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food

검색결과 1,288건 처리시간 0.024초

당뇨 생쥐에서 대황 추출물 및 정제환의 혈당과 지질 상태 개선 효과 (Effects of Eisenia Bicyclis Extracts and Pill on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조성희;박소영;최상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6호
    • /
    • pp.493-501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ntihyperglycemic and hypolipidmic effects of sea oak(Eisenia bicyclis, EB) in the diabetic state an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formulated EB pill for the effects. The various test materials obtained from EB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diets with 15% fat/0.5% cholesterol and fed to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weighing $35.0{\pm}0.7$ g for three weeks but not in the control diet having the same composition. The test materials were EB dry powder, water and ethanol extracts, viscozyme-treated EB water extract(EB enzyme-TR) and formulated pill containing dry powders of the EB, two kinds of seaweed, black soybean, sesame, onion and garlic. BG was measured during feeding period and serum insulin, lipids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and intestinal disaccharidase activities were measured at the end of the three weeks of the feeding. BG increase was lower in the EB enzyme-TR group after 10 days of the experimental diet but lower in EB pill group after 15 day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rum insulin levels were higher in the EB enzyme-TR and EB pill groups. Intestinal maltase but not sucrase activity was higher in EB enzyme-TR fe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reduced by the EB enzyme-TR and EB pill compared with the control diet. HDL-/total cholesterol was increased by all EB test materials. Serum TBARS levels were lower in the EB ethanol extract and EB pil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ended to be lower in the other EB groups. It is concluded that the EB enzyme-TR is the best among the EB preparations to be utilized as a functional component for improving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diabetic subjects in the future. However, the pill containing low level of the EB powder is also regarded as effective and readily usable when formulated with the several other ingredients of the proper composition.(Supported by the RIC Program of MOCIE, Korea).

품종별 유색미 및 현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축적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Colored and Brown Rice Extracts Depending on Cultivars)

  • 김민영;박혜영;이유영;이병원;김미향;이진영;이종희;강문석;구본철;김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9-15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characteristics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colored rice and brown rice extracts in 3T3-L1 adipocyte depending on cultivar (Josaengheugchal, Heugjinmi, Hongjinju, Geongganghongmi, Seolgaeng, Milyang 320, Sindongjin, Baegjinju). Colored rice and brown rice was extracted with 100% ethanol, followed by the analysis of polyphenol, flavonoid, anthocyanin,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y.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ranged from 6.86~314.08 mg GAE/g and 1.47~56.88 mg CE/g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observed in Heugjinmi cultivar. Anthocyanin composition was analyzed by HPLC, cyanidin-3-gluoside and peonidin-3-glucoside was found in black rice including Josaengheugchal and Heugjinmi. Also, the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lored rice cultivars was higher than that of brown rice cultivars,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was observed in Heugjinmi (128.20 mg TE/g).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colored rice and brown rice extracts on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evaluated that extracts of Heugjinmi cultivar significantly reduce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These result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use of Korean colored rice cultivar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s relative to anti-obesity.

찹쌀가루 첨가량에 따른 산약병의 기호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yakbyu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lutinous Rice Flour)

  • 윤숙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91-594
    • /
    • 1999
  • 찹쌀가루의 첨가수준을 0%, 10%, 20%, 30%, 40%, 50%로 달리하여 제조한 산약병의 기계적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품질평가를 하였다. 산약병의 수분함량은 찹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것을 L 값은 찹쌀가루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a 값과 b 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마가루에 함유된 단백질 함량의 영향 및 마가루 자체의 색으로 인해 마를 첨가할수록 육안으로 보기에도 검어지며, 황색도 및 적색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Two bite compression test에 의한 텍스쳐 특성치를 살펴보면,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cohesiveness 등은 찹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springiness는 각 시료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마가루의 함량이 높을수록 조직이 잘 결착되며 점성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항목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색의 것은 10% 첨가한 것을, 향미는 20% 첨가한 것을, 맛은 40% 첨가한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 내에서의 조직특성을 나타내는 adhesivenes와 consistency 역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adhesiveness 및 consistency의 경우 40% 첨가한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의 함량이 높을수록 점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떡을 먹을 때 이에 달라붙어 점착성이 큰 것보다는 부드러운 것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Overall acceptance의 경우, 40% 첨가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찹쌀가루가 40% 정도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슈퍼자미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perjami)

