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sugar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8초

흑미강으로부터 유용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추출효율 증진을 위한 아임계수의 효과 (Effect of Subcritical Water for the Enhanced Extraction Efficiency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from Black Rice Bran)

  • 최찬익;정은영;고민정;조상우;장판식;박영서;이경아;백현동;김기태;홍석인;정명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4호
    • /
    • pp.335-3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흑미의 가공부산물인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 및 flavonoid가 새로운 추출방법인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되었고, 열수($80^{\circ}C$), 에탄올, 설탕용액을 이용한 기존 추출법과의 추출효율이 비교 분석되었다. 건조된 흑미강 시료로부터 polyphenols(35.06${\pm}$1.28 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7.08${\pm}$0.31 mg QE/g dried material)에 대한 최대 수율이 아임계 추출법($190^{\circ}C$, 1300 psi, 10 min)을 통해 획득되었으며, 이것은 기존 추출법 가운데 가장 높은 수율을 보인 에탄올 추출법을 통한 polyphenols(2.98${\pm}$0.74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 (0.58${\pm}$0.21mg QE/g dried material) 수율 대비 11.77배와 12.21배 이상 더 높은 것이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흑미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흑미강 시료 1g 당 획득된 추출물의 건조중량 차이 비교를 통해서 얻어진 건조 흑미강 1g 당 함유된 항산화 성분의 상대수율(relative yield, %)은 최적조건($190^{\circ}C$, 1,300 psi, 10 min)의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획득된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것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상대수율에 비해 대략 11.53배 이상 더 높은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아임계 추출법이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s 및 flavonoids를 추출하는데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설명하고 있으며, 유기용매 추출법을 포함한 기존의 전통적 추출법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대안임을 제시하고 있다.

흑토란의 식품재료화를 위한 숙성 조건에 따른 토란의 특성 및 관능 최적화 (Characteristics and Sensory Optimization of Taro (Colocasia esculenta) under Different Aging Conditions for Food Application of Black Taro)

  • 전유호;이지원;손양주;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33-141
    • /
    • 2016
  • 토란은 풍부한 영양 성분과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나 활용도가 높지 않고, 옥살산 등의 독성 성분과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지며 갈변 현상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상품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가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란을 증자, 숙성,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차로 음용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품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공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흑토란이라 명명하였다. 흑토란을 제조하기 위하여 증자($95{\pm}3^{\circ}C-1\;h$) 후 다양한 조건(85, 90, $95^{\circ}C-20$, 40, 60 h)에서 숙성시켰으며, 이를 건조($60^{\circ}C-24h$)하여 분말화하였다. 그 후, 이화학적 특성, 산화방지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관능적 최적점을 탐색하였다. 토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생토란은 87.69%의 수분 함량을 보였고 증자 시 90.70%으로 증가하였다가 흑토란에서 4.87-8.56%로 감소하였다. 흑토란은 생토란과 증자 토란에 비해 탄수화물,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조섬유는 생토란에서 0.45%, 흑토란에서 5.23-7.86%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질 성분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포타슘 함량이 가장 높았다. 토란의 총당과 함량 결과, 생토란은 112.53 mg/g, 증자 토란은 70.51 mg/g을 나타냈으며, 흑토란은 숙성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54.94-120.03 mg/g의 함량을 보였다. 환원당은 42.48 mg/g에서 증자 후 12.29 mg/g로 감소하였으며, 흑토란에서 12.73-24.14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분말색도는 생토란을 열처리함에 따라 L값이 84.57에서 증자 토란의 71.05, 그리고 흑토란에서 47.91-55.28으로 감소하였으며, a값은 증가하고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갈색도는 생토란에서 0.08의 값을 나타냈고, 증자 후 0.02로 감소하였다가 흑토란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90^{\circ}C$에서 40시간 숙성한 토란에서 0.88의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옥살산칼슘 함량 측정 결과, 생토란에서 59.07 mg/100 g의 함량을 보였으며, 증자 후 37.20 mg/100 g으로 감소하였고, 숙성 과정을 거치며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90^{\circ}C$에서 60시간 숙성시킨 토란에서 11.46mg/100 g의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흑토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20.61-28.30 mg GAE/g의 값을 나타냈으며, 숙성 온도에 따라서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흑토란의 산화방지 활성을 DPPH, ABTS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FRAP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모두 숙성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67-7.52 mg VCE/g의 값을, ABTS 라디칼 소거능은 9.63-20.32 VCE/g의 값을 나타냈으며, 두 소거능 모두 $95^{\circ}C$에서 60시간 숙성시킨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FRAP 활성 또한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3.43-6.79 mg VCE/g의 값을 나타내었다. 흑토란의 관능 최적 숙성 조건을 탐색하기 위하여 색,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색($R^2=0.8471$), 맛($R^2=0.8244$), 전반적인 기호도($R^2=0.7480$)에 대하여 유의한 반응 표면을 이끌어낼 수 있었으며,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실험 범위 내의 최적점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맛: $88.73^{\circ}C$, 39.50시간, 전반적인 기호도: $88.82^{\circ}C$, 42.60시간). 관능 특성간의 상관 분석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에는 색, 맛, 향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맛(r=0.884)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토란의 숙성 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관능적으로 최적이 되는 토란의 숙성 조건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생토란에 비해 흑토란에서 섬유소 함량의 증가, 옥살산칼슘의 유의적인 감소, 그리고 갈변 반응으로 인한 생리활성 성분의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높은 산화방지 효과를 위해서는 높은 온도에서 오랜 시간 숙성이 필요하며, $88.73-88.82^{\circ}C$의 온도에서 39.50-42.60시간 동안 숙성시켰을 시 관능적으로 우수한 흑토란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토란의 이용성을 증대시키며 흑토란 분말의 다양한 식품재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의 제조 (Wine Making using Campbell Early Grape with Different Yeasts)

