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tter

검색결과 675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의류제조산업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Estimating the Efficiency of Korean Apparel Industry)

  • 박우람;김미진;권오경;김문영;조우현
    • 복식
    • /
    • 제57권2호
    • /
    • pp.69-85
    • /
    • 2007
  • Despite the recovery of consumer expenditure and retailing in the Korean economy after 2001, the domestic apparel industry has been aggravated by negative growth in both productivity and production. The purpose of the stud? is to diagnose the develop competitive of the Korean apparel industry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is after estimating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apparel companies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is a methodology based in non-parametric analysis and linear programming. It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a set of firms that use inputs to produce outputs. Data used fer input and output variables in the analysis are drawn from financial statement recorded by the Korean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e initial input data comprise the number fo the employees, fixed assets, general management and selling expenses, and cost of sales. The initial outputs are the operating profit and the gross margin. To summary the results, the efficiencies of the Korean apparel companies has increased yearly in spite of being overabundance of investment in Labour and Capital. According to corre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variables, the Korean apparel industry has been revamping gradually from labor intensive industries to the capital. The companies need to reduce costs in the results from the number of employees, fixed asset and cost of sales to transform into an efficiently enterprise. The companies owning or obtaining a brand had bitter establish an outsourcing strategic in production, while OEM corporations are called far setting up a manufactory in domestic or abroad. Although the paper is derived some implications with production efficiencies, the relation between apparel companies and brand power, consumption level of consumer, and social trend is remained on a limitation to the study. The next research necessitates a topic with Fashion industry or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brand value, social propensity and profit margin.

단백분해 효소처리가 두유단백질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ense Treatment on Functional Properties of Soymilk Protein)

  • 변진원;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32
    • /
    • 1995
  • 본 실험은 두유에 칼슘을 강화하기위한 사전실험으로 두유단백질을 단백분해효소로 처리한 뒤 효소처리 전, 후에 나타나는 단백질의 기능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유단백질과 단백분해효소의 비율이 100 : 1이 되도록 첨가하여 pH7.5, 5$0^{\circ}C$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pH에 따른 용해도는 두유단백(SMP)과 분리대두단백 (SPI)인경우 pH4.7에서 최소를 보이고 산성 및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난 반면 효소처리된 두유단백질(PT-SMP)은 전 pH범위에서 SMP에 비해 높은 용해도를 보였고 특히 pH4.7에서는 20배 정도의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H에 따른 유화력은 3가지 시료 모두 용해도와 같은 패턴으로 pH4.7에서 최소를 보이고 산성 및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MP와 SPI는 높은 유화력을 나타냈으며 PT-SMP도 이와 유사한 정도의 유화력을 나타내었다. 반면 PT-SMP의 유화안정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SMP와 SPI는 pH4.7에서 최소의 거품형성력을 나타내면서 그 외의 pH에서는 약간 증가하다가 pH 12에서는 높은 거품형성력을 보여주었다. PT-SMP는 pH2와 4.7에서 높은 거품형성력을 나타내었고 pH8까지 차츰 감소하다가 pH12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거품안정성은 3가지 시료 모두 30분까지 급격한 감소를 보이다가 차츰 감소정도가 완만하게 나타났다. SMP와 SPI는 pH4.7에서 비교적 높은 안정도를 보였고 pH 12에서는 가장 낮은 안정도를 보였다. PT-SMP는 모든 pH에서 다른 두시료에 비해 낮은 안정도를 나타내었으나 pH4.7에서는 다소 높은 안정도를 나타내었다. PT-SMP는 SMP에 비해서 pH4.7을 제외한 pH에서 높은 열응고성을 나타내었고 가열후 감소된 가용성 단백질의 양을 보면 모든 pH에서 PT-SMP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두유단백질에 효소처리를 하게 되면 높은 용해도와 거품형성력, 또 비슷한 정도의 유화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특히 산성 pH에서 월등한 용해도와 거품형성력을 나타내어 효소처리하여 부분가 수분해된 두유에 과일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리라 생각되며, 또 효소처리된 두유단백질이 청량음료나 마요네즈, 과일첨가후식의 첨가물로 사용될 때 높은 기능적 특성을 발휘하리라 사료된다.

