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hole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4초

니암지대황폐림지(泥岩地帶荒廢林地)의 지피식생(地被植生) 조성방법(造成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 니암특성((泥岩特性)과 조기녹화(早期綠化) - (Studies on the Method of Ground Vegetation Establishment of Denuded Forest Land in the Mudstone Region - The Characteristics of Mudstone and Speeded-up Reforestation -)

  • 정인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3
    • /
    • 1973
  • 우리나라에서 식물생장(植物生長)이 가장 나쁜 니암지대(泥岩地帶) 황폐림지(荒廢林地)에 지피식생(地被植生)을 조성(造成)시키기 위하여 지피식생(地被植生) 조성시험(造成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객토량시험(客土量試驗)에 있어서 객토(客土)는 두께 15cm이상을 하여야만 객토(客土)의 효과(効果)를 인정(認定)할 수있었고, 10cm의 객토(客土)를 하고서도 시비(施肥)를 하지 않으면 생장(生長)이 불량(不良)하여 1cm 객토후(客土後) 비료(肥料)를 충분(充分)히 사용(使用)한 구(區)보다 못하였다. 또 파종혈(播種穴)의 깊이에 있어서 30cm구(區)와 40cm구(區)와는 그 성적차(成績差)를 인정(認定)할 수가 없었다. 식생대피복구(植生袋被覆區)와 무피복구(無被覆區)는 식물(植物)이 발아당시(發芽當時)에는 종자(種子)의 유실여부(流失如否)와 유시(幼時) 생장상(生長上)의 차(差)가 다소(多少)있었으나 가을 성적(成績) 결과(結果)는 차(差)를 인정(認定)할 수 없어서, 이것을 종합(綜合)하여 보면 객토(客土)는 10cm이상(以上)이고 파종혈(播種穴)($30cm{\times}30cm$)당(當) 30g(22:22:11 복비(複肥) 55g)의 시비(施肥)를 하여야 한다. 2. 객토파종별(客土播種別) 시험(試驗)에 있어서 화강암풍화토(花崗巖風化土), 응회암풍화토(凝灰岩風化土), 니암풍화토별(泥岩風化土別) 성적(成績)은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없어고, 각종녹화자재별(各種綠化資材別) 처리(處理)에서도 모연공구(毛筵工區)에서만 1%의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다. 이것을 종합(綜合)하면 본 바닥 산록(山麓)의 성취(成就)된 니암풍화토(泥岩風化土)를 객토(客土)로 사용(使用)하는 것이 효과적(効果的)이며 모연공구(毛筵工區)가 좋았다. 3. 니암지대(泥岩地帶)의 임지비암(林地肥岩)임지에는 기존임목(旣存林木)(소나무, 해송)이 1ha당(當) 2,000~3,000본(本) 산재(散在)되어 있으므로 1ah당(當) 22:22:11 복합비료(複合肥料)를 성분량(成分量)으로 110kg을 시용(施用)한 결과(結果) 시비당년(施肥當年)에는 차(差)를 인정(認定)할수 없었으나 다만 엽색(葉色)이 농록색(濃綠色)을 정(呈)하고 엽장(葉長)이 30~40% 더 신장(伸張)하였고 사방오리나무에 있어서 14:37:12 및 9:12:3 복비(複肥)를 본당성분량(本當成分量)으로 20g 구(區)와 40g 구(區)로 나누어 시비(施肥)한 결과(結果) 40g구(區)가 월등(越等)히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였으며 비종간(肥種間)에는 차(差)이를 인정(認定)할수 없었다. 4. 임목(林木)의 근계신장상황(根系伸張狀況)은 소나무는 40년(年)을 자라도 니암(泥岩)을 뚫고 생장(生長)하는 직근신장(直根伸張)은 15cm에 불과(不過)하나 곰솔은 23cm까지 주근(主根)이 신장(伸張)할 수가 있으므로 소나무보다 해송의 직근(直根) 신장력(伸張力)이 강(强)하다. 측근전장(側根全長)은 소나무에서 20m 해송에서 13m이였고, 아까시아나무는 식재당시(植栽當時)에 길이에서 더밑으로 암석을 뚫지 못하고 측근(側根)만 발달(發達)하여 비교적(比較的) 수분(水分)이 보지(保持)되는 소나무밑으로 신장(伸張)하는 것이 통례(通例)이였으며, 니암잔적토(泥岩殘積土)에서는 8~10년(年)만에 고사(枯死)되고 만다. 한편 소나무의 수형(樹型)은 편편상(偏偏狀)인데 해송은 삼각형(三角形)에 수형(樹型)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이상(以上)의 사실(事實)을 종합(綜合)하면 인공(人工) 조림시(造林時) 충분(充分)한 식혈(植穴)을 파주지 않으면 임목(林木) 생육(生育)이 어려우므로 충분(充分)한 식혈(植穴)과 비료(肥料)를 시용(施用)하여야만 니암지대(泥岩地帶) 황폐림지(荒廢林地)를 복구(復舊)할수 있을것이다.

