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locus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6초

아까시잎혹파리(Obolodiplosis robiniae)의 생물학적 특성 및 약제 살충 효과 (Biological Characteristic of Obolodiplosis robiniae and Contro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 박지두;신상철;김철수;전문장;박일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27-333
    • /
    • 2009
  • 아까시잎혹파리의 형태, 생태적 특성 및 몇 가지 살충제의 살충활성을 조사하였다. 알은 길쭉한 타원형으로 연한 노란색을 띄다가 부화할 시기가 가까울수록 붉은색이 되며, 장경은 0.4 mm, 단경은 0.1 mm 이었다 유충은 유백색을 띠고, 평균 크기는 2.6 mm 이었다. 번데기는 붉은 기운을 띈 갈색이며 체장은 3.2 mm 내외이었다. 성충의 날개는 검고 배 부분은 붉은색을 띠었다. 암컷의 체장은 3.3 mm 내외로 수컷보다 컸다. 1화기 성충은 땅속에서 우화하여 아까시 나무 어린 잎에 산란을 하고, 2화기 성충부터는 아까시 나무 잎의 벌레 혹에서 바로 우화한다. 암컷 성충의 포란수는 $192.3{\pm}50.7$개 이었다. 1화기는 4월말부터 5월말, 2화기는 5월 말부터 6월 말까지로 약 1개월간 이었고 최성기는 6월 상순이었다. 3화기는 6월 말부터 7월 말까지였다. 알기생봉인 Platygaster robiniae가 동정되었으며, 기생율은 51.6%에 이르렀다. 살충활성을 검정한 결과, 침투이행성 약제인 이미다클로로프리드 10% 수화제와 치아클로프리드 10% 액상수화제가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치아클로프리드는 꿀벌에 대한 독성이 낮아 유효한 약제로 판단되었다.

Inhibition of cell growth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acacetin in FaDu human pharyngeal carcinoma cells

  • Kang, Kyeong-Rok;Kim, Jae-Sung;Kim, Tae-Hyeon;Seo, Jeong-Yeon;Park, Jong-Hyun;Lim, Jin Woong;Yu, Sun-Kyoung;Kim, Heung-Joong;Shin, Sang Hun;Park, Bo-Ram;Kim, Chun Sung;Kim, Do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5권3호
    • /
    • pp.107-114
    • /
    • 2020
  • Acacetin, which is present in damiana (Turnera diffusa) and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has several pharmacologic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cancer cells. However, the effect of acacetin on head and neck cancers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cacetin on cell growth and apoptosis induction in FaDu human pharyngeal carcinoma cells. These were investigat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Live/Dead cell assay, 4',6-diamidino-2-phenylindole dihydrochloride staining, caspase-3 and caspase-7 activation assay, and immunoblotting in FaDu cells. Acacetin induced FaDu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an estimated IC50 value of 41.9 µM, without affecting the viability of L-929 mouse fibroblasts as normal cells. Acacetin treatment resulted in nuclear condensation in the FaDu cells. It promoted the proteolytic cleavage of procaspase-3, -7, -8, and -9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cleaved caspase isoforms in FaDu cells. Acacetin-induced apoptosis in FaDu cells was mediated by the expression of Fas and activation of caspase-8, caspase-3,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Immunoblotting showed downregulation of the anti-apoptotic mitochondrial proteins Bcl-2 and Bcl-xL, but upregulation of the mitochondria-dependent pro-apoptotic proteins Bax and Badin FaDu cells after acacetin trea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cacetin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in FaDu human pharyngeal carcinoma cells via both the death receptor-mediated extrinsic apoptotic pathway and the mitochondria-mediated intrinsic apoptotic pathway.

수목 추출성분을 이용한 식품포장용 골판지 천연 방충처리제 개발 (A Study on the Natural Insectifuge for Food Wrapping Corrugated Board Using Tree Extractives)

