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sphenol-A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29초

GN 함량에 따른 에폭시 수지계의 열분해 특성 (Effects of GN Contents on Thermal Decomposition of Epoxy Resin System)

  • 안현수;심미자;김상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9-392
    • /
    • 1997
  • Glutaronitrile(GN) was introduced to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 4,4'-methylene dianiline(MDA) system to improve toughness. Effects of GN contents on thermal decomposition of epoxy resin system were investigat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decomposition,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and Kissinger equation were used.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s were about 365$^{\circ}C$ regardless of GN contents. Activation energies of thermal decomposition in epoxy resin system were almost constant below 10 phr and decreased above 15 phr.

  • PDF

디메틸 카보네이트(DMC)로부터 디페닐카보네이트(DPC) 합성을 위한 반응속도론 (Reaction Kinetics for the Synthesis of Diphenyl Carbonate from Dimethyl Carbonate)

  • 최유미;조임표;조훈;이진홍;한명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5호
    • /
    • pp.766-771
    • /
    • 2012
  •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는 전기, 전자, 자동차, 건축 등 여러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PC는 bisphenol A (BPA)와 phosgene을 반응시켜 합성한다. 하지만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phosgene은 심각한 독성을 갖고 있어, 환경 안전 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Phosgene을 대체하기 위해 DPC을 이용하는 공정이 제안되었다. DPC는 DMC (Dimethyl Carbonate)와 Phenol의 에스테르교환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PBO 촉매를 사용한 DPC 합성 반응에 대하여 반응온도, DMC/Phenol의 비 그리고 촉매 농도 변화가 반응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DPC 합성 반응에 대한 반응속도 모델을 구하였고 반응속도 모델이 예측한 값이 실험치와 잘 일치함을 보였다.

에폭시 수지와 층상광물로부터 나노복합재료의 합성 (Nanocomposites from Epoxy Resin and Layered Minerals)

  • 강재현;유성구;서길수
    • 폴리머
    • /
    • 제24권4호
    • /
    • pp.571-57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에폭시 -광물 라노복합재료를 합성하기 위한 충전재를 층상 화합물인 나트륨-montmorillonite (Na-MMT)와 oct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와의 이온교환 반응으로부터 얻었다. 이렇게 합성된 octadecyltrimethylammonium-MMT에 3-aminopropyl triethoxysilane (APS)를 반응시켜 층상물질의 내부에 aminopropyl기가 삽입된 $C_{18}$ H$_{37}$ N($CH_3$)$_3$-APS-MMT를 합성하였다. 개질된 MMT의 층간저리와 구조를 X-선 회절 (XRD), IR 그리고 고상 $^{29}$ Si CP/MAS NM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어서 $C_{18}$ H$_{37}$ N($CH_3$)$_3$-APS-MMT 존재하에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를 중합시켜 광물-고분자 나노복합재료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나노복합재료의 구조를 XRD, 투과전자현미경 (TEM)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 (SEM)으로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합성된 유기몬모릴로나이트는 에폭시 고분자 내에서 실리케이트 층이 완전히 박리되어 있으며 단일층으로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잘 분산되어 있음을 알았다.

  • PDF

스피커용 댐퍼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에폭시 하이브리드 수지의 합성 (Synthesis of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 used for Damper of Loudspeaker)

  • 최현석;최동호;허만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0-47
    • /
    • 2016
  • As a coating material for loudspeaker dampers, resilient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s were synthesized to replace conventional phenol resin and examined the physical properties, which are not only environmentally friendly but also not harmful to human. Five types of polyurethane resins were synthesized in the step-shot method using methylene diisocyanate, three polyols such as poly tetramethylene ether glycol(PTMEG, MW:2000), poly(1,4-buthylene adipate(PBAP, MW:2000), and poly carbonatediol(PCD, MW:2000), and three chain extenders such as ethylene glycol(EG), neopentyl glycol(NPG), and 1,4-buthandiol(1,4-BD). The five types of synthesized polyurethane resins and commercially available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were blended in weight ratios of 90:10, 70:30, and 50:50 to synthesize 15 types of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s. Among the polyurethane resins, the one that was synthesized using PCD and 1,4-BD showed excellent tensile strength, 100% modulus, low extension, and relatively high viscosity.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s with higher epoxy resin contents showed better thermal properties and water resistance while those with higher polyurethane contents showed higher flexibility. The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 made by blending the polyurethane based on PCD and 1,4-BD with a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in a weight ratio of 70:30 was identified to be the most suitable to be used in speaker dampers.

