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nched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5초

성남시 무료 노인 급식에서 제공되는 고구마줄기무침의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Seasoned Sweet Potato Stems in a Free Meal service Operation for the Elderly in Sungnam)

  • 박지현;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99호
    • /
    • pp.378-387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HACCP for a prepared side dish of sweet potato stems, within a free meal service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 Sungnam area. Total bacterial counts (TBC) and levels of coliforms and Esherichia coli (E.coli) were analyzed through an eight step cooking process. The TBCs of the raw samples ranged between 3.30 and 1.37${\times}10^4$ CFU/g per 100 cm$^2$ The trimmed, blanched, and drained sweet potato stems showed a mean TBC value of 1.37${\times}10^4$ CFU/g, and the level of coliforms was 1.48${\times}10^3$ CFU/g. Among the eight samples, however, after stir-frying and serving, the TBC decreased to a standard satisfactory level, and a coliforms and E. coli were not found. A five step process was used and samples were taken to check the microbial quality of the cook and cooking equipment. Here we tested for TBC, coliform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nd Salmonella. Specifically, the TBC and number of coliforms were examined on the cook's hand's, cutting board, and knife, as they represented hazards for cross-contamination. The three inspection steps of preparation of the trimmed, rinsed, blanched, and drained sweet potato stems, cook's' hands, cutting board and knife were all considered CCPs, and a manual of cooking process management was established to improve the risk factors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reinforces that microbiological analysis is as a valuable tool for checking what points and stages of the cooking process must be controlled.

열처리한 채소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between Raw and Heat-Treated Vegetables)

  • 김소영;이영민;김정봉;박동식;고정숙;김행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8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types of vegetables (carrots, crown daisy, mugwort, cabbages, onions, and garlic) based on heat-treated cook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roximate contents (crude protein, fat, and ash) were lower in blanched samples than in untreated samples. Untreated cabbag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otal dietary fiber content, which decreased by blanching and increased by high-temperature/high-pressure (HTHP) treatment. Noteworthy is that, in the case of soluble dietary fiber, blanched crown daisy and mugwort showed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12.0 g and 7.3 g per 100 g(dry basi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ocopherol content in heat-treated samples.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6.73 g and 5.51 g per 100 g, respectively, in the mugwort sample with HTHP treatment at $130^{\circ}C$ for 2 h. The water extract of mugwort with HTHP treatment had the strongest antioxidant effect based on three bioassays (SOD, DPPH, and ABTS). These results indicate the rel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hysiologically activ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suggest new insights into ingredients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한국산 감자를 이용한 French-Fried Potato의 Texture 개선 (Studies on the Textural Quality Improvement of French-Fried Potato Produced with Korean Potato Varieties)

  • 이영춘;하연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9-234
    • /
    • 1991
  • 국내에서 많이 재배되는 5가지 품종의 감자 중에서 French-fried potato 제조에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고, 이를 원료로 제조한 French-fried potato의 텍스쳐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처리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시험한 다섯가지 감자품종 중에서 Superior를 French-fried potato 제조용으로 선정하였다. Superior를 원료로 하여 French-fried potato를 만들 경우 제품의 crispness를 증진시킬 수 있는 처리로, 데치기한 감자 strips을 1시간 이상 대기건조 후 튀김하는 방법, 데치기한 감자 strips을 6%, 전분용액($60^{\circ}C$)에 2분간 침지한 다음 튀김하는 방법, 데치기한 감자 strips을 1.5% HPMC($60^{\circ}C$) 용액에 약 20초 침지한 다음 튀김하는 방법, 데치기한 감자 strips을 한 시간 이상 대기건조한 다음 1.5% HPMC 용액에 약 20초 침지한 뒤 튀김하는 방법이 효과가 있었다. 그 중에서 특히 데치기한 감자 strips을 한 시간 이상 대기건조한 다음 1.5% HPMC 용액에 약 20초 침지한 후 튀김하여 만든 French-fried potato는 외국에서 수입하여 fast food chains에서 판매하는 제품과 유사한 텍스쳐 품질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Blanching, Chemical Dipping, 냉동방법 및 저장기간이 냉동 양송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anching, Chemical Dipping, Freezing Methods and Storage Period on Quality of Frozen Mushrooms)

