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ing method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심지 터파기를 위한 응용발파 시공 사례 (A Case of Application-blasting in the Urban Blasting Works)

  • 김태현;박용원;조래훈;김홍율;정병호
    • 화약ㆍ발파
    • /
    • 제34권2호
    • /
    • pp.18-30
    • /
    • 2016
  • 도심지 암반터파기 작업시 암반을 파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폭약을 사용한 발파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발파방법은 발파에 따른 암반의 파쇄 시 진동 소음의 발생 및 비산 등 발파공해의 발생요인으로 인해 보안물건 주변에서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며, 폭약을 기폭 시켜 주는 뇌관의 종류 및 방법에 따라 일회 발파공수의 제한, 일회 굴착 깊이 제한 등으로 일일 생산량 감소에 따른 공사기간 증대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시공사례는 국내에서 가용할 수 있는 뇌관을 선정하여 응용발파방법이 가능하도록 층상장약방법에 의한 발파패턴을 설계하여 도심지 특수구간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Comparative review and interpretation of the conventional and new methods in blast vibration analyses

  • Uyar, G. Gulsev;Aksoy, C.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8권5호
    • /
    • pp.545-554
    • /
    • 2019
  • The customary approach used in the blast vibration analysis is to derive empirical relations between the peak particle velocities of blast-induced waves and the scaled distance, and to develop patterns limiting the amounts of explosives. During the periods when excavations involving blasting were performed at sites far from residential areas and infrastructure works, this method based on empirical correlations c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vibrations. However, blasting procedures applied by the fast-moving min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today can be very close to, in particular cities, residential areas, pipelines, geothermal sites, etc., and this reveals the need to minimize blast vibrations not only by limiting the use of explosives, but also employing new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thods. The conventional methodology in minimizing blast vibrations involves the steps of i) measuring by seismograph peak particle velocity induced by blasting, ii) defining ground transmission constants between the blasting area and the target station, iii) finding out the empirical relation involving the propagation of seismic waves, and iv) employing this relation to identify highest amount of explosive that may safely be fired at a time for blasting. This paper addresses practical difficultie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is conventional method, particularly the defects and errors in data evaluation and analysis; illustrates the disadvantages of the method; emphasizes essential considerations in case the method is implemented; and finally discusses methods that would fit better to the conditions and demands of the present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intrinsically hosts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터널 심발발파공법 SAV-Cut(Stage Advance V-Cut)의 특징 및 현장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he New Center-Cut Method in Tunnel : SAV-Cut(Stage Advance V-Cut))

  • 김동현;이상필;이훈연;이태노;전석원
    • 화약ㆍ발파
    • /
    • 제25권1호
    • /
    • pp.31-43
    • /
    • 2007
  • 현재 대부분의 국내 터널은 천공발파 기법을 이용하여 굴착되고 있다. 심발발파는 터널굴착면의 1 자유면 상태에서 가장 먼저 발파가 이루어지므로 터널발파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이며 전체의 굴진효율과 진동 및 소음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기존의 V-Cut 공법의 시공 편의성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굴진효율을 개선시킨 새로운 심발발파 방법인 SAV-Cut (Stage Advance V-Cut) 공법을 소개한다. SAV-Cut 공법은 건설교통부에서 지정하는 건설 신기술(제518호)으로서 중앙공을 천공 및 선기폭하여 암반을 약화시킨 다음 경사공을 단계별로 기폭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다. SAV-Cut 발파공법의 메커니즘을 수치해석과 여러 현장에 실제 적용을 통하여 검증하였고, 발파효율의 증대와 진동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Air Deck 발파공법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f Air Deck Blasting Method)

  • 이신;김상욱;강대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2호
    • /
    • pp.156-165
    • /
    • 2006
  • 근래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규제가 엄격해지며, 폭음과 진동으로 인한 분쟁이 증가되면서 발파의 효율과 경제성이 떨어지고 심한 경우 종종 발파공사자체가 불가능한 일도 발생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면서 파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외국에서는 공기층을 이용하는 발파방법이 이용되어지고 있으며, 외국발파현장에서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vari-stem gas-bag, power deck, air ball 등의 제품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발파방법과 공기층을 만들기 위해 새로 개발된 에어볼 제품과 국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에어튜브 제품을 이용한 에어덱 발파방법의 발파효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에어덱 발파 방법은 진동이 약 $21{\sim}41%$ 정도의 감쇄효과가 나타났고, 화약량의 경우 $17{\sim}30%$ 정도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파쇄도의 경우 에어덱 발파방법이 일반발파에 비하여 파쇄물의 평균크기($X_{50}$)와 최대크기의 분석에서 작고, 균질한 파쇄입도를 나타내었다.

