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rice bra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 of Feeding Cyanidin 3-glucoside (C3G) High Black Rice Bran 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Pigs

  • Kil, D.Y.;Ryu, S.N.;Piao, L.G.;Kong, C.S.;Han, S.J.;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2호
    • /
    • pp.1790-1798
    • /
    • 2006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yanidin 3-glucoside (C3G) high black rice bran 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pigs. In Exp. I, a total of fifteen pigs (19.91${\pm}$1.80 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in assay of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measurements. All pigs were allotted to 5 treatments with 3 replicates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in an individual metabolic crate.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2) BRB-2: basal+brown rice bran 2%, 3) BRB-4: basal+brown rice bran 4%, 4) CRB-2: basal+C3G high black rice bran 2% and 5) CRB-4: basal+C3G high black rice bran 4%.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crude fat (CF), crude ash (CA) and crude fiber (CF)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Serum triglyceride (TG)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by addition of C3G high black rice bran. However, at the end of experiment, pigs fed rice bran showed decreased tendency in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Especially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significantly lowe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compared to pigs fed brown rice bran (p<0.03). There was numerically lowe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ith increasing levels of black rice bran in the diet. In terms of serum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even though pigs fed CRB-4 showed the lowest GOT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pigs. In Exp. II, sixteen finishing pigs (average initial body weight 89.96${\pm}$0.35 kg)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3G high black rice bran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among the treatments.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numerical decrease in ADG and increase in FCR while not effecting feed intak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 weight, carcass weight, carcass rate, backfat thickness and carcass grade. However,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tended to show lower backfat thickness than pigs fed basal diet.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a tendency of decreased TBA value than pigs fed basal diet, although there was no overall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conclusi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ing C3G high black rice bran to pigs. However, C3G high black rice bran might have an effect on lowering serum total cholesterol and decrease the TBA value in pork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se effects might be due to high concentr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C3G high black rice bran.

흑미의 도정분획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 공수현;최용민;이선미;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15-8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흑미 두 품종(흑진주벼와 흑광벼)의 도정 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흑미의 항산화 성분으로 polyphenolic, flavonoid, anthocyanin과 ${\gamma}$-oryzanol, tocopherol 및 tocotrieno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DPPH와 ABTS radical 제거능을 측정하였다. 각 도정 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에서 rice bran 층에서 약 $15.3{\sim}15.5%$의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endosperm 메탄올 추출물에서 약 $0.9{\sim}1.1%$의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실험결과 rice bran의 추출물에서 endosperm, whole grain의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항산화 성분이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 성분이 다량 분포하는 rice bran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력을 측정할 수 있었다. 품종 간에는 흑진주벼의 rice bran층의 항산화 성분이 흑광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흑미의 rice bran은 기능성식품의 성분으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with Black Rice Bran and Organic Acid to Substitute Synthetic Caramel Colorant

  • Kim, Tae-Kyung;Hong, Seung-Hee;Ku, Su-Kyung;Kim, Young-Boong;Jeon, Ki-Hong;Choi, Hee-Don;Park, Jong-Dae;Park, Kwoan-Sik;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52-560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with 1% (w/w) black rice bran only (T1), or with black rice bran and one of the following four types of organic acid: ascorbic acid (T2), citric acid (T3), tartaric acid (T4), or maleic acid (T5) as a substitute for caramel colorant. Tteokgalbi with only black rice bran showed the highest (p<0.05) values of moisture content and water holding capacity (WHC),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 content, fat content, ash content,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s in treatments and controls (p>0.05). All the treated samples with any one of the four organic acids showed lower pH than controls (p<0.05). The lightness and redness of Tteokgalbi treated with any one of the four organic acids and black rice bran were higher than those of T1.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s of T4 and T5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p<0.05). With regards to sensory characteristics, T1 and T2 showed overall acceptability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s (p>0.05). The results reported in this study show that Tteokgalbi with black rice bran and any one of the four organic acids listed above not only improved quality characteristics in cooking loss, WHC, lipid oxidation but also could successfully replace the synthetic caramel colorant. Overall, the most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by adding black rice bran and ascorbic acid.