  • 이영춘;이경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6-540
    • /
    • 1988
  • Blanching시간, chemical dipping, 냉동방법 및 저장기간이 냉동양송이의 texture, 색깔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Whole mushroom의 경우 5분간 blanching한 것은 1-2분간 blanching한 것 보다 shear press값이 현저히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shear press값이 매우 유의성 있게 증가했다. 그러나 냉동방법은 texture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Sliced mushroom의 경우 blanching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shear press 값이 증가하기는 하나 유의성은 없었으며, 저장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texture가 현저히 tough 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시료의 texture를 관능적으로 측정한 결과는 대체적으로 shear press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hemical dipping 방법은 blanching 시간을 짧게하여 냉동양송이의 수율을 높히면서 저장중 색깔의 변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whole mushroom의 수율은 상당히 증진시킬 수 있었다. Sliced mushroom의 경우는 blanching time을 2분이하로 단축시키면 rotary slicer로 절단작업을 할 때 조직이 부스러져 생기는 중량손실이 증가하므로 2분 또는 그 이상의 blanching time이 필요했다.

  • PDF

나물의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s of Green Vegetables)

  • 김영섭;김현영;김세나;이지윤;서동원;최용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92-59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름나물, 참취, 민들레, 미나리, 부추, 곰취, 홑잎나물 등 식생활에서 많이 섭취되고 있는 7종 나물의 생시료와 데친 후의 수분, 단백질, 지질, 회분, 무기질, 식이섬유와 비타민 함량 등 영양성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데치기 전후 7종 나물의 수분 함량은 각각 71.28~92.68 g/100 g과 76.90~92.09 g/100 g으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영양성분 비교 분석을 위해 수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의 함량은 건조물 중량 100 g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곰취가 33.38 g/100 g과 4.50 g/100 g으로 분석시료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회분 함량은 비름나물이 19.89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홑잎나물에서 5.21 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 중 칼슘 함량은 비름나물이 1,534.4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다음으로 곰취, 민들레, 홑잎나물, 참취, 부추, 미나리 순으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철 함량은 민들레가 55.23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나트륨 함량은 비름나물이 743.18 mg/100 g으로 기타 채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칼륨과 마그네슘 함량은 비름나물에서 각각 7,710.63 mg/100 g과 1,786.67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식이섬유는 홑잎나물, 부추, 미나리, 비름나물, 곰취, 참취, 민들레 순으로 홑잎나물에서 59.75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리보플래빈 함량은 곰취와 참취가 각각 3.10 mg/100 g, 3.08 mg/100 g으로 기타 채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비타민 C 함량은 홑잎나물에서 468.28 mg/100 g으로 기타 나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민들레 시료는 22.48 m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영양소 권장섭취량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단백질, 칼슘, 식이섬유, 비타민 등 성분에 대해서는 홑잎나물이 기여도가 높았다. 철 성분은 민들레가 기여도가 컸으며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등 성분은 비름나물이 성인 권장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나물은 종류에 따라 영양성분 함량의 차이가 있으며, 어느 한 종류의 나물을 섭취하기보다 여러 가지 나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Blanching 조건(條件) 및 산(酸)·알칼리 처리(處理)가 당근주우스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 Acid and Alkali Treatments on the Qualities of Carrot Juices)