  • PDF

염건양태의 조리방법에 따른 관능적 특성(II)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Evaluation by various Cooking Methods of Salted-Dried Flathead (II))

  • 신애숙;이현덕;김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21-529
    • /
    • 2000
  • 본 연구는 조리조건별, 염농도별, 조리시간별로 차이가 있는 염건양태를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상관관계를 분석, 염건양태의 최적 조리조건을 찾아내고자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찌기의 각 관능검사 요소들간의 상관관계는 구수한 맛은 외양의 갈색정도, 익은 정도, 구수한 냄새와, 비린 맛은 비린내, 쓴맛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비린맛이 강할수록 익은정도, 구수한 냄새, 갈색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고, 구수한 맛은 갈색과 익은 정도 및 부드러운 정도에는 5%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삶기의 각 관능검사 요소들간의 상관관계는 구수한 맛은 외양의 익은 정도와 구수한 냄새와, 비린맛은 비린내, 쓴맛, 아린맛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구수한 맛은 익은 정도, 촉촉함, 구수한 냄새, 비린내에 대해 5%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3. 굽기의 각 관능검사 요소들간의 상관관계는 구수한 맛은 구수한 냄새와 쫄깃한 조직감과, 비린맛은 비린내, 쓴맛, 퍼석함, 비린 후미,아린맛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구수한 맛은 비린내, 구수한 냄새 및 쓴맛과 1%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표준조리법을 위한 정량적 묘사분석결과 찌기는 염도 6%의 염건양태를 5분, 삶기는 염도 6%의 염건양태를 10분간, 굽기는 6%의 염건양태를 10분 구운 것이 관능검사 결과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 조리조건 중 가장 기호도가 좋은 조리법은 굽기조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염도별, 조리시간별 관능검사의 종합적 평가에서 2% 염건양태는 15분 조리시 삶기군 > 종합적인 조리평균 > 찌기군 > 굽기군의 순으로, 4% 염건양태는 5분 조리시 삶기군 > 찌기군 > 종합적인 조리평균 > 굽기군의 순으로, 6% 염건양태는 조리방법에 따라 비슷한 점수대를 나타내었다.

  • PDF

Pale ale류에 속하는 맥주 신제품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Types of Pale Ale Beer)

  • 김기화;박수지;김지은;동혜민;박인선;이재환;현소양;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2-147
    • /
    • 2013
  • Pale ale류에 속하는 수입산 시판 맥주 3종과 신제품 맥주를 대상으로 일반적 품질특성과 향기패턴 및 맛의 성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제품은 4.35%의 알콜 함량을 나타냈으며 B.U.는 3.5, 색도는 34.43(EBC), sweetness는 $2.28^{\circ}P$, pH는 3.96, 총산은 5.21, 폴리페놀은 181.22 mg/L의 함량을 보였다.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의 경우 시판 맥주와는 구분되어 다른 향기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C를 이용한 총 14종의 휘발성분 중 ethyl acetate, isobutanol, isoamyl acetate, isoamyl alcohol, ethyl hexanoate 함량의 차이를 보였고 그 외 물질들은 시판 맥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혀 분석에서는 시판 맥주에 비하여 NB의 신맛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맥주의 주요한 쓴맛을 나타내는 성분 중 하나인 quinine을 정량 한 결과 시판 맥주에서의 농도는 1.5-1.8 mg/L 사이로 나타났다.

2005년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s of Major Crops of the South Korea in 2005)

  • 명인식;홍성기;이영기;최효원;심홍식;박진우;박경석;이상엽;이승돈;이수헌;최홍수;김용기;신동범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153-157
    • /
    • 2006
  • 2005년은 전년에 비해 기온이 낮았고 강수량이 적었다. 벼 흰잎마름병, 세균성벼알마름병, 벼 깨씨무늬병, 벼 이삭도열병, 배나무 겹무늬병 등이 2004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특히 벼 깨씨무늬병은 전년에 비해 4배 이상 병 발생이 증가하였다. 벼 이삭도열병이 전년 0.7%에서 2005년 2%로 증가된 것은 출수기 동안 평균기온은 높았고 강수일수, 강수량 및 습도가 높아 잎도열병균이 이삭으로의 전파를 촉진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기타 조사된 병들은 전년에 비해 감소 혹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벼 잎도열병, 시설참외 시들음증상, 흰가루병 및 노균병은 전년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다.