흑미 미강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 주신윤;최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2-1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0, 1, 3, 5, 7, 9%)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흑미 미강 분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11.81{\pm}0.03$ mg GAE/g이며, 이를 쿠키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흑미 미강 분말과 쿠키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의 결과 흑미 미강에는 섬유소와 지방의 성분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의 분석에서 흑미 미강은 약 80%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성분은 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로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산의 분석에서 대조군에 비해 7% 첨가 쿠키가 높은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밀도는 흑미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쿠키의 수분함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퍼짐성 지수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손실율과 팽창률은 감소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쿠키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외관, 향, 맛, 조직감)에서 5%와 7% 흑미 미강 쿠키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성 강도 검사(흑미 미강 향, 고소한 맛, 부드러운 정도, 삼킨 후의 느낌)에서는 흑미 미강을 첨가한 쿠키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느끼한 향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쿠키에 흑미 미강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쿠키의 기호도를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쿠키 제조시 기호도가 가장 높고 항산화능이 좋았던 7%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흑미 왕겨 추출물을 이용한 견직물의 천연염색 (Natural Dyeing of Silk Fabrics with Black Rice Bran Extract)

  • 이근숙;배도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7권
    • /
    • pp.13-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fficient use of the black rice bran for dyeing textiles.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proper extracting conditions of black rice bran, dyeability and dyeing fastness of dyed silk fabrics. To find proper extracting condition of black rice bran, we extracted black rice bran with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s($40^{\circ}C$, $60^{\circ}C$, $80^{\circ}C$), different extracting pH(pH3, pH4, pH5, pH6) and extracting time(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min.). Also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yeing time(1, 2, 3, 4, 5, 6hr.), dyeing temperature($40^{\circ}C$, $60^{\circ}C$, $80^{\circ}C$) and mordanting method(non, pre, sim, post) to examine dyeability and dyeing fastness of dyed silk fabrics. As a result, when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80^{\circ}C$, 3hr., respectively, extracting was best. And the higher the extracting concentration, the more the extracting amount. As the dye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higher and longer, the dyeability of silk fabrics was better. With mordant, the dyeability was improved and when using premordant method better, the K/S value was maximized. The laundering fastness of the silk fabrics dyed with black rice bran was estimated to have a good grade of 3~4, however, the light fastness was poor to have a grade of 1~2.

  • PDF

흑미 미강으로부터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 조건 및 안토시아닌 추출 분말의 저장 안정성 (Optimal Conditions for Anthocyanin Extraction from Black Rice Bran and Storage Stability of Anthocyanin Extract)

  • 김효주;위지향;양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543-1549
    • /
    • 2015
  • 농업 부산물인 흑미 미강으로부터 식품 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안토시아닌을 최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추출 조건을 평가하였다. 흑광 품종 미강의 안토시아닌을 분석한 결과 주요 안토시아닌 성분은 cyanidine-3-glucoside(C3G)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흑미 미강의 안토시아닌을 추출하기 위하여 추출 용매, 추출 온도, 추출 시간에 따라 추출 분말의 수율 및 C3G 함량을 분석한 결과 흑미 미강은 50% 에탄올 용매, $70^{\circ}C$, 2시간 추출에서 안토시아닌이 최적으로 추출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흑미 미강으로부터 최적 조건에서 추출된 안토시아닌 분말을 식품 원료로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저장 온도($-20^{\circ}C$, $4^{\circ}C$, 실온)와 기간(168일)에 따라 색차와 C3G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흑미 미강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닌 분말의 색차는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모두 저장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안토시아닌 분말의 C3G 함량은 저장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안토시아닌 함량과 색도 간에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흑미 미강의 안토시아닌 분말은 저장 168일 후에도 모든 저장 온도에서 C3G 함량이 초기 함량의 90% 이상을 유지하여 매우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토시아닌이 풍부하며 저장 안정성이 높은 흑미 미강의 추출 분말은 식품 산업에서 천연색소 및 기능성 원료로서 활용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Cholesterol-lowering Efficacy of Unrefined Bran Oil from the Pigmented Black Rice (Oryza sativa L cv. Suwon 415)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Nam, Yean-Ju;Nam, Seok-Hyun;Kang, Mi-Y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57-463
    • /
    • 2008
  •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the unrefined rice bran oil from 'Suwon 415' pigmented black rice (BRBO) on cholesterol metabolism and cellular antioxidant status were investigated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total cholesterol (TC)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concentrations was observed in the plasma of rats fed BRBO. BRBO also decreased plasma and hepatic oxidative stress as a result of increased levels of hepatic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s associated with the elevations of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ies together with increased plasma level of tocopherol. This study indicates that dietary BRBO supplement can leads to the improvement of overall cholesterol metabolism and antioxidant status even more effectively than 'Chuchung' white rice (WRBO). Consumption of BRBO may also protect the liver from oxidative damage caused by lipid peroxidation.