  • 김운성;김성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35-145
    • /
    • 1983
  • 당근 주우스 개발(開發)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당근의 blanching 조건(條件), 산천리(酸處理), alkali 처리(處理) 및 살균처리(殺菌處理)가 당근 주우스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당근을 $90{\sim}100^{\circ}C$의 열탕(熱湯) 중(中)에서 15~5분간(分間) blanching하였을 때 $100^{\circ}C$에서 5분간(分間) 처리(處理)한 것이 당근 주우스의 당도(糖度), amino-N, suspended solid, 광투과도(光透過度) 및 수율면(收率面)에서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2. 당근을 0.05N의 구연산, 초산용액(醋酸溶液) 및 0.03N의 염산(鹽酸) 용액(溶液) 중(中)에서 blanching하였을 때 초산용액처리(醋酸溶液處理)가 주우스의 suspended solid, 광투과도(光透過度), 점도(粘度) 및 수율면(收率面)에서 유리(有利)하였다. 3. 당근 주우스의 제조공정(製造工程) 중(中)에 있어서의 변색(變色)은 blanching 조건(條件)에 의(依)해서 좌우(左右)되었으며 살균공정(殺菌工程) 중(中)에는 거의 변색(變色)되지 않았다. 4. 당근 주우스 제조공정(製造工程) 중(中)에 있어서의 ${\beta}$-carotene의 변화(變化)는 심(甚)하지 않았으며 당근을 파쇄(破碎)하여 $115^{\circ}C$에서 30분간(分間) 살균(殺菌)하였을 때에도 80%내외(內外)의 ${\beta}$-carotene이 잔존(殘存)하였다. 5. 희초산용액(稀醋酸溶液) 중(中)에서 blanching한 후(後) 착즙(搾汁)한 당근 주우스에 alkali를 첨가(添加)하여 중화(中和)한 후(後) 살균(殺菌)하였을 때에는 화학성분(化學成分)의 변화(變化)는 거의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변색(變色)이 뚜렸하였고 광투과도(光透過度)가 증대(增大)되어 품질(品質)을 저하(低下)시키는 원인(原因)이 되었다. 6. 무처리(無處理) 당근 주우스 중(中)의 당류(糖類)의 조성(組成)은 ribose 8.51%, fructose 10.15%. glucose 12.25%, sucrose 49.53% 및 oligosaccharide 19.56%로 구성(構成)되어 있었으며 비등수 중(中)에서 blanching하였을 때에는 이당류(二糖類) 이하(以下)의 당(糖)의 함량비(含量比)가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으나 oligosaccharide는 약간(若干) 증가(增加)하였고 산액중(酸液中)에서 blanching하거나 이를 더욱 중화(中和), 살균(殺菌)하였을 때는 ribose와 sucrose의 함량비(含量比)가 현저(顯著)히 증가(增加)하였으며 fructose와 glucose도 약간(若干)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7. 당근 주우스 중(中)에서 19가지의 유리(遊離) amino산(酸)이 동정(同定)되었고 주요 amino산(酸)은 threonine + aspargine, alanine, serine + glutamine, aspartic-acid, arginine 및 glutamic acid 등(等)이었다.

  • PDF

Oral Submucous Fibrosis in a 26-Year-Old Sri Lankan Man Living in South Korea

  • Chae, Hwa Suk;Byun, Jin-Seok;Jung, Jae-Kwang;Choi, Jae-Ka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2권3호
    • /
    • pp.81-84
    • /
    • 2017
  • Oral submucous fibrosis (OSF) is a premalignant condition characterized by juxtaepithelial fibrosis of the oral cavity. The clinical manifestations include burning sensation to spicy food, blanched oral mucosa with palpable fibrous bands, trismus, depapillation of tongue, and dry mouth. As OSF is predominantly seen in people of the Indian subcontinent, cases of this disease have been rarely reported in South Korea. We present a case of OSF in a Sri Lankan man living in South Korea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hancing knowledge of this disease while the number of immigrants is increasing.

HPLC를 이용한 식품의 ascorbic acid 함량의 분석과 조리에 의한 변화 (Analysis of ascorbic acid contents in raw, processed, and cooked foods by HPLC)

  • 계승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01-208
    • /
    • 1993
  • The ascorbic acid contents of 101 food items were analyzed by HPLC to provide database to estimate dietary intakes of ascorbic acid of Korean. Foods with high contents of ascorbic acid were green vegetables, citrus fruits, strawberry, kiwi, and fruit juices. This analysis data of ascorbic acid contents in some food items showed significant deviations compared with other Food Composition Table. Ascorbic acid content in s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raw foods by about 57%. The ascorbic acid contents in blanched or seasoned after blanching vegetables and boiled or steamed meals turned out to be decreased by about 52.3% and 47.5%, respectively, but the degrees were varied with the kind of foods as well as cooking methods. The ascorbic acid intakes from 18 most frequently consumed meals in Korea were determined to be about 1/2 of Food Composition Table according to this analysis data. The results showed the importance of accurate food database in assessing nutrient intake levels of population.

