$_{2}$O$_{5}$ thin films were prepared by thermal vacuum evaporation with varing the substrate temperature and film thickness. In electrochromic devices for smart windows, the WO$_{3}$ thin films with 400-800 nm thickness require to be capable of reversibly injection 10-15 mC/cm$^{2}$ of lithium, which is readily accomplished charge-balanced switching in a V$_{2}$O$_{5}$ thin films with 100-150nm thick. The V$_{2}$O$_{5}$ thin films produces considerably small changes in optical modulation properties in the visible and near infrared region(500-1100 nm) compared to the amorphous WO$_{3}$ thin films on 10-15 mC/cm$^{2}$ of lithium injection and the V$_{2}$O$_{5}$ thin films can therefore act as a counter electrode to WO$_{3}$ in a lithium based complementary clectrochromic devices. After 10$^{5}$ coloration/bleaching switching time, the degradation does not occurs and the devices exhibit a stable optical modulation in V$_{2}$O$_{5}$ thin films. It has shown that the injected lithium ion amounts in crystalline V$_{2}$O$_{5}$ thin films with the same thickness is large by 3-5 mC/cm$^{2}$ of lithium compared to the amorphous thin films in the same driving conditions. Therefore, to optimize the devic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choose an appropriate film thickness and crystallinity of V$_{2}$O$_{5}$ for amorphous WO$_{3}$ film thickness as a working electrode.

  • PDF

$CaSO_4:Eu$ TLD의 제작과 물리적 특성 (Fabrication of $CaSO_4:Eu$ TLD and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 김도성;박명환
    • 센서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388-393
    • /
    • 1999
  • 회토류 원소인 Eu로 활성화한 $CaSO_4:Eu$ TLD를 제작하였으며, 트랩 매개변수 등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작한 $CaSO_4:Eu$ TLD는 활성제 Eu의 농도를 0.5 moi%로 하고, $600^{\circ}C$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였을 때 최대의 열형광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glow 곡선은 2개의 glow peak로 구성되었다. 두 glow peak를 분리하여 초기 상승법, peak 형상법, 가온율법, 최소자승법에 의한 glow 곡선의 fitting 방법 등을 사용하여 glow 곡선을 분석하였다. 두 glow peak의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1.00 eV, 1.09 eV이고, 진동수인자는 각각 $7.04{\times}10^{11}\;s^{-1}$$5.12{\times}10^{11}\;s^{-1}$였으며, 1.11과, 1.33의 발광차수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참나무재의 약액함침 처리가 폭쇄 및 산소-알칼리펄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emical Pretreatment on Steam Explosion and Oxygen-alkali Pulping of Oak Wood)

  • 박승영;최태호;조남석
    • 펄프종이기술
    • /
    • 제33권3호
    • /
    • pp.75-83
    • /
    • 2001
  • The potential of oxygen delignification is a powerful tool to reduce detrimental environmental effec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am explosion treatment of chemically treated oak wood on oxygen-alkali pulping. Pulp yield during steam explosion treatment by ${Na_2}{O_3}$-NaOH impregn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impregnation chemicals. Also, NaOH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after steam explosion treatment improved the kappa number from 140~116 to 90~64. Oxygen-alkali pulping of chemical steam explosion treated woods affected to pulp yields. ${Na_2}{O_3}$-NaOH impregnation was very effective to higher carbohydrate yields at same delignification level. Its carbohydrate yield seemed to be highly related to the effluent pH. Oxygen-alkali pulping after steam explosion treatment of ${Na_2}{O_3}$-NaOH impregnated wood was shown that carbohydrate yield was very high because its effluent pH was increase from natural to mild alkali. Even if oxygen bleaching limit the delignification to 50% in order to avoid unacceptable yield and viscosity losses, oxygen-alkali pulping after steam explosion by ${Na_2}{O_3}$-NaOH impregnation was possible to extend the delignification more than 80%. Considering high pulp yield with lower lignin content from steam explosion treated wood, it might be profitable to end the cook at a high kappa number instead of a low kappa number, and continuously apply the oxygen delignification, in order to better quality pulp.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talloprotease from Serratia marcescens PPB-26 and Its Application for Detergent Additive