  • 배영수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9-19
    • /
    • 2001
  • 본 연구는 식품포장용 골판지에 사용되는 유기합성 구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구충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목의 잎이나 수피 또는 목질부에서 화학성분을 추출하고 그 추출물에 대하여 화락곡나방 유충을 이용한 기피시험을 수행하였다. 아까시나무 목질부와 현사시나무, 수양버들 및 버드나무 수피, 그리고 주목과 비자나무의 잎을 채취하여 아세톤-물(7:3)의 흔합액으로 추출하고 hexane, CH₂Cl₂ ethylacetate(EtOAc)와 물로 분획하여 동결 건조한 후 Sephadex LH-20 칼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단리된 물질들은 NMR 및 MS 분석에 의하여 그 구조를 결정하였다. 각 수종의 EtOAc 또는 수용성 분획은 2% 또는 3% 농도로 인쇄용 잉크에 흔합되어 상업용 골판지에 인쇄하고 이를 기피시험을 위한 재료로 사용하였다. 아까시나무 EtOAc용성 분획에서는 robtin과 dihydrorobinetin이, 수용성 분획에서는 leucorobinetinidin이 단리되었으며 현 사시나무 수피의 EtOAc용성 분획은 (+)-catechin, naringenin, aromadendrin, eriodictyol, sakuranetin 및 그 배당체, taxifolin, neosaturanin, p-coumaric acid 및 salireposide 그리고 수용성 분획에서는 aesculin을 단리하였다. 버드나무 수피의 EtOAc용성 분획에서는 다량의 (+)-catechin 이외에 (+)-gallocatechin 및 p-coumaric acid가 분리되었으며 수양버들 수피의 EtOAc용성 분획에서도 (+)-catechin, (+)-gallocatechin, dihydromyricetin 및 myricetin등이 단리되었다.

  • PDF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Practiced in Coal Mining Spoils in Korea: 2. An Evaluation Bas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 Lee, Chang-Seok;Cho, Yong-Chan;Shin, Hyun-Chul;Lee, Seon-Mi;Oh, Woo-Seok;Park, Sung-Ae;Seol, Eun-Sil;Lee, Choong-Hwa;Eom, Ahn-Heum;Cho, Hyun-J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1호
    • /
    • pp.23-29
    • /
    • 2008
  •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programs for coal mining spoils in Samcheok, Jeongsun, and Mungyung were evaluated bas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rehabilitated areas. These spoils were reclaimed by introducing plants such as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pitch pine (Pinus rigida), birch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lder (Alnus hirsuta), bush clover (Lespedeza cyrtobotrya), and grass (Lolium perenne) in planting beds covered with forest soil. In the surface soil, the pH, organic matter, total N, available P, and exchangeable Ca showed significant changes over the years after reclamation. The pH and exchangeable Ca content decreased exponentially over time, whereas organic matter increased linearly and total N and available P increased exponentially.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bsurface soils displayed a different patter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in the organic matter, available P, and exchangeable Ca and Mg contents of the soil. Organic matter increased logarithmically with years since rehabilitation and available P increased exponentially. Meanwhile, exchangeable Ca decreased exponentially, and Mg decreased logarithmically. The changes in the subsurface soil were not as dramatic as those in the surface soil.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meliorating effects of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plants more pronounced on the surface soil layer. Stand ordination data showed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time since rehabilitation in the early and later stages of the rehabilitation process. In the early stages of rehabilitation, stands tended to be arranged in the order of reclamation age. However, in the later stages, there was not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reclamation age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This result suggests that soil amelioration is required for the early stages, after which an autogenic effect becomes more prominent as the vegetation becomes better established.

능력검정에 의한 우량 종봉 선발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superior breeding colonies of Apis mellifera based on performance-testing)

  • 손영익;차용호;최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9권
    • /
    • pp.17-22
    • /
    • 2001
  • 본 연구는 여왕별의 능력검정 및 선발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1999년 11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상주시 내서연 능암리 산 246번지에 있는 양봉장에서 서양종 봉군(Apis millifera)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99~2000 월동 기간 중 월동 전 후의 벌통무게는 $22.6{\pm}2.6kg$$20.1{\pm}2.6kg$로서 월동기간 중 벌통 무게 감소량은 $2.5{\pm}0.7kg$였다. 월동 2차 연도인 2000~2001 월동 기간 중 월동 전 벌통무게는 $22.6{\pm}2.3kg$이었으나 월동기간 중 벌통무게는 $2.3{\pm}0.6kg$이 감소되었다. 아까시꿀 채밀 직전에 조사된 착봉소비 매수는 2000년 5월 22일에 $13.1{\pm}4.6$매였으나, 2001년 5월 21일에는 $16.0{\pm}3.8$애였고, 계상이용율은 2000년에 50%이었으나 2001년에는 98.5%이었다. 아카시 유밀기에 있어서 2차에 걸쳐 채밀한 군당 평균 채밀량은 2000년에는 $12.7{\pm}8.6kg$이었으나 2001년에는 비선발군에서 $14.2{\pm}7.6kg$ 그리고 검정선발여왕벌 봉군에서 $23.5{\pm}4.9kg$이었다.