  • 김기쁨;최수근;김동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89-796
    • /
    • 2012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perjami, which had a high C3G (cyandin-3-glucoside) content by comparing it with common rice (Ilpum) and black rice (Heougjinju, Suwon 415) for their components and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ater content,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ude protein and crude fat in the order of Ilpum < Superjami < Heougjinju. As fo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ains, it had been learned that Superjami was heavier and longer than the common rice, moreover Superjami had bigger seeds. As for the hardness of grains, the longer the time of steeping, the more decreased their hardness was at large. In the case of color,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L, a, and b values of grains and flour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f pigment elution after steeping of the rice flours at $20^{\circ}C$ and $40^{\circ}C$, the longer the time steeping, the more increased the pigment elution became. The values are bigger with Heougjinju and Superjami than with Ilpum. As for the elution pH after rice steeping, the longer the time of steeping, the lower pH all the assays tended to ha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Ilpum, Heougjinju, and Superjami, it had turned out tha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Heougjinju and Superjami are 1.2 times as high as Ilpum, a common rice, and that Superjami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Heougjinju.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ssays in the order of Superjami > Heougjinju > Ilpum. Futher, it has turned out that Superjami has a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an Heougjinju. Consequently, it can be stated that Superjami has a strong anti-oxidative ability. Thus, we should more precisely grasp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Superjami, which is in the state of brown rice, via comparing it with a common brown rice, and also provide opportunities to apply Superjamii to more foods by studying its starch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its grain and flour properties.

12종 어류의 일반성분조성과 콜레스테롤 및 $\alpha$-토코페롤 함량의 계절변화 (Seasonal Variation in Proximate Composition, Cholesterol and $\alpha$-Tocopherol Content of 12 Species of Korean Fish)

  • 정보영;최병대;이종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07-712
    • /
    • 1998
  • 한국 남해 연근해에서 어획된 12종의 주요 어류 (표$\cdot$중충회유어 5종: 멸치, 숭어, 전어, 방어, 고등어: 연안암초어 3종: 조피볼낙, 참돔, 감성돔: 저서어 4종: 도다리, 붕장어, 넙치, 말쥐치)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일반성분조성과 CHOL 및 $\alpha$-Toc 함량의 계절변화를 검토하였다. 지질과 수분함량은 역의 상관관계(r=-0.86, p<0.001)로 계절에 따라 뚜렸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단백질 및 회분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멸치, 전어, 감성돔, 도다리, 붕장어, 넙치, 말쥐치는 각각 12월, 10월, 11월, 9월, 1월, 1월, 11월에 지질함량이 높았고, 산란기에 해당하는 계절에 지질함량이 낮아 산란의 영향이 큰 어종이었다. 그러나 숭어, 방어, 고등어, 조피볼낙, 참돔의 지질함량 변화는 산란의 영향보다는 수온과 섭이량의 영향이 큰 것으로 생각되었다. CHOL의 함량변화는 지질함량변화와 정의 상관관계 (r=0.89, p<0.001)를 나타냈으나, $\alpha$-Toc 함량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부유' 단감 과실에서 저장 후 생리적 장해 발생과 호흡 및 에틸렌 생성의 상호 관계 (The Association of Post-Storage Physiological Disorder Incidence with Respiration and Ethylene Production in 'Fuyu' Persimmon Fruits)

  • 안광환;송원두;최성진;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3-287
    • /
    • 2004
  • 단감 과실은 저온 저장 후 유통 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될 경우 과육의 연화, 과피 흑변, 과육 갈변 등의 생리적 장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과실의 호흡과 에틸렌 생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장해 발생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저온 장해 증상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는 과육의 젤리화를 동반하는 연화 현상은 저온 저장한 과실을 MA 포장하지 않은 채 상온에 노출하였을 때 3일 이내에 심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30^{\circ}C$ 조건에서는 $20^{\circ}C$에서 보다 장해 발생이 감소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장해 발생 차이의 양상은 에틸렌 생성의 차이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에틸렌의 작용이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진 MA 포장 과실에서도 이러한 연화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과육의 젤리화 현상이 에틸렌의 생성 또는 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인다. 한편, 과피 흑변 현상은 저온 저장한 과실을 대기에 직접 노출하였을 때 심하게 발생하나 PE-film으로 포장한 과실에서는 발생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발생 양상은 에틸렌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과육의 젤리화 현상의 발생 양상과도 유사하지만, 에틸렌 생성이 그다지 높지 않은 $10^{\circ}C$ 조건에서 오히려 과피 흑변 발생이 증가한 점에 비추어 볼 때 과피 흑변 발생의 일차적인 원인은 높은 산소 농도와 관련이 있고, 과육의 갈변은 무기 호흡이 유발되는 조건, 즉 두꺼운 PE-film으로 MA 포장하여 고온에 노출시킨 조건에서만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조건에서 유효 산소 농도의 갑작스런 저하가 과육의 갈변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생각된다.