  • PDF

소백산 국립공원내 조류 군집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Sobaeksan National Park)

  • 이우신;이준우;박찬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0-192
    • /
    • 1993
  • 본 연구는 소백산 국립 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조류 군집을 밝히고, 이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3개소를 조사지로 선정하여, 1992년 2월부터 10월까지 4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이의 서식에 미치는 인자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31종, 여름철새 17종, 겨울철새 6종 그리고 나그네새 4종으로 총 9목 12과 58종이며 이중천연기념물 323호인 새매, 황조롱이와 324호인 소쩍새 그리고 242호인 까막딱다구리가 관찰되었고 위기 조류인 큰오색딱다구리와 되지빠귀가 발견되었다. (서식종수는 봄철 38종, 여름철 33종, 가을철 26종 그리고 겨울철 22종이었다). 번식 조류 군집 중 수동 및 관목층을 둥지로 이용하는 길드와 수관층에서 먹이자원을 이용하는 길드가 대부분이었다. 제 1조사구역의 해발 900m이후의 자연식생과 제 2조사구역의 철쭉군락을 포함한 초원지역은 야생조류의 보호를 위해 관리가 필요하다. 제 3조사구역은 다양한 종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이 과수원, 농경지, 개활지 등의 다양한 서식지를 포함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지역은 밀도 또한 높게 나타나서 국립공원에서 조류를 관찰할 수 있는 적당한 장소라고 생각된다. 가을과 겨울철에는 풍부한 먹이 공급을 위해 먹이식물 및 활엽수림 조성 관리가, 봄철과 여름철에는 성공적인 번식을 위해 이용객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 PDF

OVERVIEW OF THE NORTH ECLIPTIC POLE DEEP MULTI-WAVELENGTH SURVEY (NEP-DEEP)

  • Matsuhara, H.;Wada, T.;Takagi, T.;Nakagawa, T.;Murata, K.;Churei, S.;Goto, T.;Oyabu, S.;Takeuchi, T.T.;Ohyama, Y.;Miyaji, T.;Krumpe, M.;Lee, H.M.;Im, M.;Serjeant, S.;Peason, C.P.;White, G.;Malkan, M.A.;Hanami, H.;Ishigaki, T.;Burgarella, D.;AKARI NEP Team, AKARI NEP Team
    • 천문학논총
    • /
    • 제27권4호
    • /
    • pp.123-128
    • /
    • 2012
  • An overview of the North Ecliptic Pole (NEP) deep multi-wavelength survey covering from X-ray to radio wavelengths is presented. The main science objective of this multi-wavelength project is to unveil the star-formation and AGN activities obscured by dust in the violent epoch of the Universe (z=0.5-2), when the star formation and black-hole evolution activities were much stronger than the present. The NEP deep survey with AKARI/IRC consists of two survey projects: shallow wide (8.2 sq. deg, NEP-Wide) and the deep one (0.6 sq. deg, NEP-Deep). The NEP-Deep provides us with a $15{\mu}m$ or $18{\mu}m$ selected sample of several thousands of galaxies, the largest sample ever made at these wavelengths. A continuous filter coverage at mid-IR wavelengths (7, 9, 11, 15, 18, and $24{\mu}m$) is unique and vital to diagnose the contribution from starbursts and AGNs in the galaxies at the violent epoch. The recent updates of the ancillary data are also provided: optical/near-IR magnitudes (Subaru, CFHT), X-ray (Chandra), FUV/NUV (GALEX), radio (WSRT, GMRT), optical spectra (Keck/DEIMOS etc.), Subaru/FMOS, Herschel/SPIRE, and JCMT/SCUBA-2.