쌀 가공식품 제조용 소재로서의 도정 부산물 활용 방안 (I) - 흑미 미강 색소 분획의 쌀 배아 산패 억제 효과 - (Application of Rice Polishing By-products to Processed Rice Food (I) - Antioxidative Effect of Black Rice Bran Pigment Fraction on Rice Embryo Lipid Oxidation -)

  • 조민경;김성홍;강미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61-367
    • /
    • 2008
  • 본 연구는 쌀 배아의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 배아의 성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산패되기 쉬운 배아의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방편으로 흑미 미강 색소 추출물을 1%와 5%로 첨가하여 색소 안정성과 배아 산패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검정하였다. 배아는 미강에 비해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골고루 많이 분포되어 있어 주요한 아미노산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지질의 함량이 높아 저장 중 유지의 변패가 우려되었다. 흑미찹쌀 미강 색소 추출물은 $4^{\circ}C$의 온도에서 산성상태를 유지할 경우, 9일간의 저장 후에도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아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산패의 기준이 되는 산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배아에 흑미 미강 색소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배아의 산패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흑미 미강 색소 추출물의 배아 유지 산패 저하 효과는 저장 기간이 길수록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배아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제조 시에 흑미 미강 색소 추출물을 첨가하게 되면 저장에 따른 배아 유지의 산패를 저하시켜 저장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이랑폭과 피복재에 따른 도라지의 입모율 및 수량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of Platycodon grandiflorus by Ridge Width and Mulching Materials)

  • 조영손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3-237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of direct-sown Platycodon grandiflorus seeds cultured by three ridge width, 0.4, 0.8, and 1.2 m and four mulching materials, rice straw, rice bran, black plastic film, and no mulching in upland. Seedling establishment rate (70%) was the highest in rice straw mulched plot of 500 seeds/$m^2$ sowed and root yield after one year was also the highest in rice straw mulched treatment and followed by rice bran, no mulching, and black plastic film treatment. In this result, ridge width 120cm and rice straw mulching combined treatment was best for getting the highest seedling establishment ratio and seedling numbers per area. However, ridge width and mulch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soil moisture content and weed population for saving labor cost.

슈퍼자미(SuperC3GHi) 미강 발효물의 생리활성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Rice Bran from Novel Black Colored Rice Cultivar SuperC3GHi)

  • 김동주;최수민;김화영;김중학;류수노;한상준;홍성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20-426
    • /
    • 2011
  • 슈퍼자미(SuperC3GHi) 쌀 품종은 색소 성분인 cyanidine-3-glucoside(C3G)의 함량을 크게 증대시킨 품종이다. 슈퍼자미 벼품종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및 제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슈퍼자미 벼품종의 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항알러지, 항암 기능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1.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염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ear-edema test를 수행한결과 약 35.6%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2.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의 hexoamidase 및 histamine 유리 활성을 조사한 결과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을 처리하였을 때 각각 약 40% 및 57%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3.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한 결과 복수암 모델 및 고형암 모델에서 모두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고, 혈액중 백혈구의 수치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이 항암 활성을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이상의 결과에서 슈퍼자미 품종의 미강을 버섯 균사체 발효를 통해 얻어진 기능성 소재는 항염, 항알러지, 항암 활성을 통해서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