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ing

검색결과 1,532건 처리시간 0.029초

터널발파설계 자동화를 위한 발파패턴 설계식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Pattern Generation Method for Tunnel Blasting)

  • 최용근
    • 화약ㆍ발파
    • /
    • 제23권4호
    • /
    • pp.19-29
    • /
    • 2005
  • 국내에서 발파설계에 적용하고 있는 수식은 외국의 암반조건과 발파환경에 맞게 만들어진 것으로써 암질과 현장조건이 상이한 국내에서는 잘 맞지 않거나 발파패턴의 자동설계에도 적절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1998년부터 터널발파설계 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시행되었고, 이를 통해 개발된 발파 설계식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개발된 발파 설계식은 기존의 수식에 비해 복잡하기는 하지만, 암반상태에 따른 굴진장의 변화를 고려하여 장약량을 변화시킬 수 있고 최외곽공과 전열공의 설계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터널발파설계 자동화를 위해 개발된 설계식에 대해 검토하였다.

터널 상부 근접시설물 통과구간의 발파시공사례 (A Blasting Experience in a Shallow Tunnel Section Overlain by Residential Structures)

  • 원연호;강추원;김종인
    • 화약ㆍ발파
    • /
    • 제26권2호
    • /
    • pp.99-107
    • /
    • 2008
  • 본 발파시공사례는 터널노선 상단부에 위치한 주택구조물 근접지역에서 구조물 진동피해 저감을 위해 당초 설계의 발파공법과 결부시켜 시공성과 경제성이 양호한 진동제어발파방법(다단식발파, 선대구경 심빼기, Line Drilling공법 등)들을 조합하여 단계적으로 추가시키는 굴착공법들을 검토 적용한 터널발파의 진동 저감사례이다. 따라서 시공에 대한 적용성은 발파방법이나 지반조건 등에 따가 진동 저감에는 다소의 차이는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유사조건의 현장 적용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추공 시험발파를 이용한 대전 신탄진 지역의 발파진동 예측 (Prediction of Blasting-induced Vibration at Sintanjin Area, Daejeonusing Borehole Test Blasting)

  • 이충원;박성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4호
    • /
    • pp.55-62
    • /
    • 2018
  • Problems on vibration due to blasting for infrastructure development are getting important because of a civil appeal. Blasting-induced vibration is representative construction pollution, hence, it is possible that a number of environmental damages occur. In this study, borehole test blasting was conducted at Sintanjin area, Daejeon and square root equation with 95% confidence level was proposed for prediction of blasting-induced vibration. The vibration value predicted from this equation was more conservatively evaluated than the values predicted from U.S. Department of Interior, Bureau of Mines (USBM) and Nippon Oil & Fats Co., Ltd. (NOF) equations. Therefore, the proposed equation in this study seems to contribute for safety blast design. However, for optimal blast design, inducing equation for prediction of blasting-induced vibration through the identical test blasting with field construction such as rock slope blasting would be required.

인공절리를 이용한 심발 발파에서의 지반진동 비교 (A Comparison of Ground Vibration in Center Cut Blasting using Artificial Joints)

  • 박훈;석철기;노유송
    • 화약ㆍ발파
    • /
    • 제36권4호
    • /
    • pp.16-25
    • /
    • 2018
  • 터널 굴착시 지반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굴착면에 부분적인 자유면을 형성하고 제어발파를 수행하는 자유면 발파공법이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어몬드 와이어 쏘를 이용하여 인공절리를 심발부에 형성하고, 심발부 발파 시 발생되는 지반진동을 비교함으로써 인공절리에 의한 지반진동 감소를 평가하였다. 해석 결과, 일반 심발발파보다 인공절리 심발발파에서 지반진동이 감소하였으며, 수직 인공절리 심발발파보다 수평 인공절리 심발발파에서의 지반진동 감소 효과가 더 크게 평가되었다.

WC위 TiAlN 코팅층에 미치는 Sand Blasting 처리의 영향 (Effects of Sand Blasting on TiAlN Coating on WC Hard Metal Alloy Tip)

  • 이한영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7권2호
    • /
    • pp.54-61
    • /
    • 2021
  • The effect of the sand blasting before TiAlN coating in the manufacture of WC hard metal alloy tips have been studied. For four different tips, according to the status of processing of the sand blasting and the coating, residual stress measurement by X-ray diffraction and several tests for mechanical properties have been conduct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tic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surface roughness and elastic modulus, between two coatings. Furthermore, compressive residual stress was generated equally on their surfaces. Additionally, the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n substrate WC was found to increase greatly when subjected to sand blasting treatment. However, the compressive residual stress decrease after coating regardless of sand blasting treatment. Nevertheless, it is confirmed that the compressive residual stress generated in the coating after sand blasting is less than that in the non-sandblasting coating. This was attributed to the plastic deformation occurring in the WC substrate during coating after sand blasting. In contrast to the scratch test results, sand blasting was assum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dhesion between the coating and substrate. This is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microcracks due to plastic deformation in the WC substrate under the coating after sand blasting.