  • PDF

인천시 청량산의 생태적 특성과 식생구조의 변화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Mt. Cheongryang, Incheon)

  • 이상희;한봉호;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4-88
    • /
    • 2021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청량산의 생태적 특성과 식생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여 도시림의 건강성 회복 및 식생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량산의 신갈나무는 참나무시들음병 방제로 세력이 감소하였고, 때죽나무와 팥배나무의 세력은 확대되었다. 천이경향은 대부분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소나무군집은 산벚나무군집으로, 신갈나무군집은 졸참나무군집으로 변화 잠재성이 있었다. 리기다소나무림은 산벚나무군집으로, 아까시나무림은 졸참나무군집으로 변화 가능성은 있으나, 천이의 진행이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sandy loam) 또는 양질사토(loamy sand)였으며, 토양 pH는 4.26~4.86이었고, 평균 4.59이었다. 유기물함량(O.M)은 2.18~9.60%이었고, 평균 4.33%이었다. 청량산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해서는 토양산성화 방지, 자생수종을 선정하여 조림하고, 도시화 영향에 의해 출현하는 수종의 지나친 세력 확대 방지, 하층식생과 호습성 수종 보호, 다층구조의 숲 유도 관리를 제시하였다.

Insect meal as a feed ingredient for poultry

  • Elahi, Usman;Xu, Chang-chun;Wang, Jing;Lin, Jing;Wu, Shu-geng;Zhang, Hai-jun;Qi, Guang-hai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_spc호
    • /
    • pp.332-346
    • /
    • 2022
  • Shortage of protein feed resources is the major challenge to the world farm animal industry. Insects are known as an alternative protein source for poultry. A wide range of insects are available for use in poultry diets. Insect larvae thrive in manure, and organic waste, and produce antimicrobial peptides to protect themselves from microbial infections, and additionally these peptides might also be functional in poultry feed. The feed containing antimicrobial peptides can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health, and immune function in poultry. Insect meal contains a higher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compared to conventional feedstuffs. Black soldier fly, mealworm, housefly, cricket/Grasshopper/Locust (Orthoptera), silkworm, and earthworm are the commonly used insect meals in broiler and laying hen diets. This paper summarizes the nutrient profiles of the insect meals and reviews their efficacy when included in poultry diets. Due to the differences in insect meal products, and breeds of poultry, inconsistent results were noticed among studies. The main challenge for proper utilization, and the promising prospect of insect meal in poultry diet are also addressed in the paper. To fully exploit insect meal as an alternative protein resource, and exert their functional effects, modes of action need to be understood. With the emergence of more accurate and reliable studies, insect meals will undoubtedly play more important role in poultry feed industry.

Ecological Examinations of the Radial Growth of Pine Trees (Pinus densiflora S. et Z.) on Mt. Namsan and the Potential Effects of Current Level of Air Pollutants to the Growth of the Trees in Central Seoul, Korea.

  • Kim, Eun-Sh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0권E호
    • /
    • pp.371-386
    • /
    • 1994
  • 본 연구소는 최근 대기오염과 산성비 때문에 남산의 소나무가 죽어간다는 일부 학자들의 주장의 진위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하여 남산에 생육하는 소나무의 생장변화를 정밀분석하고 그것에 대한 생태학적인 해석을 시도함과 아울러, 현재 상태의 대기오염이 소나무의 생육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추론하고자 시도되었다. 남산의 3개 지점에서 40그루 나무의 나이테를 조사한 바, 대다수의 남산소나무들은 최근 10년동안에 지금까지 자라온 평균생장량에 비하여 더욱 빠른 생장을 보여주었고 그동안 솔잎혹파리나 아까시나무 등과 같이 생물적인 요인에 의하여 생장의 장해를 받아온 기록을 많이 볼 수 있었다. 더욱이 나무가 생장하는데 가장 중요한 인자의 하나인 토양수분요인이 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을 때 남산위에 분포하는 나무들은 가뭄현상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그 생육이 조절되는 생장유형을 보여 주었다. 다양한 환경오염 요인들에 대하여 면밀한 검토없이 제기된 일부 학자들의 상기 주장은 설득력을 갖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매우 성급한 것인 바, 본 연구를 통하여 필자는 남산에 있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대기오염의 피해를 논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현재단계에 있어서 서울 중심지역인 남산에 있어서 대기오염물질과 강우산도와 같은 환경요인은 장기적으로 만성적인 피해를 줄 수도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수목의 나이테에 대한 집중적 조사와 다양한 환경요인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제시할 수 있었던 바, 추후 남산내 다른 지점의 소나무 뿐 만 아니라 신갈나무와 아카시아나무와 같은 다른 수종의 생장 및 환경오염물질의 부하와 생태계내에서 그들이 변화하는 동태를 포함한 더욱 광범위한 생태계 생태학적 차원에서의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