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valve larva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초

보성 연안해역에서 꼬막과 새꼬막 부유유생 출현의 변화 (Changes in planktonic bivalve larvae of Tegillarca granosa and Anadara kagoshimensis in the Boseong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 김현정;강준수;정승원;박용주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351-361
    • /
    • 2019
  • 이매패류의 부유유생은 성패(양식자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유유생의 출현시기 및 출현량에 관한 연구는 자연 채묘량의 증대와 인공종묘의 생산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성 연안에서 총 21종의 이매패류 부유유생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구마모토굴(M. sikamea), 왜홍합(X. atratus), 종밋(M. senhousia), 참굴(M. gigas), 가리맛 조개(S. constricta), 새꼬막(A. kagoshimensis), Kurtiella aff. bidentata 그리고 꼬막(T. granosa)이 중요 부유유생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보성 연안해역의 주요 수산자원인 새꼬막(A. kagoshimensis)과 꼬막(T. granosa)은 각각 이매패류의 0.51~12.50% (평균 4.00%), 0.01~12.50% (평균 1.92%)의 구성비율을 차지하며 다른 이매패류보다 낮은 출현량을 보였다. 꼬막(T. granosa)과 새꼬막(A. kagoshimensis)의 부유유생은 6월부터 9월까지 관찰되었으나, 각각 8월 초와 8월말에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득량만에서 조개류 유생의 분포 (Distribution of Bivalve Larvae in Deukryang Bay)

  • 김철원;권승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8-298
    • /
    • 2006
  • 득량만의 조개류 유생의 분포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5년 5월부터 11월까지 만 전체에 29개의 정점에서 유생을 채집 조사하였다. 조개류 유생의 출현량(개체/$m^3$)은 5월(3,736 개체/$m^3$)부터 증가하여 8월(174,616 개체/$m^3$)에 최고에 이른 후 11월 (2,171 개체/$m^3$)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5월부터 11월까지 출현한 $1\;m^3$ 당 평균 총 유생 가운데 D상은 76%, 각정기 유생은 18%, 성숙 각정기 유생은 6%를 차지하였다. 5월부터 11월까지 득량만에서 동정된 9종의 조개류 유생 중 새고막은 14,030 개체/$m^3$로 전체 동정된 유생의 33.5%를 차지하였으며, 피조개(16.2%), 참굴(12.5%), 종밋(11.0%), 진주담치(10.2%)의 순이었다. 득량만 조개류의 유생 분포의 결과로 추정해 볼 때 진주담치와 종밋을 제외한 대부분 조개류의 주 산란시기는 7월 일 것으로 판단된다. 득량만 조개류 유생의 공간적인 분포는 종에 따라 차이를 보이나, 전체적으로 보면 만 입구에서는 출현량이 적고, 수심이 얕고 수온이 높은 만 안쪽과 서쪽 해역에서는 출현량이 많았다.

은편모류 Teleaulax amphioxeia의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us 및 이매패류 유생 2종에 대한 먹이 기능성 평가 (Growth Performance of the Rotifer Brachionus plicatilus and the Larvae of Two Bivalves Fed on the Cryptophyte Teleaulax amphioxeia)

  • 박희원;김형섭;조수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51-358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eleaulax amphioxeia as prey for Brachionus plicatilis and for the larvae of the bivalves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to select the best of five T. amphioxeia strains. The five strains of T. amphioxeia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Korea, purecultured and then fed to the rotifer and bivalve larvae. The density and fecundity rate of the rotifer fed on strain 01 were the highest. The instantaneous growth rate of the rotifer fed strain 08-2 was the highest. The maximum density and fecundity rate of the rotifer fed strain 08-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Chlorella ellipsoidea, while instantaneous growth rate showed the opposite pattern. Survival rates of the Manila clam larvae fed each strain of Teleaulax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rains. Survival rates of the Pacific oyster fed Teleaulax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Chaetoceros sp., but lower than those fed I. galbana. This study indicates that strain 08-2 showed better growth for B. plicatilis and better survival for the bivalve larvae than did the other strains, and that T. amphioxeia can also be used as a prey organism for rotifers or bivalve larvae.

Single Cell PCR과 현미경을 통한 바지락 및 백합 유생의 동정 (Identification of Ruditapes philippinarum and Meretrix lusoria Larvae Using Single Cell PCR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

  • 정승원;김창수;유재원;김영옥;이진환;홍재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47-254
    • /
    • 2010
  • Single cell PCR analysis and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techniques were utilized to identify free living bivalve larvae in the coastal waters of Tae-an, on the west coast of Korea. Through DNA sequencing, venerid clam larvae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Ruditapes philippinarum (99% similarity) and Meretrix lusoria (99%). Under microscopic observation, the D-veliger stage of R. philippinarum exhibited symmetrical shoulder angles and an elliptical ventral form. In contrast, M. lusoria displayed asymmetrical shoulder angles and a round ventral form in the umbonal stage. Size of the R. philippinarum larvae was $156{\pm}22{\mu}m$ in length, $126{\pm}12{\mu}m$ in height, $92{\pm}14{\mu}m$ in width with a length: height ratio of 1.23. Meretrix lusoria was $202{\pm}44{\mu}m$ in length, $161{\pm}35{\mu}m$ in height, $96{\pm}38{\mu}m$ in width with a length: height ratio of 1.25.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provide evidence for the larval identification of these two venerid clam larvae species in nature.