종자처리 양파(Allium cepa L.)의 포장직파재래 생육 특성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Treatment Onion (Allium cepa L.)Seed in Direct Sowing Cultivation)

  • 이성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4-101
    • /
    • 2001
  • 종자처리 한 종자를 실제 포장에 파종기를 달리하여 포장환경과 양파의 생육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양파 직파재배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파종기별 포장출아율, 포장출아소요시간, 생육특성, 잡초발생, 수량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1.종자처리 종자의 포장출아율은 파종기간 차이가 없었고, 출아소요시간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2. 종자처리 종자의 직파재배 파종기는 9월 10일이 적기로 출아율과 출아소요시간은 각각 87과 192시간이었으며, 늦어 도 9월 20일 전에는 파종을 마쳐야 한다. 3. 이삭재배와 직파재배의 월동 전 유묘생장은 9월20일 파종까지는 직파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뿌리수가 직파재배묘에서 월등하게 많았다. 4. 월동 후 3월 8일 조사한 유묘생장은 전체 파종기에서 직파재배가 이식재배보다 양호하였는데 이후 조사에서는 생장의 차이가 점차 감소되었으며, 5월 8일 조사에서는 9월 20일 직파묘와 이식묘의 생장이 거의 비슷하였다. 5. 결주율은 이식재배 3%에 비해 직파재배에서는 13∼18%로 훨씬 높았으며, 그 정도는 파종이 지연 될수록 심하였다. 6. 평균 구중은 직파재 배에서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직파재배와 이식재배에서 각각 230과 217g으로 직파재배에서 무거웠다. 7. 추대율은 직파재배가 이식재배 보다 높았으며, 파종이 지연될수록 약간 감소하였다. 8. 수량은 직파재배와 이식 재배가 각각 5,134와 5,300kg으로 이식재 배가 높았는데, 직파재배에서 파종이 늦어질수록 감소가 뚜렷하였다. 9. 품종간 평균 수량은 조생종과 중만생종에서 각각 3,750과 4,908kg으로 중만생종이 훨씬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소닉 품종이, 중만생종에서는 농우대고가 가장 높았다. 10. 흑색유공비닐 직파재배에서 발생 잡초는 흑쐐기풀 외 9종으로 흑쐐기풀, 민바랭이 및 개여뀌가 우점종이었으며,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발생잡초량은 감소하였다.

  • PDF

양호한 Finishing을 위한 이론적 근거 및 기준 (Rationale and criteria for excellent finishing)

  • 유영규;김영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7-648
    • /
    • 1999
  • 교정 치료 후 이상적인 교합과 양호한 심미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교정 장치 제거하기 4개월에서 7개월 전에 detailing을 시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finishing이라고 하며, 이 과정은 최종적인 양호한 결과를 얻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일부 교정의는 finishing을 위한 특별한 이론적 근거 및 기준 없이 이 과정을 교정 치료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행하면 되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나, 최종적인 양호한 교정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finishing 과정이 총 치료 계획의 부분으로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만 하며, 교정 장치 제거를 위한 이론적 근거 및 기준에 근거한 finishing을 위한 checklist가 필요하다. 이 checklist는 크게 네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교합 요인, 심미적 요인, 치주적 요인과 습관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합 요인에서 점검해야할 요소로는 alignment, marginal ridge discrepancy, interproximal contact, anterior inclination, posterior inclination, overjet, overbite, arch form과 functional occlusion 등이 있다. 심미적 요인에는 gingival form, crown form, crown width과 crown length 등이 있다. 치주적 요인에는 root angulation, bone level 등이 있다. 습관적 요인에는 mouth breathing, tongue position at rest, tongue thrust habit, lip biting, nail biting과 finger sucking 등이 있다.