  • Thakur, Shikha;Sharma, Nirmal Kant;Thakur, Neerja;Bhalla, Tek Chand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9-268
    • /
    • 2019
  • In this study, the extracellular metalloprotease from Serratia marcescens PPB-26 was purified to homogeneity via ethanol fractionation and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Thus, a 3.8-fold purification was achieved with a 20% yield and specific activity of 76.2 U/mg. The purified protease was a 50-kDa monomer whos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activity were 7.5 and $30^{\circ}C$ respectively; however, it was found to remain active in the 5-9 pH range and up to $40^{\circ}C$ for 6 h. The protease had a half-life of 15 days at $4^{\circ}C$, an optimum reaction time of 10 min, and an optimum substrate (casein) concentration of 0.25%. Furthermore, the Michaelis constant ($K_m$) and reaction velocity ($V_{max}$) of the protease were calculated to be 0.28% and $111.11{\mu}moles/(min{\cdot}mg)^{-1}$, respectively. The protease was stable when subjected to metal ions (2 mM), showing increased activity with most (especially $CoCl_2$ and $MgSO_4$ (30.54% increase)). It was also stable when exposed to oxidizing agents, bleaching agents, and detergents (5% v/v for 60 min). It retained 93% of its activity in non-ionic detergents (Tween-20, Tween-80, and Triton X-100). Moreover, wash performance analysis in commercial detergents (Ariel and Tide) showed that not only was the protease capable of protein stain removal, but also reduced cleaning time by 80% when added to detergents. Thus, the Serratia marcescens PPB-26 metalloprotease appears to be a promising new candidate as a laundry additive in the detergent industry.

Sodium Hypochlorite 처리와 광도 및 복토 깊이의 차이가 부들의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n Hypochlorite Pretreatment, Light Intensity and Depth of Soil Covering on Germination of Cattail(Typha spp.) Seeds)

  • 김영주;허진아;황용수;구자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5-123
    • /
    • 2005
  • 부들종자는 종간에 차이가 없이 $20^{circ}$C에 비해 $25^{circ}$C와 $30^{circ}$C에서 더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약광하에서 보다 강 광하에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발아 온도 20, 25, $30^{circ}$C에서 무처리 종자의 발아율은 가장 낮은 광도인 $7.5{\mu}mol{\cdot}m^{-2}{\cdot}s^{-1}$ 에서 좀부들이 각각 4.3, 13.0, $7.3\%$였고, 애기부들 10.7, 22.7, $50.7\%$였다. 이에 비해 가장 높은 광도인 79.5${\mu}mol{\cdot}m^{-2}{\cdot}s^{-1}$에서는 발아온도가 $30^{circ}$C일 경우에 좀부들은 $78.3\%$, 애기부들은 $88.7\%$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NaOC1용액($4\%$ available chlorine) 처리는 낮은 온도 및 약 광에서의 발아를 크게 촉진시켰으며 발아시간을 단축시켰다. 무처리 종자의 경우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은 광도에서 발아율이 더 높아졌고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은 시간의 NaOC1 처리로 높은 발아율을 얻을 수 있었다. NaOC1 처리된 종자는 좀부들과 애기부들 모두 흙 표면 위에서 $100\%$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무처리 종자는 각각 $40\%$$50\%$의 발아율 보였다. 복토깊이가 1cm 이상이 되면 1개월 이상 발아가 진행되지 않았다. 종자발아 과정은 중경이 먼저 길게 나온 다음, 중경 끝에서 초엽과 주근이 발생하고 다음으로 측근이 발생되는 양상을 보였다. 부들류의 종자에 있어서 NaOC1 처리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는 종피의 탈색과 부식으로 인한 광흡수의 증대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미백치약 사용에 따른 효과와 다양한 pH 음료의 재착색 평가 (Efficacy and Evaluation of Tooth Stain with Various pH Beverages Following Whitening Dentifrice)

  • 남설희;최정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1-196
    • /
    • 2013
  • 본 연구는 미백치약의 효능을 확인하고 미백치약으로 미백된 치아의 식음음료에 따른 재착색의 정도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30개의 치아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미백치약의 효능을 평가하였고 평가된 치아는 다시 착색음료에 담가 색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미백치약은 사용한지 21일부터 일반치약을 사용한 치아와의 색변화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미백된 치아의 재착색에서는 오렌지주스에 담군 치아가 가장 색변화가 크고 분명하였으나 일반치약을 사용한 치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커피와 녹차에 담근 치아는 각각 15일, 5일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5), 녹차에 담근 치아가 음의 색변화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대표적인 3개의 식음음료 중 커피와 녹차에서 미백된 치아에서 더 착색이 잘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잇몸 박피술 없는 치은 미백을 위한 비글에서 365 nm LED 레이저 치료 (365 nm LED laser treatment on beagle for gingival whitening without gum dermabrasion)

  • 이성호;김륜경;서나리;임호경;변수환;임영준;김성민;이종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2호
    • /
    • pp.117-122
    • /
    • 2016
  • 목적: 치은 미백은 치과치료의 목적으로 심미적 장애를 위한 치료에 가깝다. 기존의 치은미백술은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박피술에 의한 치료를 했왔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은 시술 후 감염 및 통증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우리는 저출력 LED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은미백술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돼지고기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출력전력, 온도변화, 피부 변성 등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15 - 20 kg 비글의 구강내 점막 색소에 비손 365 nm LED 레이저를 15분씩, 1 - 2주간 1, 2회씩 각각 조사하였다. 헤마토실린-에오신 염색을 통하여 색소의 손실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365 nm LED 레이저 조사 부위의 멜라닌 색소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365 nm LED 레이저는 수술적 기술 및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탈색화 효과를 대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수세미외의 부위별(部位別) 유효성분(有效成分) 조사(調査) 및 사과락중(絲瓜絡中) 육질제거(肉質除去) 방법(方法) 개발(開發) 연구(硏究) : (II) -사과락 육질제거 및 섬유품질개선-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 (L.) Roemer and development to remove the flesh from its fruit : (II) -Removal of flesh on the net fiber In fruit of sponge-gourd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the net fiber-)

