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aching agen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1초

Color Change of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for Different Staining and Whitening Dentifrices

  • Choi, EunJung;Jang, HyeonSoo;Seo, YeLim;Kim, YoungJu;Lee, GaYoung;Kim, YouLim;Hwang, Soo-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8-184
    • /
    • 2021
  • Background: As the importance of the esthetic function of teeth increases, the use of esthetic restoration materials and whitening treatment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lor change of esthetic restoration materials upon using staining and whitening toothpaste. Methods: Light curing (LC) packable composite resin, LC flowable resin, LC glass ionomer (GI), and self-curing GI specimens were colored in coffee or curry for three hours a day for seven days. After that, regular toothpaste, whitening toothpaste containing hydrogen peroxide, and whitening toothpaste containing activated charcoal were applied for three minutes three times a day for two weeks. Luminosity (L), chromaticity a (a), and chromaticity b (b)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once a week. Results: In the coffee-colored group, the change in L2*a2*b2 (E2) with time was significant (p=0.004), there was no difference for different toothpaste types (p=0.646),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for different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The change of E2 in the curry-colored group was significant only for different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p<0.001). In the coffee-colored group, the L, a, and b values of the light-curing GI showed greater change than other materials after staining and one week after whitening, turning dark, red, and yellow. In the curry-colored group, L did not differ for different materials and times, and a and b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light-curing GI after staining and one and two weeks after whitening. Conclusion: The use of whitening toothpaste for two weeks was not different from the use of general toothpaste in the removal of staining or whitening. Since light-curing GI is the most vulnerable to coloration, it is recommended that coloring by food chromogen should be explained in advance, before using light-curing GI for teeth restoration.

이산화납 전극 제조 시 전기화학적 증착인자가 수산화라디칼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deposition Parameters on Electrochemical Hydroxyl Radical Evolution of PbO2 Electrode)

  • 심수진;윤제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647-655
    • /
    • 2016
  • Lead dioxide ($PbO_2$)는 전기화학적 고도산화공정(electrochemical advanced oxidation process, EAOP)에서 hydroxyl radical ($^{\bullet}OH$) 발생에 기반한 유기오염물 분해에 효과적인 전극물질이다. $PbO_2$ 전극의 대표적인 제조방법인 전기화학적 증착법(electrodeposition)의 주요 인자로는 전류/전압세기, 온도, 반응시간, Pb(II)의 농도, 전해질 종류 및 농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Ti/PbO_2$ 산화전극을 전기화학적 증착법을 통해 전류인가 시간, 전류밀도, 온도, $HNO_3$ 전해질 농도를 각각 조절하여 제조하였고, $^{\bullet}OH$ 검출물질인 p-Nitrosodimethylaniline (RNO)의 전기화학적 탈색 측면에서 $^{\bullet}OH$ 발생에 대한 $PbO_2$ 증착인자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로, $PbO_2$$^{\bullet}OH$ 발생 성능은 $PbO_2$ 증착과정에서 대체로 전류인가 시간이 길어질수록(1-90 min), 전류밀도가 감소할수록($0.5-50mA/cm^2$), 증착온도가 증가할수록($5-65^{\circ}C$), $HNO_3$ 전해질 농도(0.01-1.0 M)가 감소할수록 향상되었다. 특히, 0.01 M의 낮은 $HNO_3$ 농도 상에서 $20mA/cm^2$ 전류를 10분 이상 인가하여 증착시킨 $PbO_2$에서$^{\bullet}OH$ 발생이 가장 촉진되었다. RNO 탈색속도 측면에서 가장 성능이 좋은 $PbO_2$와 저조한 $PbO_2$ 사이에 최대 41% 정도 차이가 나타났다. $PbO_2$$^{\bullet}OH$ 발생 성능을 결정짓는 특성으로 $PbO_2$ 층 전도도, Ti 기판 산화, $PbO_2$ 결정크기를 고려한 결과, $PbO_2$ 층의 전도도 및 Ti 기판의 산화가 $^{\bullet}OH$ 발생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bO_2$ 층의 전도도 향상과 Ti 표면 산화 억제로 인한 $Ti/PbO_2$ 계면에서 전도도 향상이 $^{\bullet}OH$ 발생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일부 전극에서는 표면에서 $PbO_2$ 결정 크기 증가가 $^{\bullet}OH$ 발생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수세미외의 부위별(部位別) 유효성분(有效成分) 조사(調査) 및 사과락중(絲瓜絡中) 육질제거(肉質除去) 방법(方法) 개발(開發) 연구(硏究) : (II) -사과락 육질제거 및 섬유품질개선-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 (L.) Roemer and development to remove the flesh from its fruit : (II) -Removal of flesh on the net fiber In fruit of sponge-gourd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the net fiber-)