  • 김경환;한기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3-48
    • /
    • 2011
  •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재배된 시판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 5종류를 사용하여 전통 제조방법에 따른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15일간의 발효과정 중 매일 시료를 채취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pH는 3.0~3.3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산도는 0.4~0.9%로 유지되었으며, 당도는 발효주의 초기당이 24 Brix에서 발효 종료 시 6~7 Brix로 감소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발효 종료 시 13.2~14.4%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종료시 EC-1118의 알코올 함량이 다른 효모들에 비해서 많이 생성되었다. 그러므로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해 볼 때 효모 EC-1118이 알코올 생성 능력이 뛰어나므로 산업화에도 적합하리라고 본다. 색도분석 결과 L값은 black과 white 사이의 다양한 값이 나타났고, a값은 red 계열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b값은 blue와 yellow 사이의 다양한 값이 나타났다. 폴리페놀 함량은 1000 ppm 전후로 나타났으며, 관능평가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효모 EC-1118이 가장 높았으며, Fermivin은 색을 제외한 나머지 기호도에서 전체적으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관능적 특성을 비교했을 때 색상, 향, 맛, 목넘김, 후미, 종합적 기호도 등 모든 부분에서 효모 EC-1118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 볼 때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서 효모 EC-1118이 캠벨얼리 포도주에 가장 적합한 효모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가 포도주 산업과 연계된다면 더 좋은 제품이 나올 것으로 생각된다.

목이의 균사생육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 of mycelial culture in ear mushroom)

  • 유영진;최규환;정종성;이기권;최소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0
    • /
    • 2013
  • 목이의 균사생육에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 최적온도는 $25^{\circ}C$, pH는 6~7범위에서 균사생육이 양호하였다. 배지원 선발로 무기염류종류와 농도는 $MgSO_4{\cdot}7H_2Os$ 0.05%, $KH_2PO_4$ 0.1%에서 균사생육이 양호하였고, 탄소원은 흑설탕 2%첨가에서 균사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질소원은 콩가루를 0.3~0.5%로 첨가하였을 때 목이버섯의 균사생육이 제일 양호하였다.