수공에서 자립형 수중용 에어튜브 발파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 Supporting Air Tube Blasting Method in Water Hole)

  • 강대우;이신
    • 화약ㆍ발파
    • /
    • 제28권2호
    • /
    • pp.28-36
    • /
    • 2010
  • 발파작업에서 폭약을 절감하고, 파쇄도를 향상시키는 경제적인 발파방법에 대한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발파공 내에 기층(air deck)을 형성시키는 에어데킹(air decking) 공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공법은 물이 고여 있는 발파공에서는 적용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물이 고여 있는 발파공 내에 침전할 수 있는 수중용의 에어튜브(Air Tube)를 제작하여 이 수중용 에어튜브가 발파공 내의 일정 위치, 즉 폭약 속이나 폭약과 전색 사이에 존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것을 실제 물이 고여 있는 발파공에 적용 실험을 한 결과 폭약량은 10~15% 감소하면서도 파쇄도는 향상되었다.

자립형 에어튜브의 현장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lf Supporting Air Tube)

  • 이신;강대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7권4호
    • /
    • pp.248-254
    • /
    • 2007
  • 에어덱 발파방법은 더 좋은 발파효과를 얻기 위해 실행되어지고 있다. 기존의 에어덱 발파방법은 주로 장약장 상부에 공기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장약장 중간부분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자립형 에어튜브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발파로 인한 풍압은 약 $20{\sim}40%$, 진동은 약 $20{\sim}26%$ 정도의 감쇠효과가 나타났고, 화약량의 경우 약 $10{\sim}20%$정도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파쇄도의 경우 일반발파에 비해 더 작은 입도를 보였다.

태양전지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한 발파진동 자동화 계측시스템 운영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Automatical Blasting Vibration Measuring System Using the Solar Power Supply)

  • 유지완;이태노;김정렬;김영석
    • 화약ㆍ발파
    • /
    • 제26권2호
    • /
    • pp.92-98
    • /
    • 2008
  • 발파진동 계측방법은 일반적으로 수동식 방법과 자동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에서 자동화 계측방법은 계측원의 수동적 작동에 의한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별도의 공간(사무실 등)에서 원격장치를 이용하여 진동측정기를 작동시켜 데이터를 전송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파진동 자동화 계측시스템 운영 연구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향후, 계측원 접근이 어렵고 발파작업중에 진동값 변화추이를 수시로 관찰이 필요한 현장에서는 이와 같은 쏠라셀을 이용한 자동화 계측시스템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발파진동 제어와 안전발파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진동저감 대책을 통한 절취면 보호 (Rock Surface Protection According to Decrease of Blasting Vibration)

  • 홍성민;송하림;강추원;장호민
    • 화약ㆍ발파
    • /
    • 제30권2호
    • /
    • pp.21-28
    • /
    • 2012
  • 사면 절취 및 도심지 터파기 등 인공적으로 사면을 형성하는 경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공법으로 화약을 이용한 발파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절취면 보호를 위해 대상 암반에 손상을 주지 않고 암반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강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발파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회적으로 문제 시 되는 발파공해를 고려하여 발파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공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평활한 절취면 형성을 위하여 도폭선에 폭약을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장약의 방법과 전색의 방법을 달리하여 발파를 진행하였다. 4가지 패턴을 사용하여 총 60공에서 20회 발파를 실시하였으며 발파원으로부터 15~120m 거리에서 발파진동소음측정기를 사용하여 진동속도를 측정하여 310개의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측정된 진동속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파진동을 저감하고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절취면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보았다.

협동장약을 고려한 MS 지발 발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S Delay Blasting Considering Cooperating Charge)

  • 강추원;김종인;박정봉
    • 화약ㆍ발파
    • /
    • 제23권3호
    • /
    • pp.11-18
    • /
    • 2005
  • MS 지발 전기뇌관을 사용하는 발파형태에 있어 파형은 거리와 주파수 정도에 따라 인접 단차 간 간섭의 정도가 상이하다. 이 간섭의 정도는 계측지점에서 발파진동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40ms 간격으로 분리되어 기폭되는 MS 지발 발파의 협동장약 특성을 고찰하고 MS지발 발파에서 발파진동의 협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주파수에 따른 시차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수직구 굴착시 전자뇌관을 이용한 Deck-Charge 발파 시공사례 (Application of Electronic Deck Charge Blasting Method to a Vertical Shaft Excavation)

  • 김재홍;김희도;이준원;김갑수;손영복;김재훈
    • 화약ㆍ발파
    • /
    • 제31권1호
    • /
    • pp.64-75
    • /
    • 2013
  • 본 사례는 "수서~평택 고속전철 ${\bigcirc}$-${\bigcirc}$공구 건설공사"로서 공사구간 내에 아파트 등이 매우 근접하여 위치하며, 설계도서에 근거한 다단식 전기발파의 적용은 민원 등으로 인한 공사기간 지연과 더불어 공사관련 민원이 예상되어 공사비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안 굴착공법으로 당 현장의 진동허용기준(0.2cm/s, 아파트)를 준수하고 공사기간을 합리적으로 단축시켜 경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전자 데크발파 공법을 검토하였다. 시험시공 결과 원 설계인 전기 다단 발파에 비하여 현저히 시공성을 향상시켰으며, 발파 진동 또한 현장 내 진동허용기준(0.2cm/s)이하의 안정적인 수준으로 계측되었다. 특히 터널용 전자뇌관 eDevII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에 편의성을 더했으며, 전기적으로 안전해 수직구 발파작업 환경에서 전기적인 위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