  • PDF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항산화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Antioxidant and Physicochemical Changes in Salvia plebeia R. Br. after Hot-air Drying and Blanching)

  • 정지숙;김용주;최보름;고근배;손병길;강석원;문승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93-900
    • /
    • 2014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나물을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 94.64 mg/g이었으며, 데친 후에는 48.40 mg/g으로 감소하였다.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9.70 mg/g이며, 데친 후에는 22.10 mg/g으로 감소하였다. 농도 비례적으로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25{\mu}g/mL$ 농도에서 ascorbic acid, 열풍건조 및 데친 후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가 각각 94.5%, 84.3% 및 59.7%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당 함량은 각각 7,187 mg/100 g과 6,104 mg/100 g으로 데친 후에 감소하였다. 데치는 과정 중 sucrose와 maltose는 감소하고 glucose와 fructose는 증가하였다.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이었으며, 데친 후에는 succinic acid가 감소한 반면에 citric acid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Glucose와 fructose는 citric acid의 생성에 영향을 주며, sucrose와 maltose는 tarta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의 생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4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methionine, lysine, glycine, histidine, cyst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배암차즈기는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다른 종류의 나물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나,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가 61.76%로 필수아미노산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열풍건조 배암차즈기는 비아미노산인 norvaline과 GABA가 각각 1.40 mg/100 g과 39.00 mg/100 g으로 상당량 검출되었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 및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배암차즈기는 나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블랜칭 처리에 의한 신선편이 둥근마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Dioscorea bulbifera treated under various blanching conditions prior to vacuum-packaging during storage)

  • 성봉재;김선익;지무근;김수동;권아름;김현호;이가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65-575
    • /
    • 2017
  • 둥근마를 신선편이 형태로 제조 포장하여 소비를 촉진하고자 하였으며, 박피 및 dice형태로 자른 둥근마를 세척, 열수 및 2%염수에서 블랜칭 처리를 한 후 온도에 따라 예건처리를 하여 진공포장을 한 후 $2^{\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블랜칭 처리 후, HB마가 경도가 가장 낮았으며 포장 전 $40^{\circ}C$$50^{\circ}C$에서 30분간 예건처리한 것이 상온에서 처리한 것보다 경도가 높게 나타났고,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미미하게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Adhesiveness는 SB50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동안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둥근마 dice의 초기색도는 L 값은 WRT마가 가장 높았고, a 값은 HBRT마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W40마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L 값과 a 값은 SB50마가 감소의 폭이 가장 적었고 b 값은 W40마가 가장 변하지 않았다.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dice마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90일째까지 세균수가 가장 적은 처리구는 SB50마이었고, 그 다음이 HB50마이었으며 초기 세균수가 적으면서 진공포장이 유지된 WRT마에서도 저장성이 인정되었다. 둥근마 원료의 dioscin과 diosgenin의 함량은 건물중으로 17.65 mg% 및 6.35 mg%이었으며 전처리를 행한 결과 dioscin함량은 HB마가 15.35-16.10 mg%로 가장 높았지만 저장일수가 증가하는 동안 감소의 폭이 가장 적었던 처리구는 SB마이었다. Diosgenin함량은 저장 전 마중에 SB40과 SB50마가 6.22 및 6.21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원료마 중 allantoin 및 allantoic acid의 함량은 각각 및 3.66 mg/g 및 28.70 mg/g이었으며 전 처리한 시료 중에서 W40과 W50마에서 각각 5.21 mg/g, 및 4.66 mg/g으로 원료가 가진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고 저장 30일까지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그 이후는 함량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 Allantoic acid함량의 변화를 보면 저장 30일째까지는 약간 증가하는 처리구가 있었으나 대부분 저장기간일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둥근마를 dice형태로 자른 후 2% 염수에 30초간 블랜칭하여 진공포장하면 $2^{\circ}C$에서 60-90일간은 유통기한 및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어서 신선편이 형태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