쌀보리의 무증자 Alcoho 효소에 관한 연구 (Alcohol Fermentration of Naked Barley without Cooking)

  • 오평수;차두종;서항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15-420
    • /
    • 1986
  • 주정효소의 전분질 원료인 쌀보리 (Naked barley)에 대한 분해, 당화작용이 강한 maceration enzyme 및 glucoamylase 를 검토하고 이 효소들을 이용한 무증자 alcohol효소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효소들은 곰팡이 기원의 조효소제로서 쌀보리입자의 maceration 작용이 강하였고 생전분 분해력은 pH4.5, 온도 3$0^{\circ}C$, 76시간에서 70% 이상되었다. 또한 황산을 요에 대하여 0.15%(w/v)되도록 가하고 55$^{\circ}C$에서 2시간 동안 침지한 후 이 효소들을 처리하여 무증자 alcohol 발효를 행한 경우, 3$0^{\circ}C$, 96시간 발효에서 alcohol 농도가 10.8%, 발효 효율이 89.5%로서 증자 alcohol 발효에 비해 고농도의 alcohol이 생성되었고 약 3.5% 정도의 효율증가를 나타내었다.

  • PDF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Vinegars Based on Metabolite Profiling and Antioxidant Activity

  • Jang, Yu Kyung;Lee, Mee Youn;Kim, Hyang Yeon;Lee, Sarah;Yeo, Soo Hwan;Baek, Seong Yeol;Lee, Cho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217-226
    • /
    • 2015
  • Metabolite profiles of seven commercial vinegars and two traditional vinegars were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wit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yeast, nuruk, and koji were used as sugars for nutrients and as fermentation substrates. Commercial and traditional vinegars were significantly separated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 discriminant analysis. Six sugars and sugar alcohols, three organic acids, and two other components were selected as different metabolites. Target analysis b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quadruple-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and liquid chromatography-ion trap-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were used to detect several metabolites having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cyanidin-3-xylosylrutinoside, cyanidin-3-rutinoside, and quercetin, which were mainly detected in Rural Korean Black raspberry vinegar (RKB). These metabolites contributed to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in RKB among the nine vinegars. This study revealed that MS-based metabolite profiling was useful in helping to understand the metabolite differences between commercial and traditional vinegars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active compounds of vinegar and antioxidant activity.

에스프레소 희석 커피(아메리카노)의 희석 배수에 따른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luted Espresso(Americano) in Relation to Dilution Rates)

  • 이승연;황인경;박미현;서한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39-847
    • /
    • 2007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wofold: i)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preference of diluted espresso drinks according to different dilution rates; ii)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diluted espresso coffees, using the preferred coffee of this study and commercial products from coffee shop chains. Descriptive analysis using a 15 cm line scale, and a consumer preference test were carried out by 6 trained panelist,; and 50 consumers (F=39, M=11), respectively. Appearance (transparent, black), odor (bitter, rich), taste (bitter, burnt, astringent, umami, sour), and mouth-feel (aftertaste, body, coarseness, oily, roughness, soft-swallow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3-, 5-, 7-, 9-, and 11-times dilution rates. In particular,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mouth-feel showed obvious differences with the dilution rates. In the consumer preference test, the 9-times diluted espresso had the highest preference, whereas the 3-times diluted espresso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Moreover, the 9-times diluted espresso demonstrated simila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H, sugar content, and total solid content to those of the commercial diluted espresso drinks from coffee shop chains. In conclusi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preference of the diluted espressos were influenced by the dilution rates.

Himalayan Medicinal Resources: Present and Future. A Case Study: Andidiabetic Activity of Shilajit

  • Basnet, Purusotam
    • Plant Resources
    • /
    • 제4권3호
    • /
    • pp.161-170
    • /
    • 2001
  • A major portion of drugs used in Ayurvedic system of medicine which has been practiced since the early human civilization in Indian subcontinent were of plant origin. It should be noted that 70% of the population in this region depends on Ayurveda for their medical treatment and 60% of the drug resources are obtained from the Himalayan region. Therefore, Nepal becomes a potential source of plant drug resource since it occupies a major portion of the Himalaya. In the present paper, in general a current status of medicinal plant resources of Himalayan region especially Nepal will be discussed. In addition to this, a typical example of antidiabetic activity of Shilajit will be taken for the discussion. Shilajit is one of the crucial elements in several formulations including those of Rasayana, a therapy in Ayurveda, which has been practiced in the prevention of ageing and mental disorder. Although, Shilajit is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no satisfactory scientific reports are available up to now. The crude Shilajit in the market is a dark brown or black rock-like substance collected from the Himalayan region with a strong smell of cow's stale urine. In our studies, Shilajit (collected in the central Himalayan region) prevented the diabetes in nonobese diabetic (NOD) mice model. Shilajit also prevented the diabetes in the rats against the action of multiple low-dose (10 mg/kg, i.v., 5 times) of streptozotocin. On the other hand, Shilajit did not show antioxidative activity. The preventive action of Shilajit on diabetes is mainly focused on the Thl and Th2 cell activities, since Th2 cells ac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upregulated. Shilajit, however, showed a mild action in controlling the blood sugar level in young, old, and mild diabetic rats, but not in the severe diabetic rats. It also stimulated the nitric oxide production in macrophages. Based on these evidences, the antidiabetic activities of Shilajit appear to be immunomodulative probably by protecting or strengthening insulin-producing b-cells in the pancreas. Further systematic research on constituents of Shilajit and its quality evaluation is necessary to enable the use of natural medicines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 PDF