EVALUATION OF GENETIC TOXICITY FROM ENVIRONMENTAL POLLUTANTS IN DAPHNIA MAGNA AND CHIRONOMUS TENTANS FOR APPLICATION IN ECOLOGICAL RISK ASSESSMENT

  • Park, Sun-Young;Lee, Si-Won;Choi, Jin-He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1권5호
    • /
    • pp.277-284
    • /
    • 2006
  • The genetic toxicity of environmental pollutants, namely, nonylphenol (NP), bisphenol A (BPA) and chloropyriphos (CP) was investigated in aquatic sentinel species, freshwater crustacean, Daphnia magna, and larva of aquatic midge, Chironomus tentans, using Comet assay. Physiological effect of such pollutants was also investigated by studying the specimens' rates of reproduction, growth and survival. Acute toxicity results showed that, as expected, Daphnia was more sensitive than Chironomus to chemical exposure. The order of acute toxicity was CP > NP > BPA in D. magna and NP > CP > BPA in C. tentans. BPA may exert a genotoxic effect on D. magna and C. tentans, given that DNA strand breaks increased in both species exposed to this compound, whereas NP- and CP-induced DNA damage occurred only in C. tentans. In vivo genotoxic data obtained in aquatic sentinel species c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freshwater quality monitoring. The experiments with NP-exposed D. magna showed that the pollutant has long-term effects on reproduction, whereas no short-term effect on DNA integrity was found, being an example of a false-negative result from the biomarkers perspective. This result could be interpreted that other mechanism than genetic alteration might be involved in NP-induced reproduction failure in D. magna. False-positive results from the genotoxic biomarker obtained in BPA-exposed D. magna and in NP-exposed C. tentans make it difficult to use DNA integrity as an early warning biomarker. However, as the mere presence of genotoxic compounds, which are potentially carcinogenic, is of high concern to human and ecosystem health, it could also be important to rapidly and effectively detect genotoxic compounds in the aquatic system in ways that do not necessarily accompany a higher level of alteration.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D. magna and C. tentans as bioindicator species, and the importance of genotoxic biomarkers in ecotoxicity monitoring, DNA damage in these specie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치아수복용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물성 (Properties of Polymer Nanocomposites Useful for Dental Restoration)

  • 김오영;한상혁;서기택;공명선;김창근;임범순;조병훈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422-426
    • /
    • 2005
  • 가시광선에 의해 활성화되는 치아수복용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들의 주요 물성을 고찰하였다. 복합체 제조에 사용한 충진재는 barium silicate와 나노 크기의 fumed silica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충진재를 사용하였으며 bisphenol A glycerolate methacrylate와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로 구성되는 resin matrix와의 계면력 향상을 위해 실란 결합제로 표면을 소수성으로 처리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한 결과, 나노 충진재가 첨가됨에 따라 내마모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중합수축률 값은 나노 충진재 함량에 관계없이 3 vol% 이하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광조사가 끝난 후에도 중합수축은 지속적으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합체의 색차는 나노 충진재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근소한 차이로 증가되었다.

Dodecyl phenol novolac 에폭시수지의 합성과 도막물성 (Synthesis of Dodecyl Phenol Novolac Epoxy Resi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atings)

  • 이동찬;김진욱;최중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15-626
    • /
    • 2016
  • 약용매에 용해가 가능한 알킬기 변성 에폭시수지를 합성하기 위하여, 1단계에서 당량비 기준 dodecyl phenol (DP)/formaldehyde = 1.25~1.333/1.0로 하여, 합성된 도데실 페놀 노볼락 화합물의 벤젠 고리수가 3.0~5.0가 되도록 합성하였고, 2단계에서는 당량비 기준으로 1단계에서 합성된 도데실 페놀 노볼락 화합물/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 (YD-128) = 1/2로 합성하였고, 3단계는 지방산을 투입하여 지방산 변성 도데실 페놀 노볼락 에폭시수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수지의 반응성도, 점성도와 분자량 변화, 약용매 가용성 등을 측정한 결과, 1단계에서 합성된 도데실 페놀 노볼락 화합물의 벤젠고리수가 늘어남에 따라 지방산 변성 도데실 페놀 노볼락 에폭시수지의 점도가 상승하였고, 약용매 가용성이 우수하였다. 도료 제조 후 물성을 측정한 결과, 개환촉매로 triphenylphosphine(TPP)을 사용한 DPFAC-5는 건조속도, 접착성, 도막경도, 내충격성, 내산성 및 저장안정성이 양호하였다.

열잠재성 개시제에 의한 에폭시/폴리우레탄 블렌드의 경화거동 및 파괴인성 (Cure Behaviors and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Epoxy/Polyurethane Blends Initiated by Latent Thermal Catalyst)

  • 박수진;석수자;강준길;권수한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9권1호
    • /
    • pp.42-50
    • /
    • 2004
  • 본 연구는 열잠재성 개시제인 N-benzylpyrazinium hexafluoroantimonate (BPH)로 개시되어진 이관능성 에폭시인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DGEBA)와 변성 polyurethane (PU) 블렌드의 PU의 함량에 따른 경화거동과 파괴인성을 연구하였다. 블렌드의 경화거동은 시차주사 열량계(DSC)와 near-IR 을 통해 관찰하였고, 파괴인성은 임계응력 세기인자($K_{IC}$)와 임계 변형에너지 방출속도($G_{IC}$)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경화 활성화에너지($E_a$)와 전환율(${\alpha}$)은 PU의 함량이 10 phr에서 최고값을 나타냈으며, $K_{IC}$는 전환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PU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DGEBA의 하이드록실기 사이의 수소 결합이 증가함에 따라 블렌드의 가교밀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판단되어 진다.