  • PDF

BioPAC 모듈을 이용한 마우스 시각유발전위 측정 시스템 확립 (Measuring System of Visual Evoked Potential (VEP) in Mice using BioPAC Modules)

  • 이왕우;안정열;구용숙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24
    • /
    • 2017
  • For the development of feasible retinal prosthes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is acquiring proper judging tool if electrical stimulus leads to patient's visual perception. If evoked potential to electrical stimulus is recorded in primary visual (V1) cortex, it means that the stimulus effectively evokes visual percep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VEP recording system on V1 cortex using BioPAC modules as the judging tool. And the measuring system was evaluated by recording VEP of mice. After anesthesia, normal mice (C57BL/6J strain; n = 6) were secured to stereotaxic apparatus (Harvard Apparatus, USA). For the recording of VEP, the stainless steel needle electrode (impedance: $2-5k{\Omega}$) wa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cortex through the burr hole at 2.5 mm lateral and 4.6 mm caudal to bregma. DA 100C and EEG 100C BioPAC modules were used for the trigger signal and VEP recording, respectively. When left eye was blocked by black cover and right eye was stimulated by flash light using HMsERG (RetVet Corp, USA), VEP response at left V1 cortex was detected, but there was no response at right V1 cortex. Amplitudes and latencies of P2, N3 peaks of VEP recording varied according to the depths of the electrodes on V1 cortex. From the surface upto $600{\mu}m$ depth, amplitudes of P2 and N3 increased, while deeper than $600{\mu}m$, those amplitudes decreased. The deeper the insertion depth of the electrode, the latency of N1 peaks tends to be delay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latencies of P2 and N3 peaks (P > 0.05, ANOVA). Our VEP recording data such as the insertion depth and the latency and amplitudes of peaks might be used as guidelines for electrically-evoked potential (EEP) recording experiment in near future.

SEYFERT 1 은하 NGC 7469의 IUE SPECTRA-NGC 7469 BLR의 물리적 특성 (IUE SPECTRA OF SEYEERT 1 GALAXY NGC 7469-BLR CHARACTERISTICS OF NGC 7469)

  • 손동훈;형식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187-196
    • /
    • 2005
  • Wanders et at.(1997)이 1996년 6월 11일부터 7월 29일까지 IUE 위 성 을 통해 얻은 NGC 7469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Feibelman & Aller(1987)가 제안한 방법으로 Si III] 1892 와 C III] 1909의 플럭스 비를 통해 전자 밀도 변화를 구하였다. STARLINK/DIPSO를 이용해 두선의 윤곽을 분리하고, Si III]에 대해 $12.4\%,$ C III]에 대해 $6.6\%$ 이내의 측정오차로 플럭스를 구할 수 있었다. 계산된 밀도(log Ne)는 최소 9.69, 최대 10.93, 평균 $10.51{\pm}0.15,$ 최대-최소 차이는 1.24를 보였다. 즉 50여일 정도의 관측기간 동안에도 밀도는 최대 17.3배 정도의 밀도 변화가 있었다. 또한, UV $continuum(1315{\AA})$에 대한 각 방출선의 지연시간은 C IV는 2일, C III}는 4일, Si III]는 8일의 지연시간을 보여, 각각 중심으로부터 0.002pc, 0.004pc, 0.006pc 떨어진 곳에서 방출선영역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BLR크기와 방출선 들의 선폭으로부터 구한 운동학적 자료로부터 추정한 중심 블랙홀의 질량은 약 $10^6M_{\odot}$이다.

막대은하의 별탄생율과 활동성 은하핵 (Star Formation Rate and AGN in Barred Galaxies)

  • 방준;안홍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SDSS DR6을 이용하여 별탄생율과 활동성 은하핵의 막대의 특성, 특히 막대의 세기에 대한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막대의 세기를 보다 잘 표현하기 위하여 막대의 길이와 축비를 이용하여 막대를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H{\alpha}$ 방출선 세기로부터 구한 별탄생율은 막대의 세기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활동성 은하핵은 막대와 또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전자의 상관관계는 막대에 의해 유발되는 가스 유입이 막대의 세기에 의존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되며, 활동성 은하핵이 막대의 특성과 특별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은 초중량 블랙홀로 들어가는 가스의 양이 막대와 초거대 블랙홀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활동성 은하핵은 주변의 밀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나 별탄생율은 주변의 밀도와 무관해 보인다. 이것은 별탄생은 은하에서의 가스 밀도에 의해 결정되는 국지적인 현상인데 반해 활동성 은하핵은 질량이나 광도와 같은 은하의 특성이 밀도-광도관계로 표현되는 은하의 환경 의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한다.