포도흰얼룩증상의 발생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Stain Symptom on the Grape in Korea)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8-183
    • /
    • 2014
  • BACKGROUND: The white stain symptom of grape clusters and canes by dust-like particles occurred in many vineyards rec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stain symptom in grapevines and vineyards. METHODS AND RESULTS: Optimal climate condition for white stain symptom was $25^{\circ}C{\sim}30^{\circ}C$ with 60% of humidity. Moreover, closed condition with same humidity showed higher incidence rate of white stain symptom than ventilation condition. Grape varieties with black berry skin such as Campbell-Early and Kyoho were more sensitive to white stain symptom compare to varieties with green and red berry skin. Although the pathogens were not detected until March, they increased from April, and increased sharply from mid of July. The pathogens may overwinter in the infected stems and/or on the bark as a mycelium.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sugar content of grape from August to September, the mycelium which was parasitic on the bark grew to move to the fruits through the stems, and finally reached the fruit stalk to detach berries from the clusters. CONCLUSION: Well ventilation is recommended inside the vineyard since mid-July with roll up an insect net. In addition, infected stems and fruits should be removed out from grapevines infected with pathogens in the vineyards.

HIMALAYAN MEDICINAL RESOURCES: PRESENT AND FUTURE. A CASE STUDY: ANTIDIABETIC ACTIVITY OF SHILAJIT

  • Basnet, Purusota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1년도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20-33
    • /
    • 2001
  • A major portion of drugs used in Ayurvedic system of medicine which has been practiced since the early human civilization in Indian subcontinent were of plant origin. It should be noted that 70% of the population in this region depends on Ayurveda for their medical treatment and 60% of the drug resources are obtained from the Himalayan region. Therefore, Nepal becomes a potential source of plant drug resource since it occupies a major portion of the Himalaya. In the present paper, in general a current status of medicinal plant resources of Himalayan region especially Nepal will be discussed. In addition to this, a typical example of antidiabetic activity of Shilajit will be taken for the discussion. Shilajit is one of the crucial elements in several formulations including those of Rasayana, a therapy in Ayurveda, which has been practiced in the prevention of ageing and mental disorder. Although, Shilaiit is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no satisfactory scientific reports are available up to now. The crude Shilajit in the market is a dark brown or black rock-like substance collected from the Himalayan region with a strong smell of cow's stale urine. In our studies, Shilajit (collected in the central Himalayan region) prevented the diabetes in nonobese diabetic (NOD) mice model. Shilajit also prevented the diabetes in the rats against the action of multiple low-dose (10 ㎎/㎏, i.v., 5 times) of streptozotocin. On the other hand, Shilajit did not show antioxidative activity. The preventive action of Shilajit on diabetes is mainly focused on the Th1 and Th2 cell activities, since Th2 cells ac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upregulated. Shilajit, however, showed a mild action in controlling the blood sugar level in young, old, and mild diabetic rats, but not in the severe diabetic rats. It also stimulated the nitric oxide production in macrophages. Based on these evidences, the antidiabetic activities of Shilajit appear to be immunomodulative probably by protecting or strengthening insulin-producing b-cells In the pancreas. further systematic research on constituents of Shilajit and its quality evaluation is necessary to enable the use of natural medicines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