3종 분말식초의 항산화, 항혈전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ti-thrombosis, and Lipid Accumulation Inhibition Activities of Different Dried Vinegars)

  • 이종규;김종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96-303
    • /
    • 2024
  • 식초는 당과 전분을 함유하는 다양한 재료를 초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되며, 다양한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에스터 및 기타 화합물을 포함하여 독특한 맛과 향미를 나타낸다. 식초는 소화를 원활하게 하고 혈당 수준을 낮추는 데 도움을 주며, 항비만 및 항산화 활성이 알려져 있으며, 체액의 알칼리화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 발효식초로부터 기능성 분말식초(dried vinegar, DV)를 제조하기 위해, 풋사과, 현미 및 아로니아를 각각 Gluconacetobacter xylinus로 90-180일 발효시킨 발효식초를 말토덱스트린(37.46%), 포도당(5%), 구연산(1%) 및 비타민 C (0.04%) 용액에 현탁 후 분무건조하여 3종의 DV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DVs의 산도, 색상, 수분 및 용해성 고형 내용물 및 열 안정성 분석 결과, 분무건조가 분말제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DVs는 우수한 관능과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DVs중 아로니아-DV가 0.5 m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1,1-diphenyl-2-picryl hydrazyl 및 2,2-az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각각 36.7% 및 75.3%) 및 환원력 (0.334)을 보였으며, nitrite 소거 활성은 풋사과-DV에서 가장 높았으며, 아로니아-DV 및 현미-DV순으로 나타났다. 항혈전 활성 평가결과 아로니아-DV가 prothrombin 억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현미-DV는 3T3-L1 지방세포에서 세포 독성 없이 지질 축적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는 분말식초의 산업화 가능성을 제시하며, 식품가공 소재로 응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흑염소 방목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Current Status of Forage Use on the Goat Farming in Mountainous Pasture)

  • 문상호;김상우;최기준;장세영;박재현;전병태;김명화;김성진;오미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2-118
    • /
    • 2015
  • 본 연구는 흑염소 사육을 활성화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산지초지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흑염소 방목 이용 농가(20호)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야초지로 이루어진 방목지의 경우 계절별 초지 생산성이 여름에 가장 높았으며(p<0.05), 봄철과 가을철에는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반면 목초지로 이루어진 방목지의 초지 생산성은 봄철에 가장 높은 생산성을 나타냈으며 가을철에 생산성이 다소 저하(p<0.05)되긴 하였지만, 대체적으로 계절별 생산성의 차이가 야초지 방목지에 비해 완만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계절별 방목지 초지의 사료가치 비교 결과 목초지의 경우 계절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건물함량을 나타냈고, 야초지는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목초지의 경우만 가을철에 증가하였고(p<0.05), 야초지의 경우에는 봄에 비해 여름과 가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목초지의 경우 야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지방 함량은 높고 조섬유소 함량은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계절에 따른 농장별 흑염소의 일당증체량은 농장별 초지 생산성 및 초지관리 기술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흑염소 사육의 활성화와 경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방목 야초지를 우수한 사료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계절별 생산성의 변화도 적은 방목 목초지로 갱신 및 조성을 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산지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 초지관리 기술의 메뉴얼화와 보급으로 초지 생산성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쇠살모사 Red-tongued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의 먹이 이용 (Foods Use of the Red-Tongued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 김병수;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57-663
    • /
    • 2014
  • 이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제주도와 부속도서인 가파도에 서식하는 쇠살모사의 먹이원과 지역에 따른 먹이이용의 차이를 밝혀 먹이원의 차이가 쇠살모사의 생활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제주도 개체군에서 확인된 먹이원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제주도롱뇽(Hynobius quelpaertensis), 청개구리(Hyla japonica), 맹꽁이(Kaloula borealis), 북방산개구리(Rana dybowskii),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도마뱀(Scincella vandenburghi), 대륙유혈목이(Amphiesma vibakari), 작은땃쥐(Crosidura shantungensis), 한라산뒤쥐(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제주등줄쥐(Apodemus chejuensis) 등으로 양서류나 파충류 및 소형포유류를 주로 포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양서류가 55.2%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포유류 20.7%, 지네 13.8%, 파충류 10.3% 순이었다. 이와 달리 가파도 개체군에서는 지네와 도마뱀만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네나 도마뱀은 작은 크기라 1회 포식으로 얻을 수 있는 영양분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주도 개체군에 비해 생장이나 생식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가파도 개체군의 경우 이용할 수 있는 먹이원의 종류는 비교적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도마뱀과 지네만을 주로 포식하는 것은 다른 먹이원의 밀도가 낮아 이를 찾기 위한 노력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질은 낮지만 쉽게 구할 수 있는 먹이를 선택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뱀은 머리의 크기가 클수록 큰 먹이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제주도 개체군에서도 쇠살모사의 머리의 크기와 먹이의 직경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제주도 개체군은 수컷이 암컷보다 머리가 크며, 이러한 결과는 먹이의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된다. 반면, 지네와 도마뱀만을 포식하는 가파도 개체군에서는 머리 크기와 먹이 크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종이라도 서식장소에 따라 이용가능한 먹이원을 선택하여 각기 다른 방향으로 환경에 적응하면서 개체군을 유지하는 데 유리한 방향으로 성장해간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매우 의미 있는 자료라 판단된다.