낙동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꼼치(Liparis tanakae) 자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rval Liparis tanakae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허성회;박주면;백근욱;서영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68-376
    • /
    • 2015
  • The Feeding habits of larval Liparis tanakae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studied. L. tanakae [3.8-10.6 mm notochord length(NL)] was a carnivore thatconsumed mainly copepod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numbers of free-living flatworms (Macrostomida), tintinnids, cladocerans, and polychaetes larvae. To evaluate ontogenetic changes in dietary composition, three size groups were designated: 3-5, 5-7, and >7 mm. Copepods were the most important prey items for all size groups. The smallest size group frequently preyed on polychaete and bivalve larvae, along with copepods. As notochord length increased, the numbers of cladocerans and Macrostomida increased relative to those of polychaete and bivalve larvae.

선재도산 이매구 유생의 출현빈도에 관한 생태학적 관찰 (Ecological Observation o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Bivalve Karvae in SUn-Jae Island)

  • 최기철;주일영;이종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20
    • /
    • 1961
  • 우리나라 서해안인 경기도 부천군 선재도에서 산출되는 이매구류의 출현 빈도 분포 상태를 1959년 8월부터 1960년 10월에 걸쳐서 생태학적인 조사를 하였다. 1) Sampling 은 motor pump를 사용하여 원하는 깊이에 따라 각각 plankton을 채집하여 현미경으로 고나찰하여 KArvae 의 수를 조사하였다. 2) 각 stage의 larvae을 측정한 결과, 가장 어린 것은 60$\times$54$\mu$이었고, 가장 큰 것 은 320$\mu$336$\mu$이었다. 3) 이매구의 larvae 들은 수중에서 불규칙하게 분포하였다.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larvae의 분포는 증가되고, 대체로 온도가 하강함에따라서는 감소되었다. 4) 어린 stage의 larvae 수는 7월-9월 에 걸쳐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것은 이시기가 선재도에 있어서는 이매구류의 산란시기라고 생각된다. 5) 8월-9월에 걸쳐서 대형의 alrvae의 출현빈도가 감소되는데, 이것은 larvae가 착생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Red-Tide and Toxic Dinoflagellates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Larvae of the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 Lee, Chang-Hoo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73-374
    • /
    • 2003
  • There were many studies on the effects of red tide dinoflagellates on shellfish populations (Nielsen and Stromgren, 1991; Lesser and Shumway, 1993; Luckenbach et al., 1993; Matsuyama et al., 1997; Li et al., 2001). However, these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toxic effects of dinoflagellates oui adults or juveniles. Interactions between dinoflagellates and bivalve larvae have not been understood comprehensively yet. (omitted)

  • PDF

Larval Development of Balanus trigonus Darwin(Cirripedia: Thoracica: Balan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LEE Chu;KIM Chang-Hyun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57-467
    • /
    • 1990
  • Sessile barnacle, Balanus trigonus Darwin, was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rocks and the external shells of bivalve Mylius coruscus. The nauplius and cyprid larvae were cultured in a constant temperature cabinet at a temperature of $20^{\circ}C$ and a light regime of 14 h light and 10 h darkness. Larval development includes the six nauplius stages and a cyprid stage prior to settlement and metamorphosis to the young adul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ntennules, antennae and mandibles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All nauplius larvae have trilobed labra typical in balanoides. The developmental time taken from newly hatched nauplius I to cyprid was $9\~13$ days and averaged 11 days.

  • PDF

Early Stages in Morphogenesis of the Shell of Crenella decussata (Bivalvia: Mytilidae)

  • Kolotukhina, N.K.;Kulikova, V.A.;Evseev, G.A.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1-97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larval and postlarval shells of the paedomorphic bivalve Crenella decussata Montagu, 1808 from the Sea of Japan. During the early morphogenesis of the shell of C. decussata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ppear: prodissoconch I -the anterior and posterior provincular teeth, a broad primary ligament pit located on the chondrophore; nepioconch - the anterior and posterior juvenile teeth,primary lateral teeth, fine commarginal and radial sculpture. Larvae of C. decussata distinctly differ from other mytilid larvae by a D-shaped shell, absence of umbo, astraight hinge margin, and homogeneous fine-grained sculpture without co-marginal lines of growth. These shell characters indicate lecithotrophic development of this species. Some morphostructures are revealed which might be used in crenellin taxonomy.

가덕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주둥치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Spot Nape Ponyfish, Leiognathus nuchalis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 정재묵;박주면;허성회;김현지;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3-38
    • /
    • 2015
  • 주둥치의 위내용물 분석에 이용된 개체는 총 350개체로 가덕도 주변해역에서 2010년 10월부터 2011년 9월까지 매월 채집하였다. 주둥치의 체장범위는 3.0~9.8 cm를 보였다. 주둥치는 주로 요각류와 게류 유생, 새우류 유생, 갯지렁이류 등을 섭식하는 육식성 어류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 난바다곤쟁이류, 단각류, 이매패류 유생, 복족류 유생 등도 발견되었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주둥치는 성장함에 따라 주요 먹이생물을 전환하였는데 3~5 cm 사이의 개체들은 요각류를, 5~7 cm 사이의 개체들은 게류 유생과 새우류 유생을, 8~10 cm의 개체들은 갯지렁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무게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