모감주나무의 해류에 의한 전파 (Transplantation of Koelreuteria paniculata by Sea Current)

  • 이영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권1호
    • /
    • pp.11-20
    • /
    • 1958
  • I. Assumption: Mo-kam-ju, Koelreuteria paniculata is a woody plant mainly cistributed over Northern China. Its sporadic growth along the beaches of Korea and Japan is assumed to have been sowed by the seeds transported adrift on the current across the ocean. II. Use and Growth of the Plant: In China, this plant has been cultivated from early times mainly at temples, it seeds being used as rosaries, its flowers for yellow dyes and medicine for the eyes, and its leaves for black dyes. In Korea and Japan, these plants have been cultivated at temples and used as the material for rosaries. No natural growth of these plants was reported until 1919. III. Discoveries: In this domestic area, Dr. Chung Tae Hyun discovered the plant on the beach between Cho-Do and Chang-san-kot, Hwang-Hae Prov. in 1920. The reporter discovered them on the beach at Buk-Ni, Duk-jok-Do in 1948, at An-Hung in 1956 and on the beach at An-min-Do in 1957. In the Japan area, it was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twenty years ago, mainly along the coast line of the Japan Sea and some along the eastern coast line, at Subo, Yamaguchi Prefecture facing the Pacific Ocean. IV. Study and Experiment: A. Seed The seed coat is thick, non-permeable and floatable. A number of seeds were immersed in artificial sea water and fresh water separately. The seeds remained there for a hundred and forty-five (145) days from April 6, 1957 to August 29, 57. Thirty one seeds out of the fifty immersed in salt water and twenty seeds out of the fifty immersed in fresh water remain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proving them to be non-permeable to both sea and fresh water. Of course, these had retained their germinating capabilities. Five (5) seeds out of twenty from the fresh water and six (6) out of thirty-one from the sea water were successfully germinated after a hole had been drilled in the seed coat and they had been planted. Thus their floating capability, non-permeability and germinating capability after a possible 145 day trip on the flowing currents has been proved satisfactory according to the assumption made above. B. Current As shown in the Data 2 and 3, the sea current initiated in the Pohai Sea flows westward down along the coast line of Korea reaching the southern part during the autumn and winter seasons. This fact also is in favor of the reporter's assumption. V.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reporter concludes that, as discussed above, Koelreuteria paniculata which originates in Northern China is transported adrift on the flowing sea current to our western coast line, and also the coast lines of Shantung and Kuangtung of China and it is germinated on the sandy beaches forming new plants. Thus, the seeds drifted down on the southern beach of Korea and have been transported to the Japanese coast, adrift on the Tae-Ma current. Upon fruition, the seeds of the plants which settle on the coasts of western Korea and Japan will migrate to new places. It can be, however, assumed that while the thickness and nonpermeability of the coat enables the long travel in the water, this also can compose a difficulty in germination, consequently in developing a new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 PDF

최근 천문학 연구 키워드와 천체 분야 교육과정 내용 요소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Keywords in Astronomical Journals and Concepts in Secondary School Astronomy Curriculum)

  • 신현정;권우진;가석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89-309
    • /
    • 2022
  • 힉스입자 발견, 블랙홀 이미지 촬영, 외계행성 탐사, 깊은 우주탐사, 중력파 관측 등 최근 천문학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학생들도 상대적으로 흥미가 높은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천문학 연구 저널에서 높은 빈도로 등장한 키워드들과 중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된 천문학 내용 요소를 7개 영역별로 비교하여 천문학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우선 선정된 4개 저널-ApJ, ApJL, A&A, MNRAS-에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모든 논문의 키워드를 R 패키지로 수집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내용 요소는 7학년부터 12학년 학생이 배우는 과목 중 천문학 내용 요소가 포함된 6개 과목(과학, 통합과학, 지구과학I, 지구과학II, 물리II, 융합과학)의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내용 체계표, 성취기준, 성취기준해설을 현직 교사들이 코딩한 결과를 종합하여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학에서 꾸준하게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는 'galaxies: formation, galaxies: active, star: formation, accretion, accretion discs, method: numerical'이다. 둘째, 천문학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이 배우는 공통 과학 과목 안에서 'High Energy Astrophysical Phenomena'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으나 키워드 수준에서 보면 과목별, 학년별 내용 요소 배치와 새롭게 도입할 만한 주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목의 근간을 이루는 과학연구 분야와 교육과정을 비교한 탐색적 연구로서, 연구 결과는 향후 천문학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