  • 유태방;장기운;안병창;신종순;박종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4호
    • /
    • pp.373-378
    • /
    • 1991
  • 일반 농가에서 수세미 사과락의 표피 및 그물섬유중 육질 제거를 위하여 개천수에 침지하여 20여일 소요되는데 비하여, 사과락을 압착한 후 0.2% NaOH로 처리한 결과 $3{\sim}5$시간내에 처리가 가능하였다. 0.2% 알카리 용액과 계면활성제인 0.02% Monopol과 표백제인 0.1% $Ca(OCl)_2$를 처리하여 섬유소의 품질을 보호하면서 육질제거효과를 기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습경성과 인장강도와 같은 물리성을 formaldehyde, glutardialdehyde, glyoxal과 같은 가교제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또한 산알카리 및 열적 안정도가 양호하여 목욕용 기구, 주방용 세척기구, 오일이나 까스 여과기, 기타 각종 장식용 제조 원료로 사용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NaOH 용액의 농도 저하와 KOH로 대치할 때 생성되는 스럿지를 K질 비료로 활용하는 방안 등이 연구중이다.

  • PDF

탈취조건이 대두유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odorizing Conditions on Color in Soybean Oil)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27-631
    • /
    • 2005
  • 대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대두원유를 탈검-탈산-탈색-탈취의 일반적인 정제공정을 모두 거친 것과 이들 정제공정을 생략하고 협잡물만 제거한 후 그대로 탈취하여 고유의 색상을 갖는 독특한 대두유를 얻었다. 이 때의 차이는 Sample 1은 정상 탈취유, Sample 2, 3는 협잡물만을 제거한 다음 batch type deodorizer에 주입하여 진공도, 최고온도, stripping steam 주입량, 탈취시간 등을 차등화하여 3단계 탈취를 행하였다. 얻어진 탈취유의 이화학적 특성은 Sampl 1의 경우 산가 0.034, Lovibond color 9.1Y/0.9R, 과산화물가 0의 엷은 노란색 대두유였다. 그러나 Sample 2는 산가 0.078, Lovibond color 65.0Y/18.39R/4.2B/0.1N, 과산화물가 0.7의 밝고 투명한 녹색을 나타내었다. Sample 3은 산가 0.072, Lovibond color 37.3Y/3.8R/0.1B/0.1N, 과산화물가 1.6의 짙은 검붉은 갈색을 나타내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착색 탈취대두유는 앞으로 솔잎향미유, 들깻잎향미유 등의 다양한 향미유 제조의 원료유로 각광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연포장재료(柔軟包裝材料)를 이용(利用)한 고추 포장(包裝)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ackaging of Chillies (Capsicum annum) in Flexible Films, and Their Laminates)

  • 장규섭;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3호
    • /
    • pp.145-154
    • /
    • 1976
  • 현재(現在) 식품공업(食品工業)에 널리 이용(利用)되고 있는 포장재료(包裝材料)를 가지고 건조(乾燥)통고추와 고추분말(紛末)을 포장(包裝)하여 여러 조건(條件)에 저장(貯藏)하면서 포장재료(包裝材料)와 시료(試料)의 물리적(物理的) 및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에 관(關)하여 연구검토(硏究檢討) 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고추의 저장조건중(貯藏條件中), 상대습도(相對濕度) 55% 이상(以上)에서는 수분흡수(水分吸收)가 현저(顯著)하게 상승(上昇)하였으며, 10%에서는 곰장이가 발생(發生)하였는데 이때의 평형수분(平衡水分) 함량(含量)은 15%로써 고추의 저장수분(貯藏水分) 함량(含量)의 임계점(臨界點)에 도달(到達)하였다. 시료(試料)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을 달리하여 저장(貯藏)하였을 때 색소(色素) Capsanthin함량(含量)은 저장온도(貯藏溫度)가 높을수록,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많아질수록 감소(減少)하였으며, 천일하(天日下)에 방치(放置)할때도 Capsanthin함량(含量)은 크게 변화(變化)하였다. 여러 포장재료중(包裝材料中) Aluminium foil packet이 장기저장시(長期貯藏時) 고추 성분(成分)의 변화(變化)를 줄이는데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였으며 단기저장시(短期貯藏時)에는 착색(着色) Polyethylene, L.D.P.E., Saran/cello, /Saran/P.E., 순서(順序)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