  • 유태방;장기운;안병창;신종순;박종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4호
    • /
    • pp.373-378
    • /
    • 1991
  • 일반 농가에서 수세미 사과락의 표피 및 그물섬유중 육질 제거를 위하여 개천수에 침지하여 20여일 소요되는데 비하여, 사과락을 압착한 후 0.2% NaOH로 처리한 결과 $3{\sim}5$시간내에 처리가 가능하였다. 0.2% 알카리 용액과 계면활성제인 0.02% Monopol과 표백제인 0.1% $Ca(OCl)_2$를 처리하여 섬유소의 품질을 보호하면서 육질제거효과를 기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습경성과 인장강도와 같은 물리성을 formaldehyde, glutardialdehyde, glyoxal과 같은 가교제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또한 산알카리 및 열적 안정도가 양호하여 목욕용 기구, 주방용 세척기구, 오일이나 까스 여과기, 기타 각종 장식용 제조 원료로 사용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NaOH 용액의 농도 저하와 KOH로 대치할 때 생성되는 스럿지를 K질 비료로 활용하는 방안 등이 연구중이다.

  • PDF

국내 유통 한약재에서 이산화황 잔류량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Residual Contents of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Distributed at Domestic)

  • 김재이;김우성;박건상;김종명;채갑용;조대현;김대병;김옥희;신영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39-1044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residual contents of sulfur dioxide ($SO_2$) on the 280 kinds of herbal medicines distributed at 8 cities including in Seoul, Busan, Daegu, Gwangju, Jecheon, Yeongju, Geumsan and Jeonju in Korea. The residual contents of $SO_2$ were determinated by modified Monier-Williams method. The residual contents of $SO_2$ were not detected at 206 products in total 280 products. However, it was detected below 100 ppm in 39 products, between 101 and 1000 ppm in 30 products and exceeded 1000 ppm in 5 products. $SO_2$ contents ranged 11 ${\sim}$ 2339 mg/kg (mean 293 mg/kg) at domestic samples distributed. Regardless of region, $SO_2$ contents were not found at Notopterygii Rhizoma, Ligustici Scinensis Rhizoma et Radix, Bombyx Batryticatus, Coicis Semen, Cnidii Rhizoma, Anemarrhenae Rhizoma, Gardeniae Fructus, Alismatis Rhizoma. But it's found at Batatatis Rhizoma, Paeoniae Radix and Codonopsitis Radix of every region collected the samples. $SO_2$ contents were not detected at 58 products which collected cultural fields of dometic. After treated with water wash and hot water extraction, the reduction rates of sulfur dioxide were appeared with 14.3% ${\sim}$ 40.4% and 55.2% ${\sim}$ 100.0%, respectively. These data will be used to establish a criteron of residual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수종 의치세정제의 세척 효과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비교 연구 (The efficacy of denture cleansing agent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 윤보혁;윤미정;허중보;전영찬;정창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57-64
    • /
    • 2011
  • 연구 목적: 증류수, 차아염소산나트륨 성분의 가정용 살균소독 표백제 그리고 국내에서 판매중인 세 가지 의치세정제의 세척 효과를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통해 상호 비교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부산대학교병원 치과보철과에서 총의치 또는 국소의치를 제작했거나 제작 중인 연구대상자 5명의 상, 하악 임시 의치 협면에 금속 원판 시편을 식립 하였다. 연구대상자로 하여금 48시간 동안 임시 의치를 장착하게 한 후 회수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증류수,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 $Polident^{(R)}$, $Cleadent^{(R)}e$, $Bonyplus^{(R)}$) 중 하나의 세척 방법으로 실온에서 8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실험에는 직접 참가하지 않았으나 치과적 지식이 있는 10명의 panel을 구성하였고, panel은 한 부위에서 얻어졌으나 다섯 가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처리된 시편들의 세척도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깨끗한 순으로 1, 2, 3, 4, 5의 순위를 기록하게 하였다. 결과: 세척 효과는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 $Polident^{(R)}$, $Cleadent^{(R)}e$, $Bonyplus^{(R)}$, 증류수 순으로 우수하였으나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과 $Polident^{(R)}$, $Polident^{(R)}$$Cleadent^{(R)}e$ 그리고 $Bonyplus^{(R)}$와 증류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5).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으로 세척한 시편의 표면에서는 거의 모든 치태가 제거되었으나, 의치세정제의 경우에는 대부분 세척 후에도 잔류 치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축적된 치태가 두꺼울수록 남아있는 치태가 더 많았다.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 (0.08% 이상)은 비귀금속 시편의 표면 부식을 유발하였다. 결론: 적절한 화학적 세정제의 선택 사용은 신체장애가 있거나 고령인 의치 환자의 구강 위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알칼리성 과산화물 계열의 의치세정제의 경우 의치 세척 효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가능한 칫솔질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방법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