차 음료가 카드뮴 섭취 흰쥐의 카드뮴 축적과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 Beverages on Cadmium Accumulation and Excretion in Rats Given Cadmium)

  • 김태경;박범호;이상일;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1-168
    • /
    • 2008
  • 말차, 오룡차, 홍차 및 보이차로 제조한 음료가 Cd에 중독된 SD계 흰쥐의 해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일반 물 추출물에 비하여 색상, 향, 맛에 대한 기호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오룡차 음료가 4.18점, 홍차음료가 4.14점으로 말차음료나 보이차 음료의 $3.74{\sim}3.88$점에 비하여 높았다. SD계 흰쥐를 정상군 (NC), Cd 대조군(Cd-Co), Cd투여 말차음료 15% 급여군 (Cd-Gt), Cd투여 오룡차음료 15% 급여군(Cd-Ot), Cd투여 홍차음료 15% 급여군(Cd-Bt) 및 Cd투여 보이차음료 15% 급여군 식이군(Cd-R)의 6군으로 구분하여 5주간 사육하였다. 차 음료 식이군의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Cd에 의하여 감소된 현상을 상당히 개선하였다. 식이효율, 뇨량 및 분변량은 각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d의 투여는 간과 신장의 중량, 경골의 중량 및 대퇴골의 길이를 감소시켰으나 차 음료의 섭취로 다소 개선되었다. 혈청 AST 및 ALT 활성은 모두 Cd 투여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차 음료 급여군에서는 5%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대퇴골의 조회분 함량은 Cd-Co군에서 40.72%, Cd 투여-차 음료 급여군에서는 $35.31{\sim}37.02%$로 차음료의 급여에 의하여 5%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퇴골의 조회분 함량은Cd-Co군에서 40.72%, Cd 투여-차 음료 급여군에서는 $35.3{\sim}37.02%$로 차음료의 급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퇴골의 Cd함량은 NC군에서는 0.08 ppm이었으나 Cd-Co군은 123.28 ppm, 실험식이군에서는 $23.07{\sim}28.82 ppm$으로 차음료의 급여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Ca 함량은 NC군에서 6700 ppm, Cd-Co군에서 3760 ppm, 실험식이군에서는 $4040{\sim}5420 ppm$이었다. 분변의 회분함량은 Cd-Bt군이 14.80%로 높았으나 기타 음료군은 Cd-Co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변의 Cd 함량은 NC군 0.02 ppm, Cd-Co군 2.06ppm, 실험식이군 $4.38{\sim}5.35ppm$로 차 음료 급여군에서 높았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Ca함량은 차음료 급여군에서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말차, 오룡차, 홍차 및 보이차로 제조한 음료는 상호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으나 모두 섭취한 Cd를 체외로 배설시킴으로서 Cd에 의한 장기 손상을 경감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