국내 시판 막걸리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의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Preference for Commercial Makgeolli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전기숙;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5-126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한 막걸리의 개발 및 중국 시장에서 막걸리의 소비 증진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중국 시장의 잠재적인 막걸리 소비자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막걸리의 음주 실태에 관한 설문 조사와 시판 쌀 막걸리(생 막걸리, 살균 막걸리)의 특성 및 기호도에 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막걸리 음주 경험이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9일부터 10월 30일까지 조사하였으며, 11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71.8%가 막걸리를 좋아하며, 56.4%가 주 5-6회 막걸리를 마시고, 25.7%가 2병 이상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61.5%가 막걸리 구매 경험이 있으며, 막걸리에 관한 정보는 지인(66.7%)이나 언론매체(28.2%)를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종의 쌀 막걸리 중 상큼한 향, 단맛, 신맛이 강하고, 후미가 좋으면서 청량감이 있는 살균 막걸리(BS)를 가장 선호한 반면 탁도, 누룩향, 쓴맛, 묵직한 바디감이 강한 생 막걸리(KD)의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전통적인 생 막걸리보다는 청량감을 지닌 달달하고 상큼하면서 목넘김이 부드러운 막걸리가 중국인의 기호에 적합하며, 웰빙 저도주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시음 기회의 확대를 통한 구전 마케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효소 분해순서를 달리하여 제조한 탈지대두박효소 분해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Manufactured by Various Enzyme Reaction Order of Defatted Soybean Meal)

  • 신명곤;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79-1284
    • /
    • 2016
  • 식물성 단백질 급원인 탈지대두박에 Flavourzyme$^{(R)}$(F), Neutrase$^{(R)}$(N), Alcalase$^{(R)}$(A), Protamex$^{(R)}$(P)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켰을 때 짠맛을 많이 생성하는 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효소처리 순서를 달리하여 제조한 enzyme hydrolyzed vegetable protein의 고형분 함량은 1차 Neutrase $^{(R)}$(N), 2차 Alcalase$^{(R)}$(A), 3차 Flavourzyme$^{(R)}$(F), 4차 Protamex$^{(R)}$(P)를 처리한 NAFP 처리구에서 5.60%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고형분 함량에서는 효소의 처리 순서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24개의 처리구들 중에서 ANFP(102.76 mg%)와 APNF(102.85 mg%) 처리구가 통계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정량묘사분석 결과 짠맛은 PNFA(11.81) 처리구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며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NPAF(10.14), FPNA(10.00), APNF(9.80), NAFP(9.76), AFNP(9.57), APFN(9.52), NPFA(9.50) 처리구가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으며 다음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감칠맛은 모든 처리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쓴맛 후미는 AFPN(5.67) 처리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FAPN(2.38), PNAF(2.62), NAPF(2.48) 처리구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묘사분석 결과를 주성분 분석한 결과 PNFA, NAFP, APFN, NPAF, FPNA, NPFA, APNF 처리구는 짜고 감칠맛 나는 맛을 낼 수 있는 효소처리법이었다. 따라서 이들 효소의 처리 순서가 짜고 감칠맛 나는 식물단백효소 분해물의 제조에 바람직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Seven-Day Bismuth-based Quadruple Therapy as an Initial Treatment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a High Metronidazole Resistant Area

  • Vilaichone, Ratha-korn;Prapitpaiboon, Hatainuch;Gamnarai, Pornpen;Namtanee, Juraiwan;Wongcha-um, Arti;Chaithongrat, Supakarn;Mahachai, Varoch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089-6092
    • /
    • 2015
  •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metronidazole-resistant H. pylori is almost 50% in Thailand which severely limits the use of this drug for eradication therapy.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profiles of 7-day bismuth-based quadruple therapy including metronidazole as an initial treatment for H. pylori infection in a high metronidazole resistance are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at Thammasat University Hospital and King Chulalongkorn Memorial Hospital during January 2009 to October 2010. Patients with non-ulcer dyspepsia (NUD) with active H. pylori infection were assigned to receive seven days of quadruple therapy (pantoprazole 40 mg bid, bismuth subsalicylate 1,048 mg bid, amoxicillin 1 gm bid and metronidazole 400 mg tid). H. pylori infection was defined as positive H. pylori culture or two positive tests (rapid urease test and histology).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for metronidazole by Epsilometer test (E-test) was performed in all positive cultures. At least four weeks after treatment, $^{13}C$ urea breath test ($^{13}C-UBT$) was performed to confirm H. pylori eradication. Results: A total of 114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50 males and 64 females with a mean age of 49.8 years. All 114 patients had a diagnosis of NUD. Overall eradication as confirmed by negative $^{13}C-UBT$ was achieved in 94 out of 114 patients (82.5%). 44 patients had positive cultures and success for E-test. In vitro metronidazole resistance was observed in 22/44 (50%) patients. Eradication rate in patients with metronidazole resistant strains was 16/22 (72.7%) and 20/22 (90.1%) with metronidazole sensitive strains (72.7% vs 90.1%, p-value=0.12; OR=3.75 [95%CI=0.6-31.5]). Minor adverse reactions included nausea, bitter taste, diarrhea and black stools but none of the patients dropped out from the study. Conclusions: Initial treatment with 7-day bismuth-based quadruple therapy including metronidazole, amoxycillin and pantoprazole is highly effective and well tolerated for metronidazole-sensitive H. pylori infections. However, the efficacy markedly decline with metronidazole resistance. Longer duration of this regimen might be required to improve the eradication rate and larger multi-cent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is hypothesis.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의 4-VO로 유발한 흰쥐뇌허혈에 대한 신경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Hwangryunhaedok-tang on the Brain Ischemia Induced by Four-Vessel Occlusion in Rats)