파라핀 지관 구조체를 활용한 Air-Deck 발파공법의 지반진동 저감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nd Vibration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Air-Deck Blasting Method Using Paraffin Waxed Paper Tube)

  • 민경조;김영근;신찬휘;조상호
    • 화약ㆍ발파
    • /
    • 제41권1호
    • /
    • pp.32-45
    • /
    • 2023
  • 국내의 환경규제는 산업현장에서 발파를 수행하는데 있어 상당히 보수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 규제 및 민원의 발생을 고려한 발파 설계가 진행되어 불가피하게 발파의 효율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발파공해를 저감하는 동시에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발파공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라핀 지관을 에어갭으로 활용한 원리상 일종의 Air Decoupled Charge 공법을 적용한 PA-Deck(Paraffin Air- Deck) 발파공법의 발파 공해 저감 및 발파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발파 진동 자료를 수집하는데 있어 새롭게 적용한 장비의 효용성을 검토하고 폭약의 폭굉속도와 진동속도간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발파 진동속도 분석 결과, PA-Deck 발파공법이 일반 발파공법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진동속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균일한 작은 형태의 파쇄석들이 더욱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주식 발파공법 개발에 대한 기초적 연구 - 리듬감 부여에 관하여 - (A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Orchestra Blasting Method - About the Application of Rhythm -)

  • 윤지선;최성현;배상훈
    • 화약ㆍ발파
    • /
    • 제26권1호
    • /
    • pp.39-48
    • /
    • 2008
  • 그 동안 우리나라와 같이 터널 및 노천 발파 현장 근거리에 보안물건이 위치해 있어 진동제어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서 진동제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자뇌관을 이용하여 불쾌감을 주던 발파음을 쾌적한 발파음으로 전환하고자 연주식발파공법(Orchestra blasting method, OBM)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리듬감구현에 중점을 두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단발발파를 실시하여 독립파형을 획득, 누적 파형합성프로그램(Program blasting wave, PBW)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 현장의 최적지연초시는 34ms를 나타내었고, 50ms이상에서는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리듬감 구현에 필요한 지연시차를 선택한 음악의 실제 연주 시간을 분석하여 결정하였고, 그 결과 실제 연주 시간에 맞춰 기폭된 발파음은 큰 북으로 연주하는 듯한 느낌을 주는 쾌적한 발파음으로 전환시킬 수 있었다.

NDC 및 Wide Space 혼합공법을 통한 발파효율 개선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Combining NDC Blasting Method and Wide Space Blasting Method to Increase Blast Efficiency)

  • 노상림;노승환;이상필;이훈연;이태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5호
    • /
    • pp.387-393
    • /
    • 2006
  • 본 연구는 발파 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발파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NDC(New Deck Charge) 공법 및 Wide space 공법을 혼합하여 발파를 실시한 사례연구이다. NDC 공법은 종이분리봉을 이용하여 분산장 약을 실시하는 공법으로 발파 시 진동은 저감시키나 공저부에서 발파효과가 저감되는 경향을 보인다. Wide Space 공법은 기존의 일반적인 발파공법에 비해 파쇄입도를 조절하고 발파효율을 높이는데 유리한 공법이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두 가지 공법을 혼합하여 현장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진동속도가 감소되고 발파효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조건에서 발파를 실시하여 자료를 축적한다면 민원저감 및 공기단축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파패턴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선대구경 수평보링 발파공법(PLHBM)의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PLHBM)

  • 백종현;백상현;한동훈;원아람;김창섭
    • 화약ㆍ발파
    • /
    • 제30권2호
    • /
    • pp.66-76
    • /
    • 2012
  • 발파기술은 굴진효율의 최대화와 동시에 진동, 소음을 최소화 해야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발파효과를 최대한 높이며 진동, 소음을 줄이는 것이 발파기술의 핵심이며 이러한 장점을 가진 터널발파공법인 PLHBM의 설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PLHBM은 250~1,000mm의 대구경 무장약공을 심발부에 천공하여 발파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발파진동 저감효과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터널발파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LHBM의 설계방법을 연구, 제시함으로써 터널발파공법의 발전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전자뇌관과 비전기뇌관을 조합한 터널발파 시공사례 (Tunnel Blasting case by Combination of Electronic Detonator and Non-electric Detonator)

  • 이민수;김희도;이효;이준원
    • 화약ㆍ발파
    • /
    • 제36권1호
    • /
    • pp.34-38
    • /
    • 2018
  • 철도터널 발파 시 근접한 보안물건에 대하여 발파진동 및 소음을 제어하고, 여굴방지를 목적으로 전자뇌관과 비전기뇌관을 조합한 발파시스템(Supex Blasting Method)을 적용하여 보성~임성리 ${\bigcirc}{\bigcirc}$ 철도건설공사에서 시험발파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파진동과 소음은 허용기준치 이내로 측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자뇌관과 비전기뇌관을 조합한 터널발파 시스템은 공사비 절감, 발파진동 및 소음제어를 통한 민원방지 효과 및 여굴제어로 굴착예정선 주변의 암반손상권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