  • 이민정;김영옥;이강진;유영법;김선여;김성수;김호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61-168
    • /
    • 2002
  • Objectives: Hwangryunhaedok-tang (Huang-lian-jie-du-tang, HRHDT, 黃連解毒湯) is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that is formulated with Coptidis Rhizoma, Phellodendri Cortex, Scutellariae Radix and Gardeniae Fructus. HRHDT is cold (寒) and bitter (苦) in nature and has general properties of clearing heat and detoxifying (淸熱解毒), strengthening the stomach and settling the liver (健胃平肝), and reducing inflammation, fever and swelling. This formula can prevent and treat artherosclerosis, hyperplasia of the endothelium, cerebral fluid circulation, cerebral vascular deterioration through aging, impairment of neurotransmitters, or disrup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cerebral cortex following infection or trauma. The purpose of the study reported here was to determin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HRHDT on global ischemia induced by 4-vessel occlusion in Wistar rats. Methods: HRHDT extract was lyophilized after extraction with 85% methanol and 100% water. Rats were induced to 10 minutes of forebrain ischemia by 4-vessel occlusion (4-VO) and reperfused again. HRHDT was administered with a dose of 100 mg/kg, and 500 mg/kg of 85% methanol extracts and 100 mg/kg of 100% water extracts, respectively, at 0 min and 90 min after 4-VO. Rats were killed at 7 days after ischemia and the number of CA1 pyramidal neurons was counted in hippocampal sections stained with cresyl violet. Results: Body temperature of animal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line-treated groups and HRHDT extracts-treated groups until 5 hours of reperfusion. This result indicated that neuroprotective effects of HRHDT extracts were not due to hypothermic effects. The administration of HRHDT showed a significant neuroprotective effect on hippocampal CA1 neurons at 7 days after ischemia compared to the saline-treated group (P<0.001). HRHDT methanol extracts of 100 mg/kg, 500 mg/kg and HRHDT water extracts of 100 mg/kg showed 88.5%, 98.3% and 95.1 % neuroprotection,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dministration of HRHDT is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neuronal damage in response to transient global cerebral ischemia. HRHDT may involve many mechanisms that might account for its high degree of efficacy.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free radicals, glutamate, calcium overload, NO, and various cytokines have been proposed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causing neuronal death after short periods of global ischemi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know the neuroprotective mechanisms of HRHDT.

  • PDF

한국 토종 닭고기의 정미 성분 중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물질에 대한 연구 (Studies on Components Related to Taste such as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in Korean Native Chicken Meat)

  • 안동현;박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47-552
    • /
    • 2002
  • 토종닭과 broiler의 고기 맛에 관계하는 정미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종 모두에서 유리아미노산 중 고기 특유의 풍미를 나타내는 carnos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정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glutamic acid함량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Carnosine은 가슴살 그리고 28주령의 토종 닭고기에서 가장 많았으며, 다리살에 있어서는 6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많았다. Glutamic acid함량은 다리살 그리고 11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서 많았고, 가슴살에 있어서는 6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살 후 4$^{\circ}C$에서 48시간 저장한 경우 유리아미노산은 carnosine을 제외하고 대부분 증가했으며, carnosine은 도살 직후와 동일하게 가슴살에서는 28주령의 토종 닭고기에, 다리 살에서는 11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더 많았다. Glutamic aicd는 가슴살에 있어서는 11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다리살에는 6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더 많았다. 또한 좋지 않은 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의 합에 대한 좋은 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의 합의 비에 있어서도 11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더 높게 나타났으며 , IMP의 경우 전반적으로 15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 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의 결과로 미루어 11주령이상의 토종 닭고기가 육용의 broiler고기보다 정미성분이 많아 맛에 있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